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고양의 멋진 풍경과 독특한 문화가 공존하는 베스트 10 관광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 순위를 참고하여 선정되었으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는 명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행을 준비 중이시라면 이 목록을 참고하시어,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보세요. 즐거운 여행 되세요!
고양 벽제관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고양 벽제관지 소개
고양 벽제관지는 우리나라에 오는 중국 사신의 공용 숙박시설이 있었던 곳입니다.
숙박시설인 벽제관은 1476년에 세워졌으며, 중국 사신들은 이곳에서 하룻밤 자고 다음날 예를 갖추어 서울에 들어가는 것이 관례였다.
또한 이곳이 중국으로 통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중국으로 가는 우리나라 사신들도 여기서 머물며 휴식을 취하곤 했습니다.
특히 임진왜란 때 명나라 이여송 장군이 이끄는 군대와 왜군과의 벽제관 싸움이 있던 자리이기도 하다.
지금의 자리는 1625년에 고양군을 옮길 때 세운 객관으로, 그 후의 보수 흔적은 확실하지 않다.
당시 규모는 면적 1,265평, 건물은 601평에 달하였습니다고 합니다.
벽제관은 관서지방으로 가는 큰 길에 설치된 첫 역관이었으며, 또한 국왕이 중국 사신을 친히 배웅하고 맞이하던 모화관에 버금가는 곳입니다.
한국전쟁으로 불타고 1960년 경까지 객관문은 남아 있었으나 결국 퇴락하여 무너져버리고, 지금은 터만 남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고양 벽제관지 기본 정보
북한산성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북한산성 소개
북한산성은 고양시 효자동과 서울 북부지역에 걸쳐있는 산성입니다.
백제가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였을 할 때 도성을 지키는 북방의 성으로 132년에 처음 축성되었습니다.
이 지역은 삼국시대 당시 고구려·백제·신라가 서로 차지하기 위해 다투던 전략적 요충지였다.
백제는 이 성에 핵심 군사력을 배치해 고구려의 남진을 막았으며, 4세기 근초고왕이 북진정책을 펼칠 때에는 북벌 군의 중심 요새로 삼았습니다.
고려 때인 11세기 현종이 거란의 침입을 피해 이 성에 태조의 재궁을 옮겼을 때 성의 중축이 있었습니다.
1232년에는 이곳에서 몽골군과 격전이 있었고, 1387년 성을 개축하였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외침을 겪으면서 도성 외곽의 토성을 고쳐 쌓자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그래서 1711년 숙종의 명령으로 대대적인 축성 공사를 시작하여 돌로 쌓은 성벽을 완성하였습니다.
현재의 북한산성은 삼국시대의 토성이 약간 남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조선 숙종 때 쌓은 것입니다.
성곽의 여장(성위에 낮게 쌓은 담)은 무너졌으나, 성체는 대부분 보존되어 있습니다.
대서문을 비롯해 시설의 일부가 남아 있으며, 장대지, 행궁지 등도 보존되어 있습니다.
북한산성 기본 정보
홈페이지 고양시 문화관광 https://www.goyang.go.kr
북한산국립공원 http://bukhan.knps.or.kr
운영 시간 [ 3~10월 ] 09:00 - 18:00
[ 11~2월 ] 09:00 - 17:00
주차시설 가능
요금(무료)
쉬는 날 연중무휴
고양 서삼릉(장경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고양 서삼릉(장경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소개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사적인 고양 서삼릉(西三陵)은 희릉(禧陵), 효릉(孝陵), 예릉(睿陵)의 3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종 계비 장경왕후의 무덤인 희릉이 처음 들어선 이후 인종과 인종비, 인성왕후의 무덤 효릉, 철종과 철종비 철인왕후의 무덤인 예릉이 조성되면서 3릉이 한양의 서쪽에 있습니다 하여 [서삼릉]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서삼릉에는 3기의 왕릉 이외에도 3기의 원과 1묘, 왕자, 공주, 후궁 등의 묘 47기, 태실 54기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1665년(인조 23) 소현세자가 죽자 소현세자를 이곳에 안장하고 소현묘(昭顯廟)라고 칭하였으나 1870(고종 7)에는 소경원(昭慶園)으로 개호하였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에 의해 조선 왕실의 태실, 왕자, 공주, 후궁 등의 묘가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으며, 해방 이후에 명종 후궁 경빈 이씨의 묘 외 6기의 묘를 옮겨왔다.
1944년에는 정조의 장남 문효세자의 묘인 효창원(孝昌園)이, 1949년에는 영조의 손자이자 사도세자의 장남 의소세손의 묘 의령원(懿寧園)이 이곳으로 옮겨왔으며, 1969년에는 성종 폐비 윤씨의 회묘(懷墓)가 서삼릉으로 옮겨왔다.
서삼릉 능역에는 의친왕과 의친왕의 모친 덕수 장씨의 묘도 있었으나 1996년 의친왕 묘가, 2009년엔 귀인 장씨(의친왕의 모친)의 묘가 서삼릉에서 홍유릉 경역으로 천장하여 서삼릉은 현재의 3릉 3원 1묘 및 왕자·공주·후궁 등의 묘 47기, 태실 54기의 구성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고양 서삼릉(장경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royaltombs.cha.go.kr/
운영 시간 2월~5월 / 9월~10월 매표시간 09:00~17:00 / 관람시간 09:00~18:00
6월~8월 매표시간 09:00~17:30 / 관람시간 09:00~18:30
11월~1월 매표시간 09:00~16:30 / 관람시간 09:00~17:30
주차시설 가능
요금(무료)
쉬는 날 매주 월요일
고양 서오릉 [유네스코 세계유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고양 서오릉 [유네스코 세계유산] 소개
서오릉(西五陵)은 동구릉(東九陵) 다음으로 규모가 큰 조선 왕실의 왕릉군으로 경릉(敬陵), 창릉(昌陵), 익릉(翼陵), 명릉(明陵), 홍릉(弘陵)의 다섯 능을 말하며, 그밖에 다른 원과 묘도 함께 있고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1457년(세조 3) 세조의 장자 의경세자(덕종)의 묘(현 경릉)를 처음으로 만든 이후 의경세자가 덕종으로 추존되면서 경릉이라고 개명하고, 덕종비 소혜왕후가 훗날 경릉에 같이 안장됩니다.
이후 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의 창릉, 19대 숙종의 원비인 인경왕후의 익릉, 숙종과 제1계비 인현왕후, 제2계비 인원왕후의 명릉, 21대 영조의 원비인 정성왕후의 홍릉이 차례로 조영되었습니다.
조선 왕실의 무덤은 묻힌 사람의 신분에 따라 왕과 왕비의 무덤은 능(陵), 왕의 생모, 왕세자, 빈의 무덤은 원(園), 대군과 공주 등의 무덤은 묘(墓)로 구분되어 불렸다.
서오릉에는 5기의 능 이외에도 조선왕조 최초의 원인 명종의 장자 순회세자의 묘 순창원(順昌園), 21대 영조의 후궁으로 사도세자(장조)의 어머니인 영빈 이씨의 묘 수경원(綏慶園), 19대 숙종의 후궁이자 20대 경종의 어머니인 희빈 장씨의 묘 대빈묘(大嬪墓)가 들어서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고양 서오릉 [유네스코 세계유산]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royaltombs.cha.go.kr/
운영 시간 2~5월, 9~10월 / 06:00~18:00
6~8월 /06:00~18:00
11~1월 / 06:00~17:30
마감 1시간 전까지 입장
주차시설 가능(소형차 44대, 장애인 주차구역 3대 가능)
요금(무료)
쉬는 날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다음날 휴무)
행주산성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행주산성 소개
행주산성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 덕양산의 7, 8부 능선에 쌓은 테뫼식(山頂式) 성으로 흙을 이용해서 쌓은 산성입니다.
덕양산 정상부를 에워싼 소규모의 내성(內城)과 북쪽으로 뻗은 골짜기를 에워싼 외성(外城)의 이중구조로 강안의 험한 절벽을 이용하고 동, 북, 서로 전개된 넓은 평야를 감싸고 있습니다.
성안에서는 삼국시대의 적갈색 연질 토기와 회청색 경질토기 등의 조각을 비롯하여 어골문(魚骨文), 수지문(手指文)이 새겨진 기와조각도 발견되고 있어 고려 시대까지도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권율(權慄) 장군이 의병과 승명을 포함한 2천3백 명과 함께 왜군 3만여 명을 크게 물리쳤다.
왜군을 격파하여 나라를 위기에서 벗어나게 하는데 큰 공을 세운 충장공 권율 도원수의 행주대첩을 기념하기 위한 매년 제례행사와 그 밖의 여러 가지 문화 행사가 개최되고 있습니다.
권율 도원수의 영정이 모셔져 있는 충장사에서 행해지는 이 제례에는 장군의 영혼을 불러들이기 위해 향을 피우고 제례를 지낸다.
선조들의 나라 사랑하는 마음과 지혜를 배울 수 있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행주산성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goyang.go.kr/haengju/index.do
운영 시간 [하절기(3~10월)]
- 주간 09:00~18:00 (입장마감 17:00)
- 야간(매월 2·4번째 토요일) 18:00~22:00 (입장마감 21:00)
[동절기(11~2월)]
- 주간 09:00~17:00 (입장마감 16:00)
- 야간 미운영
※ 장맛비, 태풍, 폭설 등 기상 상황에 따라 개장 시간이 변경될 수 있으니 악천후 시에는 사전에 문의(031-8075-4642,4643,4646) 후 방문요망
주차시설 가능 (제1주차장 80면 / 제2주차장 150면)
- 주차 1구획당 2,000원(카드 결제만 가능)
- 회전시간 10분 무료
- 주차문의 1522-2960(고양도시관리공사)
쉬는 날 매주 월요일(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그 다음 평일 휴관)
일산호수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일산호수공원 소개
호수공원은 면적이 30만 평에 이르는 동양최대의 인공 호수공원입니다.
9만 여평의 담수호에 깨끗한 물 관리를 위해 잠실수중보상류의 상수원을 약품 침전시켜 맑은 물을 담수 (방류)하고 있습니다.
수변광장, 인공섬 등 공원을 순환하는 4.7㎞의 자전거 전용도로와 어린이 놀이터, 자연학습장, 단장학(두루미), 음악분수 및 100여 종의 야생화와 20여만 그루의 울창한 숲은 가족들의 휴식공간과 각급학교에서 자연을 배우는 학습장으로 수도권 휴식명소로 각광받고 있으며, 고양꽃박람회와 전시회가 개최되는 장소로 유명하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일산호수공원 기본 정보
테마파크 쥬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테마파크 쥬쥬 소개
쥬쥬랜드는 동물과 로봇, 그리고 사람을 주제로 하는 Family형 종합 테마파크로 서로 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공간입니다.
자연친화적인 환경에서 실내와 실외에서 다양한 동식물과의 교감을 통해 자연과 공존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곳입니다.
또한 차세대 산업인 로봇기술을 체험하고, 관심을 갖고 혁신적인 미래형 인재에 한걸음 더 나아가는 동기를 제공합니다.
개방형 동물원으로 아이들과 동물들에게 먹이주기 체험을 할 수 있고, 로봇공연과 드론 공연을 합니다.
또한 액티비티를 위한 글램핑장, 수영장, 카페 등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어디에서도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생태교육의 장(場)으로 도심을 벗어나 자연과 교감하고, 일상 속에 녹아든 IT 기술을 체험하며 공존의 가능성과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테마파크 쥬쥬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zoo.muv.kr/
운영 시간 10:00~19:00
주차시설 가능
요금(무료)
쉬는 날 매주 월요일 정기 휴무(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운영)
원당종마목장 (렛츠런팜 원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원당종마목장 (렛츠런팜 원당) 소개
서울 근교 고양시 서삼릉에 인접한 원당 종마목장은 마필의 개량과 증식을 목적으로 한국마사회에서 설치하여 운영하는 곳입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게임이 있을 때는 크로스컨트리 종목의 경기장으로도 활용되었습니다.
목장의 목가적 풍경에 반한 시민들의 요청으로 1997년부터 일반인에게도 일부 시설이 개방되었고 그 이후 드라마 촬영지로 더욱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위험 시설이 많아 개방 지역을 제한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특별한 볼거리보다는 말이 방목되어 있는 목가적인 풍경을 산책하면서 즐길 수 있습니다.
이곳은 승마를 배우거나 말먹이주기 체험 등을 진행하는 곳이 아닌 산책로와 그늘막, 잔디광장, 화장실 등을 개방하기 때문에 조용히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주변에 높은 건물이 없어 탁 트인 초원과 높은 하늘을 마음껏 느낄 수 있고 인근에 있는 서삼릉과 함께 둘러봐도 좋다.
산책길 언덕 위쪽으로는 의자와 매점이 있어 쉬어갈 수 있는 곳입니다.
* 면적 - 약 363,638㎡(110,000평)* 초지면적 - 약 165,290㎡(50,000평)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원당종마목장 (렛츠런팜 원당)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park.kra.co.kr/parkuserseoul/wondangInfo.do
운영 시간 하절기(3~10월) 09:00~17:00
동절기(11~2월) 09:00~16:00
주차시설 가능
요금(무료)
쉬는 날 매주 월, 화 / 공휴일 / 명절 / 한국마사회 휴일
고려 공양왕릉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고려 공양왕릉 소개
고려 공양왕릉은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재위 1389∼1392)과 그의 부인 순비 노 씨의 무덤입니다.
공양왕은 이성계 등에 의해서 즉위한 이름뿐인 왕이었습니다.
조선 건국 직후 원주로 추방되었습니다가 1394년에 삼척부에서 두 아들과 함께 살해되었습니다.
1416년에 공양왕으로 봉하고 고양현에 무덤을 마련하였습니다.
왕과 함께 묻힌 왕비는 노신의 딸로 숙녕, 정신, 경화 세 공주와 창성군을 낳았으나 고려가 멸망한 후 왕과 함께 폐위되었습니다.
무덤은 쌍릉 형식으로 무덤 앞에는 비석과 상석이 하나씩 놓여 있고, 두 무덤 사이에 석등과 돌로 만든 호랑이 상이 있습니다.
이 호랑이 상은 고려의 전통적인 양식을 보여주고 있으나, 조선 초기의 왕릉인 태조와 태종 무덤의 것과 양식이 비슷하다.
무덤의 양쪽에는 문신과 무신상을 세웠다.
무덤 앞에 만들어 놓은 석물은 양식과 수법이 대체로 소박하다.
비석은 처음에 세운 것으로 보이지만 고려 공양왕 고릉이라는 글씨가 있는 무덤을 표시하는 돌은 조선 고종 때에 세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고려 공양왕릉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goyang.go.kr/visitgoyang
http://www.cha.go.kr
운영 시간 상시
주차시설 가능(공양왕릉 앞 주차장 이용)
요금(무료)
쉬는 날 연중무휴
흥국사(고양)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흥국사(고양) 소개
흥국사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한미산 기슭에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입니다.
신라 문무왕 원년인 661년에 당대 최고의 고승이었던 원효가 북한산 원효암에서 수행하다가 약사여래를 만난 곳에 흥성암이라는 절을 지은 것이 흥국사의 시초라고 전해진다.
원효는 본전에 약사여래(중생의 질병을 고쳐주는 약사신앙의 대상이 되는 부처)를 봉안하면서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난 곳이라 많은 성인 배출될 것이라는 뜻에서 흥성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 이후 조선 숙종 12년인 1686년에 중창하면서 다시 부흥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 씨의 묘인 소녕원에 다녀오던 길에 이 절에 들렀습니다가, 직접 지은 시를 편액으로 만들어 내리고 숙빈 최 씨의 원찰로 삼으면서 영조와 정조 대에 크게 발전했습니다.
영조가 하룻밤 머문 후 절 이름은 흥국사로 개칭되었으며, 절이 자리 잡은 산도 원래 이름인 노고산에서 한미산으로 바뀌었습니다.
본전인 약사전 안에는 약사여래상과 정조 16년에 제작된 약사후불탱화가 있습니다.
극락구품도와 괘불 탱화가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약사전과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은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칠성각을 고쳐 지은 나한전이 고양시 향토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 가운데 극락구품도는 전체 그림을 아홉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극락을 묘사한 그림입니다.
이 밖에도 신도들을 위한 다양한 법회를 주관하고 있으며, 부처의 뜻을 전하는 불교대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템플스테이의 경우 당일형, 체험형, 휴식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숲속을 거닐고 따뜻한 차와 함께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고 온전한 휴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흥국사(고양)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heungguksa.or.kr
http://heungguksa.templestay.com
주차시설 가능
요금(무료)
쉬는 날 연중무휴
지금까지 경기도 고양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