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경북 의성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빙계계곡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빙계계곡 소개
* 신비함과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는 곳, 빙계계곡(氷溪溪谷) *
빙계계곡은 경북 8승의 하나로 1987년 9월 25일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얼음구멍과 바람구멍이 있어 빙산이라 하며, 그 산을 감돌아 흐르는 내를 빙계라 하고, 동네를 빙계리라 부른다.
빙계계곡은 빙계(氷溪) 3리 서원(書院) 마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삼복 때 시원한 바람이 나오며 얼음이 얼고, 엄동설한엔 더운 김이 무럭무럭 솟아나는 신비의 계곡입니다.
계곡 안쪽에 자리한 보물 오층 석탑은 높이 8.15m의 대형 탑이며, 화강석으로 조성된 고려 초의 석탑이 있습니다.
마을 건너편에 수십 미터 높이의 깎아지른 듯한 절벽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고, 그 아래 맑은 시냇물 가운데 우뚝 솟은 크고 작은 무수한 바위는 1933년 10월 4일 경북도내 경북 8승의 하나로 뽑혔을 정도로 아름다운 장관을 보여준다.
계곡 가운데 돋보이는 높이 10m, 둘레가 20m 정도의 유난히도 큰 바위에 빙계동(氷溪洞) 이란 커다란 글씨가 새겨진 건 임진왜난 때 여기 들른 명장 이여송(李如松)의 필적이란 얘기도 있습니다.
그 옆에 단 하나의 큰 바위 위에는 경북 팔승지일이라고 새긴 아담한 돌비(石碑)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 여덟 곳의 이름난 비경, 빙계 8경 *
빙계계곡은 깎아 세운 듯한 절벽 사이의 골짜기를 따라 시원한 물이 흐르며, 여덟 곳의 이름난 빙계 8경이 있습니다.
빙계 8경은 계곡 입구에서부터 용추(龍湫), 물레방아[水礁], 바람구멍[風穴], 어진바위[仁巖], 의각(義閣), 석탑(石塔), 얼음구멍[氷穴], 부처막[佛頂]입니다.
용추는 빙계계곡 물에 패인 웅덩이이고, 물레방아는 주민들이 계곡물을 이용하여 방아를 찧던 것입니다.
풍혈과 빙혈은 빙계리 입구에 있는 바위틈으로, 한여름에는 얼음이 얼어 영하 4도를 유지하고 겨울에는 영상 3도를 유지해 훈훈한 바람이 불어 나온다.
인암은 정오가 되면 ‘仁’자 모양의 그늘이 생긴다는 바위이고, 의각은 윤은보의 뜻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각입니다.
부처막은 빙산 꼭대기에 움푹 팬 곳으로 부처와 용이 싸울 때 생긴 것이라고 합니다.
제1경 빙혈(氷穴)
마을 뒷산 산기슭의 바위 아래 너덧 명이 들어 설수 있는 방 한칸 만한 넓이의 공간입니다.
여기선 입춘(入春)이 되면 찬 기운이 나고 한여름엔 얼음이 얼어 있습니다.
입추(入秋)가 지나면 차차 녹아 동지(冬至)에는 볼 수 없고 훈훈한 바람이 나온다.
제2경 풍혈(風穴)
동구 도로 변 바위와 바위 사이에 뚫린 좁고 깊은 곳으로 여름엔 찬바람이 나오고, 겨울철은 훈훈한 더운 바람이 일고 있습니다.
그 근방 크고 작은 바위 사이엔 거의 같은 현상이 일어 나는 편입니다.
제3경 인암(仁岩)
옛날 서원(氷溪 書院)터 앞에 위치한 나비 1.2m, 높이 2.4m가 넘는 큰 바위다.
그 전면에는 햇빛으로 인해 정오가 되면 어질 인(仁)자 모양의 그늘이 나타나 세상 인심을 선도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는 것입니다.
제4경 의각(義閣)
임진란 때 윤은보(尹殷甫)가 모재, 회재(晦齋) 두 분의 위패를 청송 주왕산(周王山)으로 모셔 들어가 7년 동안 삭망시 향화를 이어와 잘 피난시켰다가 평란 뒤 서원에 안주케 했습니다.
그 공으로 의사라 일컬음을 받고 그이 갸륵한 의리를 기려 비와 이 전각을 세워 의사각(義士閣) 이라고 불린다.
제5경 수대(水 )(물레방아)
시냇물을 이용해 매일 많은 곡식을 찧던 규모 큰 물레방아가 있었습니다가 오래 전 자취를 감춰 버렸고 그 빈터 가까이 대한불교법화종 소속 빙계정사(氷溪精舍)가 세워져 신도들의 발길이 잦다.
제6경 석탑(石塔)
빙산사 구지(氷山寺 舊址)에 당시 (신라말 내지 고려초) 이뤄진 5층 모전(模塼) 돌탑으로 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제7경 불정(佛頂)
불정봉(佛頂峰) 꼭대기에 움푹 파인 데로, 그 옛날 부처가 용과 싸울 적에 찍은 쇠스랑 자국이란 설이 전합니다.
제8경 용추(龍湫)(용소)
개울의 깎아지른 듯한 절벽 밑 시냇물이 굽이치는 곳에 깊은 웅덩이가 있었습니다는데 현재 거의 메워졌다.
부처와 싸운 용의 머리가 부딪쳐 파인 데라 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빙계계곡 기본 정보
고운사(의성)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고운사(의성) 소개
고운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입니다.
신라 신문왕 원년(681년)에 의상조사가 창건한 사찰로 창건 당시는 고운사(高雲寺)라 하였으나 200여 년 뒤, 고운(孤雲) 최치원이 이곳에서 수도하면서 가운루와 우화루를 지은 후 그의 호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라 하였습니다.
헌강왕 때에 도선(道詵)이 약사여래불과 석탑을 건립하였습니다.
고려 시대인 948년(정종 3) 고려의 운주조통(雲住照通)이 사찰을 중창하였고, 1018년(현종 9)에 천우(天祐)가 다시 중창하였습니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와 1695년(숙종 21)에 행옥(幸玉)과 태운(泰運)이 중수하였습니다.
그 후 1835년(헌종 1)에 불탄 것을 만송(晩松)·호암(虎巖)·수열(守悅) 등이 재건하였습니다.
또한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승군의 전방 기지로 식량 비축과 부상병 뒷바라지를 하던 사찰이며, 일제 탄압 시는 전국 31 본산지의 하나로 호국불교의 꽃을 피웠던 곳입니다.
현재 고운사에는 30동의 건물로 이뤄져 있는 규모 있는 사찰입니다.
* 일주문부터 우화루 등 고운사의 다양한 볼거리 *
일주문을 통과하여 맨 먼저 나타나는 건물이 신라 말 학자인 최치원이 세운 누각인 가운루로 옛날에는 이 누각 아래로 계곡물이 많이 흘러내렸다.
그래서 계곡에 잠기는 부분에는 돌기둥을 놓고 그 위로는 나무 기둥을 이어서 누각을 받쳤다.
이제는 예전처럼 물이 흐르지 않아 본래의 진가는 발휘하지는 못하지만 건물 자체의 정교한 아름다움은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그 옆에 서 있는 최치원이 세운 우화루 벽엔 커다란 호랑이가 그려져 있는데, 보는 방향에 따라 그 모습이 달라지는 걸작입니다.
대웅전 옆의 언덕배기에는 전통 깊은 수도 선원 고금당이 자리 잡고 있으며 고금당 옆에 맵시 있게 지어진 자그마한 당우 한 채가 나란히 서 있는데 대웅전으로 원래 쓰이던 나한전입니다.
나한전 앞에 있는 높이 2.5m의 단정한 맵시를 자랑하고 있는 고운사 3층 석탑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석탑입니다.
대웅전 왼쪽으로 돌아앉은 약사전엔 불상광배의 조각 수법이 뛰어난 석조석가여래 좌상이 모셔져 있는데 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고운사에 자리잡고 있는 명부전에는 염라 10왕이 모셔져 있는데, 영험 있는 기도처로 알려져 있어서 사람들이 많이 드나든다.
[주요문화재]
1) 고운사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2) 고운사가운루(지방유형문화재)
3) 고운사삼층석탑(문화재자료)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고운사(의성) 기본 정보
금봉자연휴양림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금봉자연휴양림 소개
* 자연과 하나가 될 수 있는 쉼터, 금봉자연휴양림 *
금봉자연휴양림은 옥산면 소재지에서 휴양림으로 청정자연 휴식공간으로서 의성군에서 2004년 조성하였습니다.
휴양림 내에는 산림휴양관, 복합수련관, 숲속의 집, 통나무산막과 다양한 숲속 체험을 제공하는 야영데크, 캠프화이어장, 샤워장, 취사장 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가운데 복합수련관은 세미나실, 대회의실, 소규모공연장 등을 갖추고 있어 단체행사가 가능하고 통나무산막은 참나무, 소나무, 가문비나무, 자작나무 등 다양한 식생의 나무들로 이루어져 자연의 향취를 느낄 수 있습니다.
금봉자연휴양림에는 분수와 무지개다리를 관망할 수 있는 팔각정과 휴양림을 감싸고 있는 6.4km의 등산로 2코스, 7.4km의 청석골 산책로 및 시화산길, 단거리 산책로 등도 조성되어 있습니다.
휴양림을 감싸고 있는 등산로와 청석골의 산책로는 조용한 산행의 정취를 느낄 수 있습니다.
봄이면 사과 꽃이 만개한 꽃길, 여름에는 시원한 시냇물과 어우러진 풀벌레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형형색색으로 갈아입는 단풍길과 빨간 고추잠자리 떼를 볼 수 있는 가을 뿐 아니라, 겨울에는 눈 덮인 산과 놀래 달아나는 산토끼를 볼 수 있는 사계절이 풍요로운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금봉자연휴양림 기본 정보
의성 사촌리 가로숲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의성 사촌리 가로숲 소개
의성 사촌리 가로숲은 고려말 안동 김씨 입향조(入鄕祖)인 김자첨이 안동으로부터 이곳 사촌으로 이사를 와서 마을 서쪽의 평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기 위해 만든 방풍림이라고 전해진다.
사촌에서는 이 숲을 서림(西林)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현재 이 숲에는 나이가 300∼600년 정도되는 상수리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등 10여 종, 500여 그루의 나무가 자라고 있습니다.
의성 사촌리 가로숲은 조선 선조(재위 1576∼1608)대에 영의정을 지낸 서애 유성룡이 출생하였습니다는 전설을 간직한 숲으로 우리 선조들의 자연관을 알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습니다.
<출처 : 문화재청>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의성 사촌리 가로숲 기본 정보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소개
* 중생대 백악기의 공룡발자국 화석, 의성 제오리의 공룡발자국화석지 *
지금으로부터 약 1억15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의 공룡발자국 화석입니다.
1993년 6월 1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
공룡은 중생대의 주라기부터 백악기에 걸쳐 번성했던 길이 5∼25m의 거대한 파충류를 통틀어 말합니다.
의성 제오리의 공룡발자국화석은 군도의 확장공사를 하느라 산허리부분의 흙을 깎아내면서 발견되었습니다.
이곳에서 발견된 공룡발자국화석은 4종류에 모두 316개, 발굽울트라룡, 발톱고성룡, 발목코끼리룡 등 3종류의 초식공룡발자국과 육식공룡인 한국큰룡 발자국이 발견되었습니다.
이곳에서는 대·중·소형의 초식공룡과 육식공룡의 발자국이 동시에 발견되어 공룡의 서식지였음을 짐작케 합니다.
또한 발의 크기, 보폭, 걷는 방향 등이 아주 뚜렷하게 나타나있어 당시 공룡의 모습과 생활 등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기본 정보
의성 사촌마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의성 사촌마을 소개
경북 의성이라고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마늘일 것입니다.
그러나 한가지 놓치지 말아야 할 단어가 '의성'이라는 이름입니다.
'의로운 성'이라 이름 할 만큼 의로운 선비가 많았고, 반촌 마을이 많은 곳이 바로 의성입니다.
남부의 반촌이라 불리는 의성 산운마을이 있는가 하면, 북부의 반촌으로 알려진 안동 김씨, 안동 권씨, 풍산 류씨의 집성촌인 '사촌 마을'이 있는곳이 의성입니다.
사촌 마을의 이름은 중국의 사진리을 본 따서 지은 이름이라고 합니다.
송은 김광수, 서애 류성룡 등이 이곳에서 태어 났으며, 이곳 사촌마을에서 태어나 대과에 급제한 사람이 18명, 소과에 급제한 사람이 31명이었습니다고 합니다.
마을에 내려오는 전설에는 이 마을에 3명의 정승이 태어 난다고 하며, 신라시대 한 명, 조선시대 류성룡 그리고 한사람이 더 태어날 것이어서 마을 어른들은 출가한 여인들이 친정으로 돌아와 애를 낳는 것을 원치 않는 풍습이 있습니다고 합니다.
사촌마을은 풍수상 명당으로서 딱 하나가 부족했습니다고 하는데, 마을 뒷산으로 문필봉이 떡 버티고 서있고, 왼쪽으로는 좌산이 서있어 좌청룡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오른쪽 지형은 광활한 들판이어서 우백호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풍수를 위해 방풍림을 심었는데 지금 이 숲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는 '사촌리 가로숲"입니다.
마을에서는 서쪽에 있는 숲이라 하여 '서림'이라 부른다.
방풍림은 주로 팽나무, 상수리나무 등 참나무류가 대부분으로, 마을을 이룰때 심은 나무들이 이제 수령이 600년에 이르는 나무들로 자라, 길이 1km에 폭은 45m 정도의 숲길을 이루며 제방을 따라 산책하기에 좋은 숲길이 만들어 졌다.
사촌마을이 기록에 나타난것은 1392년으로 안동 김씨인 김자첨이 안동의 희곡에서 이주해 오면서 부터입니다.
오래된 마을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마을에는 지은지 100여년의 한옥들이 유독 눈에 많이 보입니다.
그 이유는 임진란때 의병을 일으킨 이 마을을 왜군들이 불태웠고, 구한말에는 명성황후 시해후 이곳에서 병신의병이 일어나자 일본군이 또다시마을을 불태우는 바람에 황폐화 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사촌마을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택은 1582년에 지은 만취당(경상북도 유형문화재)으로 조선 전기 문신이었던 김사원(1539∼1602)이 선조 15년(1582)부터 3년간에 걸쳐 세운 건물입니다.
만취당은 사랑채 격이지만 본채에서 떨어져 있어서 정자같은 느낌을 준다.
본채에는 사랑채가 따로 있는데, 규모가 매우 작다, 객을 맞을 별도의 만취당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사촌 김씨의 문화장소로 사용해 오며, 부석사 무량수전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사가의 목조건물이라 전해진다.
만취당에는 만년송이라는 오래된 향나무가 한그루 서 있습니다.
'만년송'이라는 소나무 이름을 붙였지만 소나무가 아닌 향나무다.
수령 500년으로 추정을 하지만, 김사원의 증조부이자, 류성룡의 외조부인 김광수의 '송은'이라는 호가 이 만년송에서 나왔다는 고사를 미루어 볼때 이미 송은 김광수때에도 이 만년송은 노송의 모습이었을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만취당은 대청마루와 온돌방을 갖춘 대형 건물로 만취당의 현판 글씨는 명필로 잘 알려진 한석봉의 글씨입니다.
마을 앞 기천 점곡2교를 건너면 보이는 왼쪽 언덕에 문화재 자료로 지정되어 잇는 영귀정 이라는 정자가 있습니다.
송은 김광수가 건립한 정자로 김광수는 이곳에 은거하여 살다.
9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사촌마을의 한가운데에는 마을의 유래와 볼거리, 특징, 전해오는 유물들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사촌마을자료관이 있습니다.
해설사가 상주하고 있으므로, 언제든지 방문하면, 사촌마을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의성 사촌마을에서는 마늘의 고장 답게 다양한 마늘 음식이 있는데, 마늘 삽겹살, 마늘 먹인 한우, 마늘 밥 등을 맛 볼 수 있고, 마늘 정식을 찾는 다면 의성 군청 근처가 유명하다.
인근에 의성 공룡발자국 화석, 의성 탑리 오층석탑, 금성산, 빙계계곡 등이 가이에 있고, 의성IC에서 가까운 탑산온천은 게르마늄온천으로 경상권에서는 제법 유명한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의성 사촌마을 기본 정보
홈페이지 의성군 문화관광 http://www.usc.go.kr/tour/main.tc
사촌마을스테이 http://sachon.co.kr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개방
비봉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비봉산 소개
비봉산은 일명 자미산이라고도 부르는 명산으로 고려시대 이전에는 태행산, 또는 대항산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삼국시대에 견훤이 이곳에 성을 쌓고 응거했습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이 산을 동쪽에서 바라보면 봉이 날개를 펼치고 앉아 있는 모습이며 남쪽에서 보면 장군이 투구를 쓰고 서있는 형국이고 북쪽에서 건너다보면 옥녀봉을 바라보는 용기찬 장군기상으로 보입니다.
북쪽에서 건너다보면 옥녀봉을 바라보는 용기찬 장군기상으로 보입니다.
북쪽 산밑으로는 예천군 지보면과 경계를 이루는 낙동강이 하얀 비단처럼 가로 놓여있고 사방으로 넓은 평야와 학가산, 팔공산, 보현산, 갑장산, 노악산, 속리산 등 명산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산 중턱 아래에는 고려 공민왕 17년(1368년)에 왕사였던 지공 선사와 나옹선사가 창건한 대곡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비봉산 기본 정보
의성 탑산약수온천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의성 탑산약수온천 소개
경북 의성군에 위치한 의성탑산약수온천은 1995년에 개장하였습니다.
수질이 뛰어나다는 소문과 함께 의성, 영주, 예천, 영양 등 경북 내륙 지역은 물론, 대구와 구미 등지의 주말 온천나들이 차량과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관광버스들이 줄지어 찾아들어 크게 성황을 이룬다.
약 7,000만 년 전 인근에 있는 금성산(金城山)의 화산 분출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수질은 pH 9.0~9.3℃이고, 토출온도는 25.7~26.9℃로 수온이 낮은 편입니다.
국내 최고 게르마늄온천(72.4㎍)으로 판명됐습니다고 합니다.
따라서 온천수의 효능도 남다르다.
피부미용, 당뇨, 혈압, 위장병, 관절염 등은 물론 항암작용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온천과 함께 즐길 수 있는 것 *
의성탑산약수온천에는 한번에 6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온천탕과 객실 30개 규모의 온천장시설 및 부대시설로 노래방, 요리전문점, 연회장, 농산물 직판장 등이 있습니다.
또한 중앙고속도로 옆에 있어 접근이 용이하며, 인근에는 수정사(水淨寺), 공룡발자국화석, 고운사(孤雲寺), 빙계계곡(氷溪溪谷), 의성 탑리 오층석탑 등 관광명소가 많이 있습니다.
온천으로 몸을 풀고 인근의 관광지를 여행하는 것도 온천여행으로 좋은 코스라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의성 탑산약수온천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usc.go.kr
운영 시간 06:00~20:30 코로나 이슈로 인해 변동이 있을수 있으니 유선확인 필요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무휴
개천지와 조성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개천지와 조성지 소개
*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연못, 개천지 *
1530년(중종 25년)에 간행된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오래된 못입니다.
조선 순조 때에 현인복(玄仁福) 고종 때에 남임린(南賃麟) 등 역대의 비안현감과 1913년에 강기덕(康基德) 등 오랜 세월에 황폐된 이 못을 중수하였습니다는 공덕비가 남아 있습니다.
규모가 커서 1,000여 정보의 안계평야에 개수(開水)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제방은 옛 제방에서 한자리 낮추어서 8.15 광복 직전에 착공하여 공정이 크게 진척되었습니다가 광복으로 중단되고 수해에 유실되는 비극을 겪기도 하면서 1952년 3월 31일 준공하게 되었습니다고 합니다.
1792년(영조 5년)에 간행된 비안현 여지승람(比安縣 輿地勝覽)에는 고개천지(古開天池)와 개천지(開天池)가 나란히 나타나는데 고개천지는 그 규모가 길이 490척, 가로 240척이라 하였고 개천지는 길이가 1,160척, 가로 750척이라 하였습니다.
유서 깊은 봉성산 아래서 경관이 아름답고 겨울에는 북녘 철새가 날아와 장관을 이루는가 하면 스케이트장이 되기도 하고, 봄부터 가을까지는 소풍객과 태공들이 국내 각처 멀리서 찾아오기도 합니다.
* 준공 당시 경북 최대의 규모를 뽐냈던 저수지, 조성지 *
구천면의 남쪽에 위치한 조성지는 1952년 11월에 시작되어 1959년 12월에 완공되었으며, 제방 길이 258m, 높이 18m, 물넘이 길이 85m, 저수량 400만톤, 만수면적 60ha, 유역 면적 1,855ha, 수리면적 700여ha로서 준공 당시는 경북 최대의 저수지였다.
1개 마을 40여호가 수몰이 되어 이주했으나, 저수지의 위치나 천혜의 조건이 잘 갖추어져 있는 곳이기도 하다.
저수량에 비해서 제당이 짧은 것이 특징이고, 수심은 깊어 만수면적도 개천지에 비해 넓지 않으나 2배의 저수량을 저수하게 됩니다.
깊은 산속에 바다처럼 넓은 호수가 있으니 겨울철에는 철새들이 찾아오는 진풍경이 아름답고 최근에는 태공들이 많이 찾아오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개천지와 조성지 기본 정보
의성 산운생태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의성 산운생태공원 소개
구 산운초등학교(폐교)를 활용하여 자라나는 세대의 자연학습 및 환경에 대한 가치관 형성을 위한 공간으로 마련하였습니다.
이곳은 자연생태관찰과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산교육장으로 의성의 명산인 금성산과 신라시대 의상조사가 창건한 수정사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보유수종은 관목류 및 초화류 53종이며, 주요시설로는 생태관 1동, 연못 2개소, 분수, 목교, 관찰데크, 솟대, 쉼터, 산책로 등이 있습니다.
넓은 마당에는 50여 종에 이르는 나무와 풀·꽃들이 자라며, 연못·분수·나무다리·관찰데크·솟대·장승·쉼터·산책로 등을 조성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의성 산운생태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anun.usc.go.kr
운영 시간 하절기(3~10월) 09:00~18:00
동절기(11~익년 2월) 09:00~17:00
쉬는 날 매주 월요일, 매년 1월 1일, 음력설날 및 추석 연휴기간, 생태공원 시설 안전점검이나 개ㆍ보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그밖에 군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정하는 경우
지금까지 경북 의성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청송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5.31 |
---|---|
경북 청도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5.30 |
경북 울진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5.26 |
경북 울릉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5.25 |
경북 예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