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대문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서울 동대문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홍릉수목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홍릉수목원 소개
홍릉수목원은 1922년 서울 홍릉에 임업 시험장이 설립되면서 조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제1세대 수목원입니다.
이곳은 조선왕조 고종의 왕비인 명성황후의 능(1897년)인 「홍릉」이 있었던 곳으로 「홍릉수목원」이라 이름 붙여졌으며 지금은 이장되어 터만 표시되어 있습니다.
홍릉수목원은 국립산림과학연구원의 부속 전문 수목원으로서, 국내외의 다양한 식물 유전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하여, 기초 식물 학문분야 발전은 물론, 식물 유전자원 확보를 위해 조성한 시험 연구림입니다.
홍릉수목원과 산림과학관은 매주 일요일은 일반인에게, 평일에는 학생 단체관람객에게 무료로 개방하여, 자연 및 환경학습, 산림의 소중한 가치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홍릉수목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nifos.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mn=UKFR
운영 시간 평일(화~금) 숲해설 10:30, 13:30, 15:30
주말_ 자유관람
하절기 09:00~18:00
동절기 09:00~17:00
주말_숲해설
3월~11월 10:30, 14:00
주차시설 불가
쉬는 날 매주 월요일, 5월 1일 및 모든 법정 공휴일 (일요일 제외)
서울 영휘원(순헌황귀비)과 숭인원(이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서울 영휘원(순헌황귀비)과 숭인원(이진) 소개
영휘원 안에는 조선왕조 제 26대 고종의 후궁이며 영친왕의 생모인 순헌귀비 엄씨의 원인 영휘원과 영친왕의 첫째 아들의 원인 숭인원이 있습니다.
엄씨의 위패는 현재 종로구 궁정동에 있는 칠궁에 모셔져 있습니다.
영휘원이 있는 이 지역은 원래 고종 황제의 비인 명성왕후 민씨의 홍릉이었으나, 1919년 고종의 장례 때 함께 묻기 위해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소재현 홍유릉에 이장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서울 영휘원(순헌황귀비)과 숭인원(이진)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royaltombs.cha.go.kr/
운영 시간 3~10월 09:00~18:30
11~2월 09:00~17:30
※ 매표는 마감 1시간 전까지
주차시설 있음(약 소형 23대) - 영휘원 정문에 위치
쉬는 날 매주 월요일
청계천 버들습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청계천 버들습지 소개
* 유니세프 선정 어린이 다리 *
청계천 물길은 복원 구간의 마지막에 이르러 두물다리를 지나 고산자교로 향합니다.
두물다리는 과거 청계천의 지류가 합류하던 지점이었습니다.
그 의미를 살려 두 개의 물이 만나는 다리라는 뜻의 두물다리라는 이름을 붙였다.
형상도 두 개의 물줄기가 손을 잡듯 곡선을 그리며 만나는 모습입니다.
먼발치에서 보면 탑신이 마치 돛처럼 솟아 돛단배를 떠올리게 합니다.
그 생김이 동화적이라 유니세프에서 어린이 다리로 지정했습니다.
두물다리를 지나면 고산자교로 잇는 물길입니다.
도심에서 멀어지므로 점점 생태공원의 표정을 닮아간다.
고산자교는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의 호를 따서 지었습니다.
고산자교 인근에는 고산자로가 지난다.
교각의 모양새보다는 하천 경관의 녹지가 단절되는 것을 극복하려는 의지가 투영된 다리다.
그리고 여기서부터 비로소 청계천 물길은 중랑천을 향해 내달리고 언젠가 한강과 만나게 됩니다.
* 청계천의 마지막 비경 *
고산자교에 이어 버들습지가 반긴다.
청계8경이요, 청계천의 마지막 비경입니다.
청계1경에서 7경까지가 사람의 손길이 묻어나는 공간이었습니다면 8경은 오롯이 자연이 주인입니다.
버들습지는 갯버들이나 매자기, 꽃창포 같은 수생식물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습지다.
청계천에서도 가장 자연친화적인 생태 공간입니다.
수생식물의 성장을 바탕으로 어류나 양서류 등의 생물 서식도 이뤄진다.
메기나 버들치, 피라미 같은 어류도 종종 만날 수 있습니다.
특히, 조류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청둥오리는 물론이요 흼뺨검둥오리, 중대백로 같은 새들이 날아든다.
버드나무 아래 한가로운 풍경입니다.
아이들과 함께라면 청계천 생태해설사의 설명을 들어도 좋고, 겨울철 철새탐조교실 같은 프로그램을 활용해도 좋다.
산책 삼아 걷고 싶다면 생태탐방로 데크를 따라 걸어도 좋겠다.
잘 알고 있습니다고 생각했던 청계천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청계천 버들습지 기본 정보
주차시설 청계천 전 구간의 인근 주차장 이용
서울풍물시장 전통문화체험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서울풍물시장 전통문화체험관 소개
‘전통문화체험관’은 서울풍물시장을 방문한 내∙외국인 관광객이 다양한 한국의 전통문화 소품을 간단하게 만들어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외국인에게는 한국만의 특색 있는 전통문화를 경험하며 한국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고, 내국인에게는 우리 전통문화를 쉽게 접하며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관광 여가시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서울풍물시장 전통문화체험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blog.naver.com/pmmoffice
운영 시간 10:00~19:00 (식당 ~ 22:00까지 영업)
주차시설 서울풍물시장 앞 공영주차장
쉬는 날 매주 화요일
연화사(서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연화사(서울) 소개
연화사(蓮華寺)는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천장산(天藏山)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 말사입니다.
서울 동부의 도심 한복판에 자리한 회기동은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묘소인 회릉이 있었습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현재 그 터에는 그녀의 원찰로 지어진 조그마한 절이있습니다.
이 곳은 일체중생(一切衆生)의 근본자성(根本自性)이 진흙 속에서 피어나는 청정한 연꽃과 같다는 의미에서 연화사라 불려 졌는데, 이후 묘련(妙蓮)이라 불려지기도 하였습니다.
이는 모두 연꽃의 청정함을 상징하는 것으로 연산군이 생모 윤씨의 명복을 빌고 비명에 간 원혼을 천도하기 위한 도량으로서, 연꽃의 기능 중 화생(化生)의 의미로 붙인 이름인 듯하다.
현재는 회릉이 서삼릉으로 이전되고, 그 자리에 경희여중ㆍ고등학교가 설립되면서 옛 모습은 찾을 수 없지만, 그 터 아래 조그마한 사찰이 있어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금은 울창한 수풀에 둘러싸인 전형적인 사찰의 모습이 아닌 빌딩숲에 인공적으로 뭍힌 도심속 사찰로 그 모습이 변모했지만, 사찰에는 폐비 윤씨는 물론 선의왕후의 원찰로서 많은 상궁들이 조성한 불화들이 남아 있어 왕실 원찰로서의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시냇가를 건너 가파른 고개를 지나 당도하는 옛 가람의 모습은 없지만, 도심 속 골목길을 따라 약간의 나무가 있는 곳에서 만날 수 있는 공원같은 곳 - 연화사에서 세속에 찌든 근심을 잠시라도 떨쳐 버릴 수 있으면 좋을 듯하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연화사(서울) 기본 정보
쉬는 날 연중개방
청량사(서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청량사(서울) 소개
청량사(淸凉寺)는 천장산(天藏山) 남쪽 기슭에 자리한 비구니 도량입니다.
예부터 4대 비구니 도량으로 유명한 돌꽂이 승방이 바로 이 곳입니다.
원래 청량사와 돌꽂이 승방은 별개의 절이었으나, 1895년 일제의 조선강점흉계에 의해 명성황후가 시해된 이후 황후의 능인 홍릉이 조성케 되자 홍릉자리에 있던 청량사를 현재의 위치로 옮게 되었고, 때마침 돌꽂이 승방도 사세가 기울어 두 절이 병합되었습니다고 합니다.
청량사는 한말에는 도성 사람들이 자주 몰려와 쉬던 휴양지였고, 일제 치하로 나라가 어려웠을 때는 많은 애국지사, 고승들의 발길이 잦았던 곳이기도 하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과 불교운동에 앞장선 만해 한용운 선생이 한때 청량사에 머물렀습니다고 하며, 1939년 7월 12일에 한용운 선생의 회갑연이 이곳에서 조촐하게 열렸다고 합니다.
같은 시기에 불교계 학자인 박한영(朴漢永)도 이 절에서 기거했으며 대방에 걸린 청량사 현판 글씨는 박한영의 글씨로 전해진다.
청량사는 회한의 역사 속에서 위법망구(爲法忘軀)의 불심으로 도량을 가꾸어온 비구니대중스님들을 보듬어 안고 오늘도 대자대비(大慈大悲)의 원행으로 도심 속에 회향하고 있습니다.
* 연혁
신라말엽에 창건되었습니다고 전하는 청량사는 창건주와 창건연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다.
다만 문헌에서 보이는 청량사에 대한 기록은 고려시대의 것으로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예종 12년(1117) 9월 조에 고려중기 거사불교(居士佛敎)의 대표적인 인물이었던 이자현(李資玄, 1061~1125)이 절에 머물렀습니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자현은 당시의 문벌귀족가문인 이자연(李資淵)의 손자로 벼슬을 버리고 춘천 청평산(淸平山) 문수원(文殊院)에서 은거하면서 고려중기의 불교를 중흥시킨 인물입니다.
그가 서울 삼각산 청량사에 잠시 머물면서, 성품을 기르는 요체가 무엇인가를 묻는 예종에게 그 답안으로 「심요(心要)」 1편을 지어 바쳤다는 것입니다.
원래 지금의 홍릉 자리에 있었던 청량사는 1895년 일제의 조선강점흉계에 의해 명성황후가 시해된 을미정변 이후 청량사터가 명당의 정혈이라 하여 황후의 능인 홍릉이 조성케 되자 현재의 위치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일부에서는 돌꽂이절인 석고사(石串寺)를 청량사의 기원으로 보기도 하지만 김정호(金正浩, ?~1864)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지금의 홍릉자리에 청량사가 표시되어 있고, 현재의 임업시험장 자리에는 돌꽂이절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으니 원래 청량사와 돌꽂이절은 별개의 사찰이었으나 홍릉조성으로 청량사가 지금의 위치로 옮겨지고, 돌꽂이절 또한 폐사되면서 합병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듯 청량사는 1890년대를 기점으로 신명을 다바친 비구니 스님들의 큰 원력에 의해 본격적인 중창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1894년 돌꽂이절에서 남채백(南彩白) 비구니 스님이 법당과 칠성각을 청량사로 옮겨 대니승방(大尼僧房)의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이후 김봉학(金奉學), 신자영(申慈英), 장동일(張東日), 정부연(鄭富淵), 신원삼(申元三) 비구니 스님들의 연이은 불사가 이어졌다.
한편 1939년 8월 29일에는 이광(李洸), 이원혁(李原赫), 장도환(張道煥), 김관호(金觀鎬), 오세창(吳世昌), 권동진(權東眞), 이병우(李炳宇), 안종원(安鐘元) 등 20여 명의 지사들이 함께 모여 만해(卍海) 한용운(韓龍雲)스님의 회갑연을 위로하며 망국의 한과 자주독립의 의지를 다졌다고 합니다.
이후 최근 30여년간은 혜은(惠恩), 상길(相吉), 혜명(蕙命), 동숙(東淑), 성법(性法) 비구니 스님들이 주지에 취임하여 중창과 도량정비 및 교화사업에 매진하여 오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청량사(서울) 기본 정보
답십리 고미술상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답십리 고미술상가 소개
답십리 고미술상가는 고서화, 고가구, 도자기 등의 고미술품과 독특하고 다양한 생활용품을 판매하는 상점이 밀집한 곳입니다.
답십리 고미술상가는 청계천 8가, 이태원, 아현동 등지에 흩어져 있던 고미술상점들이 1980년대 중반부터 답십리 일대에 모여들기 시작하여 형성되었으며 현재 약 140여 개의 점포가 밀집해 있습니다.
고미술품은 물론 나무촛대, 괘종시계, 오래된 액자 등과 같은 오래되고 독특한 소품들이 많아 볼거리가 풍성하다.
일반 상점에서는 보기 힘든 특이한 물건들이 많아 한국인은 물론 외국인들도 자주 찾습니다.
일반적으로 인사동이 질 좋고 값 비싼 고미술품들을 주로 판매합니다면 답십리 고미술상가는 몇 천원부터 시작되는 작은 소품들이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답십리 고미술상가 기본 정보
주차시설 있음(상가주차장, 공영주차장, 지하주차장)
쉬는 날 일요일 및 공휴일
오미요리연구소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미요리연구소 소개
오미요리연구소에서는 약령시장과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제철 식재료를 이용해 한식을 만들어 볼 수 있는 곳입니다.
2014 관광공사 관광벤처 공모전 장려상수상, 2016 관광벤처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한국의 가정식, 디저트, 분식부터 채식이나, 김치까지 다양한 음식을 배워볼 수 있습니다.
계절에 따라 신선한 계절 식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메뉴는 매일 다르게 운영하고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들이 주로 찾고 있어 한국어 뿐만 아니라 중국어와 영어로도 수업이 진행됩니다.
일반 수업은 4명이 정원이며, 더 많은 인원이 참가하길 희망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협의가 필요하다.
수업 예약은 이메일로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미요리연구소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5-tastes.com/
https://www.instagram/omecookinglab
https://www.facebook.com/omecookinglab
운영 시간 월~토 10:00 ~ 17:00
주차시설 없음(인근주차자이용)
용두동 쭈꾸미골목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용두동 쭈꾸미골목 소개
용두동 쭈꾸미 골목은 쭈꾸미 특화거리입니다.
황금색 쭈꾸미 모형을 주위로 쭈꾸미 전문점들이 들어서 있습니다.
고추장으로 매콤하게 양념한 쭈꾸미를 철판에 익혀 먹는 용두동 쭈꾸미는 별미 중에 별미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용두동 쭈꾸미골목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visitseoul.net/index
운영 시간 점포마다 상이함
쉬는 날 점포마다 상이함
배봉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배봉산 소개
해발 108m의 배봉산에 조성된 배봉산근린공원은 산지형 공원으로 비탈졌으나 무장애 둘레길이 있어 수월하게 오를 수 있는 공원입니다.
배봉산근린공원은 걷기에 최적화된 길입니다.
보행로 또한 완만한 오르막과 내리막으로 되어있어 걷기만 해도 운동량이 적당하며 중간에 벤치들이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어 쉬어가기 좋다.
보행 데크가 잘 정비되어 있어 보행 약자에게도 좋은 산책길이자 운동길입니다.
배봉산 정상부에 위치한 배봉산 보루는 2017년 2월9일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
배봉산 기본 정보
지금까지 서울 동대문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마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10 |
---|---|
서울 동작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10 |
서울 도봉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09 |
서울 노원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09 |
서울 금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2)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