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원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경기도 수원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수원 화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수원 화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소개
조선 태종때 도호부로 승격된 수원은 한성 4진의 하나였다.
한양을 중심으로 동서남북 방향인 광주, 강화, 수원, 개성에 진을 설치하여 수도 한양을 보위케 한것입니다.
그 수원땅을 지키고 있는 화성은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역사적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상설 공연을 진행하고, 매년 가을이면 수원화성문화제를 개최하여 수원 화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팔달산(143m)을 중심으로 쌓은 화성(사적)은 총길이가 5,700m에 달합니다.
화성은 단순한 하나의 '성'이 아니다.
역사적 의미와 함께 건축학적으로도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
화성의 축성은 정조의 한과 효심에서 비롯됐습니다.
1762년 영조 38년 윤 5월21일 사도세자 (장조:고종때 추존)는 당쟁으로 인하여 한여름 뒤주 속에 갇혀 8일만에 죽었습니다.
사도세자의 아들 정조는 당시 11세였다.
할아버지 영조의 뒤를 이은 정조는 즉위 13년만에 부친의 고혼을 위로키 위해 묘를 양주 땅 배봉산(지금의 서울시 전농동)에서 수원 화산으로 옮기고 수원을 자신이 이상으로 꿈꾸는 신도시로 건설하고자 정조 18년 정월부터 20년9월까지에 걸쳐 성곽을 축성하였습니다.
화성은 조선 성곽제도의 최고 완성형입니다.
한국성곽 발달사에서도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이 성은 석성과 토성의 장점만을 살려 축성됐습니다.
화성축성에 매달린 선조들은 한국성곽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중국과 서양의 축성술을 본뜨기도 했습니다.
이 성에 관련된 사항은 "화성 성역의궤"에 자세히 기록돼 있습니다.
화성의 건축과 관련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다산 정약용입니다.
당시 30세였던 다산은 왕실서고 규장각에 비치된 첨단서적들을 섭렵하고 중국에서 들여온『고금도서 집성』5,000권을 참조해 새로운 성곽을 설계했습니다.
정약용은 거중기를 고안하기도 했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이 성에는 성문을 비롯, 48개의 시설물이 있었지만 현재 복원된 것을 포함해 41개의 시설물이 남아 있습니다.
보물 팔달문을 비롯해 팔달산을 둘러싼 시설 가운데 가장 높은 서장대, 화포를 감춰두고 적군에게 총을 쏘도록 축조된 남포루, 선조들의 정취가 가득한 방화수류정 등 200년전 건물엔 조선의 문화 향기가 가득하다.
화성은 1997년 12월4일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열린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창덕궁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됐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수원 화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기본 정보
화성행궁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성행궁 소개
행궁은 정조가 현륭원에 행차할때 임시 거처로 사용하던 곳으로 그 어느 행궁보다 크고 웅장하였으며 활용도도 높아 경복궁의 '부궁'이라는 말까지 생겨난 곳입니다.
정조 18~20년에 화성을 축성하고 팔달산 동쪽에 행궁을 건립했는데 평상시에는 유수부(지금의 시청) 관청으로 사용되던 곳입니다.
화성은 창룡문(동), 화서문(서), 팔달문(남), 장안문(북) 4개의 문루로 이어져 있으며, 뛰어난 건축술로 인해 세계 문화 유산으로 선정 되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최초의 신도시 개발 사례로도 평가받고 있습니다.
조선 22대 정조는 아버지 사도 세자가 뒤주 속에서 비극적인 삶을 마감하자 그 무덤을 당시 최고의 명당이라 평가받던 수원(현재의 화성시)으로 이장하였고, 능 주위에 살던 주민들을 팔달산 아래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도시와 성곽을 축성하였습니다.
화성의 국궁체험과 팔달산 정상의 효원의 종 타종, 행궁의 여러가지 전통문화체험은 우리 문화재를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외에도 대장금의상 입어보기, 소원성취 나무와 스탬프 찍기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성행궁 기본 정보
효원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효원공원 소개
1994년 효(孝)를 상징하는 각종 기념물을 세워 조성하였습니다.
어머니상 등 어린이들에게 효에 대한 마음을 일깨워 줄 수 있는 여러가지 조각상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자매도시 제주시를 상징하는 제주거리가 조성되어 있으며 전통팽이게임장도 들어서 있습니다.
잔디밭은 무료결혼식장으로도 활용됩니다.
농구장과 배드민턴장·족구장 등을 갖춰 청소년들이 많이 찾습니다.
1998년 7월 16일에는 청소년들을 위한 푸른쉼터로 지정되기도 하였습니다.
한편 공중화장실은 도내에서 가장 쾌적하고 아름다운 화장실로 손꼽힌다.
1999년 6월 조성된 제주거리는 길이 160m, 너비 3m로 돌하르방과 제주탄생신화의 주인공인 설문대할망상·해녀상 등이 있고 제주도 전통초가 모형과 한라산 노루상·정낭 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거리주변은 제주도 나무로 조성하였으며 길도 제주도의 돌로 포장하였습니다.
한편 제주시에서는 우당도서관 내에 수원 화성 모형을 설치하였습니다.
2000년 1월 1일에는 시민 1천명의 손도장을 받아 밀레니엄조형물을 세웠다.
공원 입구에서 경기도문화예술회관의 야외음악당에 이르는 430m거리는 문화관광부에서 문화의 거리로 지정하였습니다.
이 거리에서는 수원예술제 등 각종 문화행사가 열린다.
수원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도보로 20분 거리에 있으며, 인근에 수원성곽과 융건릉·용주사·광교유원지· 경기도문화예술회관·수원월드컵경기장 등이 있습니다.
공원에서 국민은행 동수원지점 맞은편까지 너비 15∼20m, 길이 440m의 거리는 나혜석거리입니다.
길 좌우로 벤치와 카페·레스토랑 등이 들어서 시민들의 도심 휴식터로 각광을 받습니다.
이 거리는 수원에서 출생하여 우리나라 첫 여성 서양화가가 된 나혜석 (羅蕙錫,1896∼1948)을 기념하여 조성한 곳입니다.
조명과 음향시설을 갖춘 만남의 광장과 분수대 등이 있으며, 음악공연과 전시회·행위예술을 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효원공원 기본 정보
운영 시간 24시간 이용 가능
주차시설 없음
쉬는 날 연중개방
나혜석거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나혜석거리 소개
나혜석 거리는 수원 태생인 최초의 한국 여성 서양화가 정월 나혜석 여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약 300m가량의 문화 거리로 문화예술회관, 효원공원, 야외 음악당 등을 연결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도로 내 분수대, 음악이 흐르는 화장실, 조경수가 잘 조성되어 있는 보행자 전용 도로로서 거리 공연과 같은 다양한 볼거리, 주변의 전문식당가로 먹거리가 산재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 문화와 만남이 공존하는 거리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나혜석거리 기본 정보
봉녕사(수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봉녕사(수원) 소개
봉녕사는 수원시 장안구 우만동 광교산 기슭에 자리하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입니다.
광교산 기슭에 자리한 봉녕사는 수원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로 고려 시대의 불상인 석조 삼존불과 대웅전 앞뜰에 수령 800여 년의 향나무는 봉녕사의 창건과 더불어 역사를 같이 한 산 증거로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1208년에 원각국사가 창건하여 성창사라 하였고, 1400년 경에는 봉덕사로 개칭하여 오다가 조선 예종원년1469년 혜각국사가 중수 하고 봉녕사라 하였습니다.
혜각국사는 세조로부터 스승예우를 받았으며 간경도감의 경전언해에 기여한 큰스님이기도 하다.
봉녕사는 1971년 비구니 묘전스님이 주지로 부임하면서부터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됩니다.
요사와 선원을 신축하고 선원을 개원하였으며, 이후 1975년 비구니 묘엄스님을 강사로 승가학원을 설립하게 됩니다.
그리고 1979년에는 묘엄스님이 주지와 학장을 겸임하였으며 승가대학으로 개칭하게 됩니다.
현재 절에는 선원과 강원, 그리고 율원을 함께 갖춘 비구니의 수련도량으로써 내실을 다지고 있으며, 절이 위치한 곳이 광교산으로 그 뜻에 걸맞게 널리 가르침을 펼쳐 불성을 연마하고 한국불교의 초석이 되기 위한 수학, 정진에 여념이 없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봉녕사(수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봉녕사 http://www.bongnyeongsa.org
템플스테이 http://bongnyeongsa.templestay.com/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월화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월화원 소개
월화원은 중국 광둥(廣東)성이 효원공원 서편에조성한 중국식 정원으로서 광둥 지역 전통 정원의 특색을 살려 건물과 정원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2003년 10월 경기도와 광둥성이 체결한 '우호 교류 발전에 관한 실행 협약'의 내용 가운데 한국과 중국의 전통 정원을 상대 도시에 짓기로 한 약속에 따라 2005년 6월 15일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2006년 4월 17일 문을 열었습니다.
광둥성에 있는 전통 정원인 영남 정원과 같이 건물 창문으로 밖의 정원 모습을 잘 볼 수 있게 하였고 후원에 흙을 쌓아 만든 가산(假山)과 인공 호수 등을 배치하였습니다.
또 호수 주변에는 인공 폭포를 만들고 배를 본떠 만든 정자를 세우기도 하였습니다.
곳곳에 한시와 글을 새긴 건물은 하양 가루로 파랑 벽돌과 나무를 연결하는 광둥 지역의 전통 건축양식을 그대로 따라 지었습니다.
지붕 접합부는 나무와 벽돌, 석회 조각 등을 사용하였습니다.
2005년 6월 한국으로 건너온 중국 노동자 약 80명의 손으로 지어진 이 정원 크기는 6,026㎡(1,820평)이며 광둥성이 건축비 34억 원을 부담하였습니다.
2003년 10월 맺은 협약에 따라 경기도 역시 광둥성 광저우[廣州]에 있는 웨시우공원[越秀公園] 안에 해동 경기원(海東京畿園)을 조성하였습니다.
2005년 12월 문을 연 해동경기원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있는 한국 전통 정원 소쇄원을 본딴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월화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ggtour.or.kr/tourdb/goosuk.php?tmenu=&smenu=&stitle=&tsort=2&msort=15&board_code=71&board=71&s_category_name=&s_view_yn=&key=%EC%9B%94%ED%99%94%EC%9B%90&no=771&mode=detail&page=1&s_tag=&s_admin_no=
운영 시간 09:00 ~ 22:00
주차시설 없음
쉬는 날 연중무휴
연무대(동장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연무대(동장대) 소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수원 화성(華城) 안에는 연무대(동장대, 東將臺)가 있습니다.
연무대는 화성의 동문인 '창룡문(蒼龍門)'과 북쪽 수문인 '화홍문(華虹門)' 사이의 높은 언덕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방이 트여 있어 화성의 동쪽에서 성 안을 살펴보기에 좋은 군사요충지입니다.
1796년에 수원화성이 완공된 뒤, 연무대는 병사들의 훈련장이었습니다.
칼과 창, 활을 다루는 공간으로 200년이 넘은 소문난 활터입니다.
또한 연무대는 사직공원(社稷公園)의 황학정(黃鶴亭), 남산의 석호정(石虎亭), 전주의 천양정(穿楊亭)과 더불어 유서깊은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연무대(동장대) 기본 정보
팔달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팔달문 소개
팔달문은 조선 후기인 1794년에 세운 수원화성의 남쪽 문으로, 문의 이름은 사방팔방으로 길이 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화성의 4성문 중 동쪽문과 서쪽 문에 비해 북쪽문과 남쪽 문은 더 크고 화려하게 꾸몄다.
돌로 쌓은 무지개 모양의 문은 왕의 행차 시에도 가마가 드나들 수 있을 만큼 널찍하게 내고 위에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 문루를 세웠다.
문루 주위 사방에는 낮은 담을 돌리고 바깥쪽으로는 반달형 옹성, 좌우에는 적대 등 성문 방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설을 두었습니다.
옹성은 우리나라 성곽에서 일찍부터 채용되었던 방어 시설로서 서울성곽의 동대문, 전주성의 풍남문 등에서도 볼 수 있는데, 팔달문의 옹성은 규모와 형태면에서 한층 돋보입니다.
또한 팔달문은 도성의 문루처럼 우진각 형태의 지붕과 잡상 장식을 갖춘 문루로서 규모와 형식에서 조선 후기 문루 건축을 대표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팔달문 기본 정보
홈페이지 수원문화재단 http://www.swcf.or.kr
운영 시간 하절기(3~10월) 09:00~18:00
동절기(11~2월) 09:00~17:00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무휴
노송지대(수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노송지대(수원) 소개
경수산업도로(1번 국도)의 지지대비가 있는 지지대고개 정상에서부터 경수산업도로의 옛 구간을 따라 노송이 서 있는 약 5km의 지대입니다.
현재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보호되고 있습니다.
조선 정조(1776~1800년 재위)가 생부 사도세자의 원침인 현륭원 (지금의 융릉)의 식목관에게 내탕금(궁궐에서 쓰는 돈) 1000량을 하사하여 이곳에 소나무 500그루와 능수버들 40그루를 심게 했습니다.
현재는 대부분 고사하고 일부의 노송만 남아 있으나, 낙낙장송이 울창한 정조의 지극한 효성과 사도세자의 슬픈 역사를 함축하고 있어 지나는 이들의 마음을 숙연하게 합니다.
노송지대(수원) 기본 정보
장안문(長安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장안문(長安門) 소개
화성의 북문이자 정문입니다.
장안이라는 말은 수도라는 뜻으로 또 다른 서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장안문이 정문이라는 것은 왕이 수도인 한양에서 수원으로 들어오는 문으로 쓰였기 때문입니다.
서울의 숭례문(崇禮門)보다 크기가 큰 것이 특징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장안문(長安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index.do
http://www.swcf.or.kr
운영 시간 하절기(3~10월) 09:00~18:00
동절기(11~2월) 09:00~17:00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지금까지 경기도 수원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안산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3.09 |
---|---|
경기도 시흥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3.09 |
경기도 성남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3.08 |
경기도 부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3.08 |
경기도 동두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2)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