경기도 광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경기도 광주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소개
과거 한양을 지키던 4대 요새 중 하나인 남한산성을 품은, 남한산성도립공원이 있습니다.
북쪽의 개성, 남쪽의 수원, 서쪽의 강화, 동쪽의 광주였다.
동쪽의 광주에는 남한산성이 있었습니다.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24km, 성남시에서 북동쪽으로 6km 떨어져 있는 남한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길이는 총 12.4km(본성 8.9km, 외성 3.2km, 신남산성 0.2km), 높이는 7.3m입니다.
원래 2천여년 전, 고구려 동명왕의 아들 백제의 시조 온조의 왕성이었습니다는 기록이 있고,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한산주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기록도 있습니다.
그 옛터를 활용하여 후대에도 여러번 고쳐 쌓다가, 조선조 광해군 때(1621) 본격적으로 축성하였습니다 합니다.
석축으로 쌓은 남한산성의 둘레는 약 12km입니다.
자연석을 써 큰돌을 아래로, 작은 돌을 위로 쌓았습니다.
동서남북에 각각 4개의 문과 문루, 16개의 암문을 내었으며 동서남북 4곳에 장대가 있었습니다.
성 안에는 수어청을 두고 관아과 창고, 행궁을 건립했습니다.
유사시에 거처할 행궁은 상궐 73칸, 하궐 154칸, 좌전 26칸으로, 모두 252칸을 지었습니다.
80개의 우물, 45개의 샘을 만들고 광주읍의 행정처도 산성 안으로 옮겼다.
이쯤되면 남한산성의 중요성과 성안이 유치 가능 인구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산성이 축조되고 처음으로 시행(인조 17년, 1639)된 기동 훈련에 참가한 인원만 해도 12,700명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성내에 남아 있는 건물은 불과 몇 안 됩니다.
동.남문과 서장대, 현절사, 연무관, 장경사, 지수당, 영월정, 침괘정, 숭렬전 이서 장군사당, 보, 루, 돈대 등이 남아있습니다.
그 중 4대문과 수어장대, 서문 중간쯤의 일부 성곽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남한산성은 사적 제 57호와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한산성도립공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gg.go.kr/namhansansung-2
운영 시간 [남한산성 행궁]
하절기(4월~10월) 10:00 ~ 18:00
동절기(11월~3월) 10:00 ~ 17:00
※ 관람시작시간 30분전 매표 시작, 관람마감시간 30분전 매표 마감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월요일
곤지암리조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곤지암리조트 소개
* 수도권 최대 스키장, 곤지암리조트 *
곤지암리조트는 중부고속도로 곤지암IC에서 4Km 거리에 위치해 서울 강남에서 불과 40분만에 도착합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으로 수도권 최대규모인 스키장과 476실의 콘도미니엄, 스파와 수목원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춘 종합 프리미엄 리조트입니다.
라스베이거스 시저스 팰리스(미국), The Palace of the Lost City(남아공), 제주 롯데호텔 등 리조트 디자인 분야에서 탁월함을 인정받고 있는 WAT&G(Wimberly Allison Tong & Goo)가 설계한 곤지암리조트는 북미 스타일의 이국적이고 차별화된 분위기의 리조트입니다.
※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부대업장 영업시간 한시 변경
※ 내용 : 홈페이지 참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곤지암리조트 기본 정보
스파라스파 (곤지암리조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스파라스파 (곤지암리조트) 소개
스파라스파는 곤지암리조트 내에 있는 스파시설로 웰니스, 패밀리스파, 후스파팰리스가 있습니다.
스트레스, 피로, 불규칙적인 식습관, 운동부족인 현대인들의 균형잡힌 삶을 위하여 전문가들에 의해 운영되는 웰니스는 언제나 최상의 웰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휴식을 위한 최적의 환경과 최상의 서비스, 건강한 변화를 위한 새로운 생활습관, 새로운 경험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등 심신의 밸런스를 맞춰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패밀리스파는 가족, 친구, 연인이 함께 이용할 수 있으며, 정적인 공간의 감성 풀과 톡특한 체험이 가능한 테라피 공간, 그리고 명상을 위한 메디테이션 가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궁중왕후들이 사용했던 후스파팰리스는 한방약재, 100% 오리앤탈 핸드 마사지 기술과 함께 중국의학을 한국풍토에 맞추어 재탄생시킨 개인 맞춤 관리로 품격있는 자태와 청아한 피부로 가꾸어주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스파라스파 (곤지암리조트)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konjiamresort.co.kr
운영 시간 웰네스 스파 : 10:00~20:00 (예약제)
패밀리 스파 : 10:00~20:00 (최종 입장 18:30, 수영장 마감 19:30)
주차시설 있음
경안천 습지생태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경안천 습지생태공원 소개
경안천 습지생태공원은 경안천을 통하여 팔당호 상수원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수변식물을 통해 수질을 개선하여, 동·식물들에게 깨끗한 서식처를 제공하고, 도시민에게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친환경적이고 안락한 휴식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하였습니다.
공원 입구에는 조성 목적과 산책로 지도가 그려진 안내판이 있고 주차장, 화장실, 벤치 등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약 2km에 이르는 산책로에는 소나무, 왕벚나무, 단풍나무, 감나무, 왕버들, 선버들 등이 우거져 있고 연밭 위를 지나는 목재 데크, 갈대 군락과 부들 군락, 철새조망대 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또, 탐방로를 비롯해 어류서식처, 조류관찰대 등 자연을 직접 체험하여 느낄 수 있는 학습장으로 주말을 맞은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유익한 즐거움을 얻기에 충분하다.
특히 7~8월경에 개화되는 연꽃은 아름다운 주변경관과 어우러져 습지공원의 정취를 물씬 느끼게 합니다.
산책로 중간중간에는 갈대습지의 수질정화 원리를 비롯하여 경안천에 사는 새와 곤충, 자생식물 등에 관한 자료를 배치하여 탐방객들의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주변에 얼굴박물관, 분원백자자료관, 경기도자박물관 등의 명소가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경안천 습지생태공원 기본 정보
운영 시간 하절기 : 05:00 ~20:00
동절기 : 07:00 ~18:00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무휴
팔당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팔당호 소개
팔당호(八堂湖)는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과 남종면에 걸쳐있는 인공호수로 1973년 팔당댐 완공 이후, 약 2억 5천만톤의 물을 저수하고 있습니다.
팔당호에는 서울ㆍ경기지역에 수도물을 공급하는 취수장이 있으며, 호반 주변일대에서 바라보는 호수의 경관이 빼어나 팔당댐을 중심으로 광주의 관광명소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팔당호를 따라 나있는 도로는 드라이브코스로 좋다.
도로를 따라 들어가다보면 팔당전망대가 있는데 이곳에서는 팔당호의 멋진 풍경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습니다.
팔당호 기본 정보
천진암 성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천진암 성지 소개
천진암성지는, 한국천주교회 창립주역 하느님의 종 이벽 성조께서 약 15년간(1770~1784) 학업과 수도에 전념하던 독서처(讀書處) 천학도장(天學道場)이 있었고, 1777년부터는 이승훈,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권상학, 김원성, 이총억, 등 젊은 선비들과 함께 천학(天學)을 연구 실천하였으며, 때로는 권철신 같은 당시 저명한 학자들도 참석하는 천주교 교리연구 실천 강학회(講學會)가 개최되어, 학문적 수준에 있던 천학을 종교적 신앙차원으로 승화(昇華)시켜, 천주교 기도와 음력주일 제정, 실천 등 천주교 신앙 실천의 도장(道場)이 있던 곳입니다.
젊은 선비들이 모여들어, 이벽 성조를 웃어른으로 삼자, 문하생들에게 이벽성조께서는 성교요지(聖敎要旨)를 지어 받아써서 배우게 하였고, 선비들은 천학총림(天學叢林), 즉 천주교 신앙공동체를 이루었으며, 1783년에는 새로 개종하여 입교한 선비들과 힘을 합하여, 이승훈 진사를 대표자로 북경 천주교회에 파견하여, 1784년 봄 2월에 영세하고 귀국하자, 그 해 4월, 즉시 서울 수표동의 이벽성조 자택으로 본부를 옮겨, 집회소를 차렸으니, 천진암은 바로 한국 천주교회 신앙운동의 국내 최초 본거지(本據地)다.
1785년 봄에는 명례방 김범우 통역관의 집으로 장소를 옮겨, 더욱 더 천주교를 발전시켜, 1785년 을사년의 국내 첫 박해를 겪으면서 1885년 말까지 100년간에 잔혹한 박해를 이겨내면서 오늘의 한국천주교회로 발전하게 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천진암성지는 한국천주교회의 움이 트고 싹이 돋은 한국천주교회 신앙의 고향이며, 전 세계에 유례가 없이, 한국천주교회만이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천주교회 발상지(發祥地)다.
천진암성지 옛 터에는 하느님의 종 이벽, 이승훈, 권일신, 권철신, 복자 정약종, 5위 한국천주교회 창립성조들의 묘를 모시고 있고, 조선교구 설립자 정하상, 유진길 성인과 복자 정철상의 묘와, 한국천주교회 창립성조들의 가족들인, 이부만(이벽 성조 부친), 이석(이벽성조 동생), 경주이씨(이벽성조 누님), 정지해(정약용 선생 조부), 정재원(정약용 선생 부친), 정약전(정약용 선생 형님), 등의 묘소도 가까운 남쪽 등너머 성역 내에 모셔져 있습니다.
천진암성지에는 한국천주교회 창립 200주년과 이벽성조의 기념비, 교황어록이 새겨진 기념비, 문도공 요한 정약용 승지의 기념비, 이벽성조의 천주공경가 비문, 또한, 세계평화의 성모상(동상높이 15m, 청동 25톤)과 함께, 천진암 강학당 기념표석 및 이벽 성조 독서처 천학도장 기념표석이 있습니다.
특히 천진암성지에는 한국천주교회 발상지의 고유한 특성에 필수적인 한국천주교회창립사연구원, 성모경당(1천여 명 수용), 광암성당(200여 명 수용) 등이 완공되어, 순례단들이 미사를 봉헌할 수 있으며, 한국천주교회 천진암박물관(1,500평)은 현재 기초공사가 완료된 상태다.
한민족100년계획천진암대성당(8,017평) 건축이 착공되어, 기둥 4개 기초와 4대문의 문틀이 있습니다.
더욱이 100년계획 천진암대성당 건립 현장에는 축성된 통돌 100톤의 천진암대성당 제대석과, 통돌 30톤의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의 친필 서명된 강복문(降福文) 머릿돌이 있습니다.
36만여 평 성역에 3만여 평의 대성당 건립 터에서는 매년 수 만 명의 신도들이 모여 한국 천주교회 창립 기념행사를 거행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천진암 성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chonjinam.or.kr
광주시 문화관광 https://www.gjcity.go.kr/tour/main.do
운영 시간 10:00~17:00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연중개방
분원리 붕어찜마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분원리 붕어찜마을 소개
* 전국적으로 유명한 붕어찜을 먹어보자, 분원리 붕어찜마을 *
분원리는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에 있는 마을로 대부분의 지대가 비교적 완만한 구릉성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을 서쪽은 한강과 접하고 있습니다.
자연 마을로는 대추나뭇골, 안골, 장터 마을 등이 있습니다.
대추나뭇골 마을은 대추나무가 많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며, 안골 마을은 분원리 안쪽에 위치합니다 하여 이름 붙여지게 되었습니다.
장터 마을은 옛날 장이 섰던 곳이라는 의미에서 불리워진 이름입니다.
* 분원리 붕어찜마을에 대하여 *
분원리는 원래 조선백자 도요지였으나 1976년도 붕어찜 조리법이 경기도 향토지적재산으로 등록되고 1980년대에는 입소문을 타고 전국으로 유명해져 관광객들이 많이 찾고 있습니다.
현재 붕어찜 전문 음식점은 총 38개소에 달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분원리 붕어찜마을 기본 정보
광주 산두른마을 [농촌전통테마]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산두른마을 [농촌전통테마] 소개
너른 고을 광주시는 산이 높고 골이 깊은 고장으로 이곳 산두른 마을 또한 경기속의 강원도라 불릴 정도로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청정지역으로남아있는 전형적인 농촌 산골마을입니다.
마을 어귀에는 350년생 느티나무 고목이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태화산만이 연출하는 독특한 사계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 설화와 어우러진 산두른 마을의 포근함인 활쏘기 시합과 동화놀이(달집태우기) 등이 옛날 어릴 적 고향마을의 향수를 연상시킨다.
마을로 들어서는 입구에는 유정저수지가 그림처럼 펼쳐져 있으며, 마을내에 있는 추곡저수지는 인근의 많은 낚시객들이 찾고 있습니다.
주위로는 태화산이 마을을 감싸 안고 있어 매우 포근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으며, 다양한 등산로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산행이 가능하다.
산두른마을의 체험프로그램 산두른마을의 체험프로그램은 크게 별과 함께 체험프로그램과 농촌체험프로그램으로 나뉜다.
별과함께 프로그램은 별을 테마로 한 각종 체험과 짚, 나무를 이용한 공예체험으로 별찾기와 별점, 별보며 산행하기, 공예체험(공예시범 및 야생화체험) 등이 있으며, 농촌체험은걸어서 마을 한바퀴, 당나귀 마차를 이용한 산두른 답사, 각종 농산물 체험, 느티마당놀이 등 다양한 농촌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산두른마을 [농촌전통테마] 기본 정보
남한산성 전통음식마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한산성 전통음식마을 소개
* 산의 풍광을 즐기며 맛보는 전통음식, 남한산성 전통음식마을 *
삼국시대 이래로 우리민족사의 주요 군사요충지인 남한산성은 조선 선조에서 순조에 이르기까지 국방의 보루로 제16대 인조때 완공되어 300년 여의 역사를 가진 문화유산으로서 전통한옥으로 지어진 음식점에서 쌀밥, 도토리묵, 토종닭 등 전통음식을 맛볼 수 있습니다.
* 남한산성에 대하여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中部面) 산성리(山城里) 남한산에 있는 조선시대의 산성으로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북한산성(北漢山城)과 더불어 서울을 남북으로 지키는 산성 중의 하나로, 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쌓은 주장성(晝長城)의 옛터를 활용하여 1624년(인조 2)에 축성(築城)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한산성 전통음식마을 기본 정보
영동리 토속음식마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동리 토속음식마을 소개
시골마을의 정취와 음식을 동시에, 영동리 토속음식마을 영동리는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있는 마을로 자연마을로는 거먹골, 구룡동, 석둔(石屯) 등이 있습니다.
조선 초엽에 이곳을 지나던 광주목사(廣州牧師)가 동쪽 큰 고개 밑에 자리잡은 마을이라 해서 영동리라 일컫게 되었습니다고 합니다.
거먹골 중앙에는 커다란 연못이 하나 있는데, 그 속에 큰 거북이 한 마리가 살고 있어 마을에 무슨 흉사가 있을 때면 나타나서 예고를 해 주었습니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마을을 거북골이라 부르다가, 나중에 이 말이 변하여 거먹골이 되었습니다고 합니다.
구룡동은 아주 먼 옛날에는 바다였던 곳이라고 합니다.
이 바다가 육지가 되면서 큰 연못이 하나 생겼는데 어느 여름에 비가 주야로 4일간 쏟아지더니 이 못 속에 있던 아홉 마리의 용이 하늘로 승천했습니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이 마을을 구룡동이라 하게 되었습니다.
석둔은 옛날에 이곳에 전쟁이 있을 때 돌로 진을 쳐서 석진(石陣)을 만들었습니다고 해서 이곳을 석진이라 부르다가, 이 말이 변하여 석둔이 되었습니다고 합니다.
또 일설에는 석씨 성을 가진 장군이 전쟁에서 전공을 세웠는데, 그의 후손들이 이곳에 집단으로 거주하게 되었습니다고 해서 석둔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고도 합니다.
광주 퇴촌면 염티고개 88번 지방도를 따라 앙평강화 방면 길목에 위치한 음식마을은 쌀밥, 손두부, 청국장 등 향토음식을 맛볼 수 있으며, 총 음식점수는 46개소에 달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동리 토속음식마을 기본 정보
지금까지 경기도 광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군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3.07 |
---|---|
경기도 구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3.06 |
서울 사진찍기 좋은 출사지 7가지 명소 추천 (0) | 2023.03.06 |
경기 광명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3.06 |
경기도 과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