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진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충북 진천의 다채로운 매력을 선보이는 베스트 10 관광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목록은 한국관광공사의 인기 순위를 기반으로 선정되었으며, 독특한 자연 경관, 흥미로운 역사와 문화, 그리고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 명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특별한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이 목록을 참고하시어, 멋진 추억을 만들어보세요. 즐거운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
진천향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향교 소개
조선 태조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습니다.
1804년(순조 4)에 명륜당과 동재(東齋)·서재(西齋)를 중수하고 풍화루를 건립하였으며, 1816년에 대성전을 중수하였습니다.
그 뒤 1851년, 1873년, 1935년, 1942년, 1959년, 1966년, 1967년, 1972년에 각각 중수하였습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 4 현(宋朝四賢)의 위패를,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 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 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습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향교 기본 정보
진천 이시발 신도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이시발 신도비 소개
진천 이시발 신도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시발(1569∼1626) 선생의 행적을 기리고 있습니다.
신도비란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입니다.
이시발은 오촌 대건의 아들로 청원군 오창면 오근리(현 청주시 오근장)에서 선조 2년(1569년)에 태어났다.
선조 22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되었고, 임진왜란(1592), 이봉학의 난(1596), 이괄의 난(1624) 당시 큰 공을 세웠다.
생을 마친 후에는 영의정에 추증되었습니다.
선조, 광해군, 인조에 걸친 세 임금을 섬기면서 백성의 생활안정과 지방민을 평온하게 하였던 그의 공로를 찬양하고자 이 비를 세웠다.
조선 효종 9년에 세운 비로, 비문은 송시열이 글을 짓고, 송준길이 글씨를 썼으며, 이정영이 새겼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이시발 신도비 기본 정보
홈페이지 진천군 문화관광 https://www.jincheon.go.kr/site/tour/
국가유산청 https://www.khs.go.kr/
운영 시간 상시개방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만뢰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만뢰사 소개
만뢰사는 조감의 위패를 모셔 놓고 그 공적을 후손이 기리도록 하고 있습니다.
병자호란 당시 의병장인 조감은 만노성에서 유창국과 더불어 통솔자가 없어 방황하는 수천 명의 피난민을 이끌고 만노성에 침입한 외적을 물리친 공을 세웠다.
조감은 사후에 예조판서에 올랐다.
1851년(철종 2) 백곡면 가죽리에 죽계사를 세워 김유신과 함께 조감을 배향하였습니다가 고종 때의 서원철폐령으로 죽계사가 철거되면서 배향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해방 후인 1949년 진천 길상사에서 다시 조감을 배향하였습니다가, 1961년 후손들과 지방 유림들의 노력으로 지금의 백곡면 갈월리 강당마을에 새로 만뢰사를 건립하여 조감을 배향하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만뢰사 기본 정보
진천 연곡리 석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연곡리 석비 소개
연곡리 사지는 진천읍 연곡리 비립 마을 바로 뒤에 있으며, 삼층 석탑이 남아 있고, 인근의 연곡리 석비를 통하여 고려 때 절터로 추측됩니다.
현재 이곳에는 삼선 포교원의 보탑사가 있습니다.
진천 연곡리 석비는 발견 당시 비석에 비문이 없어 일명 백비라고도 하며, 원래는 비문이 있었으나 오랜 세월에 걸쳐 지워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그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형 형식으로 보아 고려 초기 또는 중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됩니다.
진천 연곡리 석비는 화강암으로 되어 있으며 좌대는 거북 모양이고 이수는 아홉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물려고 하는 모습인데 그 조각 솜씨가 뛰어나다.
석비 옆에는 석불 좌상과 사리탑으로 추측되는 삼층 석탑이 남아 있습니다.
현재 이 앞에는 전통적인 공법으로 목탑을 재현하는 등 현대의 불교 유적이라고 할 수 있는 보탑사가 건립되어 많은 참배객이 많이 찾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연곡리 석비 기본 정보
서한순 효자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서한순 효자문 소개
서한순 효자문은 진천군 사석리 민가의 낮은 언덕 위에 조성되어 있습니다.
이 효자문은 6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오직 부모님에 대한 지극한 효성으로 일생을 마친 서한순의 효행을 길이 후세에 기리기 위해 1971년 6월 6일에 건립한 효자 정문입니다.
서한순 효자문은 목재를 이용한 기와집 형태로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습니다.
지방의 유림의 건의로 효자문을 세우도록 건의하였으나 조선조 말엽의 혼란과 외세 침략으로 정려(충신, 효자, 열녀 등을 그 동네에 정문을 세워 표창하던 일)되지 못하다가 1971년에서야 지방 유림이 당시의 감사, 현감 등의 표창장을 자료로 효자 정문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서한순 효자문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jincheon.go.kr/site/tour
운영 시간 상시개방
주차시설 있음(언덕 위 효자문 조성한 곳 공터 주차 가능)
영수사(진천)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수사(진천) 소개
영수사는 비지정문화재로 1977년 단국대학 학술조사 연구반에 의해 문화재 가치를 인정받은 사찰이며 목조로 되어있습니다.
이 절은 진천의 명산의 하나인 두타산의 영기를 받아 만병통치의 약수가 흐르고 있어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습니다고 하며 한여름에는 얼음보다 차가운 물 때문에 더욱 붐비는 곳이었습니다고 합니다.
이렇게 정기가 서린 곳에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신주들이 모이지 않을 수가 없으며, 사찰이 서지 않을 수 없는 당연한 명당으로 알려졌다.
이곳에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가, 2008년 3월 12일 보물로 변경된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탱이 있습니다.
모시에 채색으로 그린 이 불화는 석가모니불이 인도의 영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심인 법사의 발원에 따라 화공 비거 명옥, 소읍 현욱, 법능이 그린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또한 진천 영수사 신중도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이며, 조선 후기 형식과 양식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그림에 불화를 그린 화공의 기록이 남아 있고 절대편년이 나오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불화를 그린 사람들은 경기도와 전라도, 경상도 등에서 19세기 후반 활발하게 활동하였던 화공들로 조선 후기 불교 회화사에서 저명한 인물들이며, 현재 불화의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영수사(진천) 기본 정보
진천 금성대군 사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금성대군 사당 소개
진천군에 위치한 금성대군 사당은 세종대왕의 여섯째 아들인 금성대군(1426∼1457)을 봉향하고 있는 사당입니다.
조선 영조 16년(1740)에 창건하고, 1974년에 삼문과 담장을 보수하였습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금성대군은세종의 여섯째 왕자로 이름은 이 유,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입니다.
세조 2년(1456) 성삼문 등 사육신의 단종 복위운동이 실패하자 이에 연류되어 순흥으로 유배되었는데 다시 단종 복위를 꾀하다 고변을 당하여 이듬해 사사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금성대군 사당 기본 정보
홈페이지 진천군 문화관광 https://www.jincheon.go.kr/site/tour/
국가유산청 https://www.khs.go.kr/
운영 시간 상시 개방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진천 정송강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정송강사 소개
정송강사는 송강 정철선생(1536∼1593)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으로 지방기념물입니다.
선생의 묘소는 원래 경기도 고양군 원당면 신원리에 있던 것을 현종 6년(1665)에 우암 송시열이 지금의 묘소로 자리를 정하고 그의 후손 정양이 이장하여 사우를 창건하였으나 규모가 작아 1979년에 전면 신축 정화하였습니다.
사당은 목조 19평 맞배지붕이고 유물전시관은 시멘트 32평 팔작지붕으로 되어있습니다.
경내에는 송강 묘소와 신도비가 있으며 송강 선생의 은배, 옥배 그리고 연행 일기 65일 분과 친필 편지 등이 보관, 전시되어 있습니다.
정송강사 왼쪽에 있는 마른 억새풀이 우거진 오솔길을 오르다 보면 송강의 묘소가 나온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정송강사 기본 정보
진천 길상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길상사 소개
길상사는 진천 도당산에 있는 삼국통일의 위업을 완수한 흥무대왕 김유신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입니다.
신라 때부터 장군의 태가 묻힌 태령산 아래 사당을 건립하고 국행제를 지내오다가 조선 태종 8년부터 관행제로 치제하였습니다.
그 뒤 임진 병자 양란 시 병화를 입어 폐허가 된 것을 철종 2년(1851) 백곡 가죽리에 죽계사자리에 계양묘를 건립하였으나 1926년에 도당산에 길상사를 재건하고 1959년에 개축하였는데 1975년에 정화하여 길상사를 전면 신축하였습니다.
* 시대 - 통일신라시대* 관리 - 진천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길상사 기본 정보
진천 농다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농다리 소개
진천 농다리는 사력 암질의 붉은 돌을 쌓아서 만들어진 다리로, 28칸의 교각입니다.
지방유형문화재로서 길이는 93.6m, 폭 3.6m, 교각 1.2m 정도이며, 교각 사이의 내폭은 80cm 내외입니다.
석회 등을 바르지 않고 그대로 쌓았는데도 견고하며 장마가 져도 유실됨이 없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다리는 고려 초엽 시대의 권신, 임 장군이 놓았습니다는 돌다리로 규모도 크고 축조술도 특이하다.
정자, 산책로, 초평저수지까지 연결된 수변데크 등이 조성되어 새로운 관광명소로 자리 잡았으며, 신비로운 다리 모양과 주변 풍경이 잘 어우러져 드라마 촬영지로도 등장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천 농다리 기본 정보
지금까지 충북 진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