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공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충남 공주의 다양한 매력과 흥미로운 볼거리를 담은 베스트 10 관광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목록은 한국관광공사의 인기 순위를 기반으로 선정되었으며, 자연의 아름다움, 풍부한 역사, 그리고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하는 명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족, 친구 또는 연인과 함께하는 여행에 이 목록을 참고하시어, 행복한 추억을 만들어보세요. 즐거운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
연미산 자연미술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연미산 자연미술공원 소개
연미산 자연미술공원은 ‘자연미술’로 특성화된 국내 유일의 친환경 생태미술공원입니다.
(사)한국자연미술가 협회-야투가 주관하는 금강 자연미술 비엔날레와 야투 자연미술 국제 레지던스 프로그램 등을 통해 조성되며 국내외 작가들의 야외 설치작품 100여 점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설치 작품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그 수명의 한계에 따라 지속적으로 교체되어 매번 새로운 감동으로 감상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연미산 자연미술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natureartbiennale.org/
운영 시간 - 3~10월 10:00~18:00 (입장 마감 17:00)
- 11월 10:00~17:00 (입장 마감 16:00)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 매주 월요일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은 정상운영)
- 12~2월 동절기 휴관
계룡산국립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계룡산국립공원 소개
1968년 12월 31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계룡산은 대전광역시, 공주시, 논산시에 걸쳐있는 충남 제일의 명산입니다.
차령산맥과 노령산맥 사이에 이룩된 산지로 능선이 닭의 볏을 머리에 쓴 용의 모습과 닮았습니다고 하여 계룡이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으며, 풍수지리에서도 명산이며, 무속신앙과 관계 깊은 신비스러운 산입니다.
주봉인 천황봉 (845.1M)을 비롯하여 삼불봉, 연천봉, 관음봉 등 열댓 개의 봉우리와 서쪽에 용문폭포, 동쪽에 은선폭포, 남쪽에 암용추, 숫용추폭포를 어우르고 있는 명산 명소입니다.
봄에는 동학사 진입로변의 벚꽃터널, 여름에는 동학사 계곡의 신록, 가을에는 갑사와 용문폭포 주위의 단풍, 겨울에는 삼불봉과 자연성능의 설경이 장관을 이룬다.
계룡산에는 유서 깊은 절과 전설이 담긴 유적들이 곳곳에 많다.
동쪽의 동학사, 서북쪽의 갑사, 서남쪽에 신원사, 동남쪽에 용화사가 있고 갑사삼신괘불탱 등 국보 2점, 쇠로 된 당간과 당간지주 등 보물 7점과 신원사 오층석탑 등 지방문화재 9점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계룡산국립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gyeryong.knps.or.kr
주차시설 가능 (동학사주차장, 동학사제2주차장, 갑사제1주차장, 갑사제2주차장)
은선폭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은선폭포 소개
은선폭포는 계룡산국립공원 내 동학사계곡의 유일한 폭포입니다.
쌀개봉과 관음봉으로 둘러싸여 있는 동학사계곡 상류의 옥처럼 맑은 물이 암벽을 타고 떨어진다.
폭포 앞의 기암절벽은 아름다움의 정수를 보여주고, 멀리 보이는 쌀개봉의 위용이 경이로우며, 이토록 아름다운 경치 속에서 옛날 신선이 숨어 살던 곳이라 해서 은선폭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물줄기가 떨어지면서 운무가 피어나는 경관이 빼어나게 아름다워서 은선폭포 운무라고 부르며 계룡팔경 중 제7경으로 꼽힌다.
계룡산 정상부 주변에 있어 폭포를 형성할 만큼의 유수량을 일 년 내내 유지할 수 없어 갈수기에는 물이 거의 떨어지지 않습니다.
동학사에서 은선폭포로 오르는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쉽게 찾아갈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은선폭포 기본 정보
홈페이지 계룡산국립공원 http://gyeryong.knps.or.kr
전화번호 042-825-3002∼3
주차시설 있음(등산로 입구 주차장)
요금(경형 2,000원
중소형 4,000~5,000원
대형 6,000~7,500
※ 정기버스 무료(정기주차 제외))
갑사계곡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갑사계곡 소개
갑사계곡은 계룡산국립공원 내 산 북서쪽 자락 갑사방면에 위치한 계곡입니다.
계룡산국립공원에 있는 7개의 계곡 중 가장 빼어나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여름에도 서늘하게 느껴질 만큼 시원하다.
5리숲이라고 불리는 갑사 진입로는 가을이면 단풍으로 벌겋게 달아올라 장관을 이룬다.
사찰 입구에 철당간지주, 부도, 동종 등 문화 자원이 많이 있습니다.
용추교에서 용문폭포 구간은 탐방로와 계곡이 인접해 있어 산행할 때 즐거움을 더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갑사계곡 기본 정보
신원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신원사 소개
신원사는 계룡산국립공원 남서쪽 자락에 위치한 사찰입니다.
동학사, 갑사와 함께 계룡산 3대 사찰로 불린다.
백제 의자왕 11년(651)에 창건되어 여러 번의 중건을 거쳤으며 1876년, 1946년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재의 신원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위치를 옮긴 것으로 전해지며 원래의 건물터는 신원사와 중악단 남쪽에 있는 넓은 밭으로 추정됩니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국보로 지정된 노사나불 괘불탱을 소장하고 있으며 대웅전, 중악단, 5층석탑, 소림원 석고미륵여래입상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신원사 기본 정보
운영 시간 일출~일몰
주차시설 가능(소형 20대)
쉬는 날 연중무휴
갑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갑사 소개
갑사는 공주시 계룡산국립공원 내 계룡산 북서쪽 자락에 위치해 있으며 통일신라시대 화엄종 10대 사찰 중 하나였던 명찰입니다.
노송과 느티나무 숲이 우거져 있으며 예로부터 춘마곡추갑사(春麻谷秋甲寺)라는 말이 전해질 만큼 아름다운 가을 단풍을 자랑합니다.
백제 구이신왕 원년인 420년에 고구려에서 온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이 이 절의 시초입니다.
갑사는 계룡갑사, 갑사, 갑사사, 계룡사 등으로 불리었으며, 그중 갑사는 하늘과 땅과 사람 가운데서 가장 으뜸간다(甲)고 해서 갑사가 되었습니다고 전합니다.
조선시대 숭유억불에서도 열외가 되고 오히려 왕실의 비호를 받아 [월인석보]를 판각하기도 하였습니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전소되다가 1604년(선조 37) 대웅전과 진해당 중건을 시작으로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이러한 역사 덕분에 지금도 사찰 내부에 각종 귀중한 문화재가 보존되고 있습니다.
사찰 주위에는 용문폭포, 수정봉, 천진보탑, 군자대 등 수려한 경치의 명소들이 줄지어 있으며 특히 남쪽 계곡은 이른바 9곡을 이루어 절경으로 소문나 있습니다.
일반인은 사찰에서 열리는 법회와 템플스테이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갑사 기본 정보
동학사(공주)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동학사(공주) 소개
동학사는 공주시 계룡산국립공원 내 계룡산 동쪽 자락에 자리한 유서 깊은 사찰입니다.
천년고찰 동학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최초의 비구니 강원(승가대학)으로, 150여 명의 비구니 스님들이 수행과 포교에 필요한 제반 교육을 받으며 정진하고 있습니다.
비구니 스님들이 경 읽는 소리가 맑은 계곡에 흐르는 물소리와 하나로 어우러져 고즈넉한 산사에 청아함을 더해준다.
동학사는 대전, 계룡과도 가까우며 주변에 많은 볼거리가 있어 많은 사람이 찾습니다.
특히 박정자삼거리에서 동학사에 이르는 약 3km 거리의 가로수는 벚나무로 이루어져 봄이면 벚꽃 터널이 장관을 이루고 매년 봄에는 동학사 봄꽃축제가 열린다.
동학사 내 위치한 삼성각, 삼층석탑, 숙모전은 1984년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동학사(공주) 기본 정보
마곡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마곡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소개
공주 마곡사는 신라 선덕여왕 9년(640) 자장(慈藏)이 창건한 사찰입니다.
마곡사라는 이름은 신라의 보철화상이 설법전도할 때 모인 신도가 삼밭의 삼대 같다고 하여 지은 것이라 합니다.
창건 당시에는 30여 칸의 대사찰이었으나 현재는 대웅보전, 대광보전, 영산전, 사천왕문, 해탈문 등이 남아있습니다.
그 외 오층석탑, 괘불 1폭, 목패, 조선 세조가 탔던 연, 청동향로, 고서적들이 있습니다.
고려 후기 불교문화의 대표적 유산인 금물과 은물로 베껴 쓴 필사 불경도 여러 점 전해진다.
마곡사 일대는 조선조 십승지지, 즉 전란기에 위험을 피할 수 있는 특별한 지역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따르면 마곡사는 임진왜란의 전란을 피하였으며, 6.25전쟁 때도 병화를 입지 않고 살아남았습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으로 선정되었으며 사찰 내 여러 문화재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와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습니다.
마곡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기본 정보
공주 공산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공주 공산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소개
공산성은 백제시대의 대표적인 성곽으로 백제의 수도가 공주였을 때 공주를 지키던 백제의 산성입니다.
백제 성왕 16년(538)에 부여로 도읍을 옮길 때까지의 백제 도성이었으며, 이후 조선시대까지 지방 행정의 중심지였던 곳으로 역사적 가치가 큰 중요한 유적입니다.
금강변 야산의 계곡을 둘러싼 포곡형(包谷形) 산성으로, 원래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으나 조선시대에 석성(石城)으로 고쳤다.
쌓은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며, 백제 때에는 웅진성으로, 고려시대에는 공주산성 또는 공산성으로, 조선시대 이괄의 난(1623)으로 인조가 피난한 이후 쌍수산성으로 불렀습니다.
백제 멸망 직후에 의자왕이 잠시 머물기도 하였으며, 백제부흥운동의 거점지이기도 하였습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김헌창의 난(822)이 일어나기도 하였습니다.
동서로 약 800m, 남북으로 400m 정도의 장방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4방에 문터가 확인되는데, 남문인 진남루와 북문인 공북루가 남아있습니다.
동문과 서문은 터만 남아있었는데, 993년에 동문터에는 영동루, 서문터에는 금서루를 복원하였습니다.
암문, 치성, 고대, 장대, 수구문 등의 방어시설이 남아 있으며, 성 안에는 쌍수정, 영은사, 연지, 임류각지, 만하루지 등이 있습니다.
또한 연꽃무늬 와당을 비롯하여 백제 기와, 토기 등의 유물들과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유물들이 많이 출토되었습니다.
성곽을 따라 걸으면 공주 시내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백제문화제 기간에는 공산성 앞에서 금강신관공원까지 부교로 건널 수 있습니다.
금서루에서는 백제왕국의 위풍당당함을 ‘웅진성수문병근무교대식’으로 볼 수 있고, 금강신관공원에서는 밤풍경이 아름다운 공산성 감상이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공주 공산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gongju.go.kr
운영 시간 하절기(3월~10월) 9:00~18:00
동절기(11월~2월) 9:00~17:00
※ 종료 30분 전까지 입장
주차시설 가능
쉬는 날 1월 1일 / 명절 당일
성곡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성곡사 소개
성곡사는 고불산에 자리한 사찰로 1982년 주지 관묵이 불사를 시작했습니다.
여러 성인들이 주석하고 있는 골짜기라는 뜻의 이름으로 풍광이 뛰어나 개인적인 기도뿐만 아니라 관광을 위해 찾는 사람이 많다.
대웅전, 종각, 삼성각, 명부전, 나한전, 천불전, 지장전, 명부전, 와불전, 약사전에 이어 2006년 관음전을 건립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천불전 중앙에는 높이 18m의 좌불이 있는데, 이는 국내에서 가장 큰 좌불입니다.
좌불 주위로 석가모니의 10대 제자상이 있으며, 그 뒤로는 동판에 새긴 금강경이 병풍처럼 둘려 있습니다.
또, 약사여래불, 미륵불, 지장보살불, 와불, 아미타불 등 10m가 넘는 거대한 불상이 있으며, 대부분 전각 없이 노천에 있어 일반적인 사찰 배치와는 다른 독특한 구조를 볼 수 있습니다.
한 개인의 서원(誓願)을 담는 원불(圓佛)로 천불전에 야광여래 333,333불을 모시고 있어 참회기도 도량의 면모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성곡사 기본 정보
지금까지 충남 공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