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경기도 성남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율동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율동공원 소개
성남의 율동공원은 분당 신시가지에 조성된 대형 근린공원으로 성남시민들뿐 아니라 서울에서까지 사람들이 나들이를 가는 명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성남시가 80만 평의 부지에 340억을 들여 1999년 9월에 개장했습니다.
율동공원에는 우선 4만여 평의 시원한 율동저수지가 있습니다.
이 저수지를 한바귀 도는 2.5km의 산책로와 자전거도로가 개설되어 있고, 저수지 안에는 높이 45m의 번지점프대가 설치되어 있어, 번지점프의 스릴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율동저수지의 분수, 높이 13m 인공암벽, 배드민턴장, 어린이 놀이터, 발 지압장, 잔디광장, 사계절 꽃동산, 갈대밭, 궁궁장 등의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어 계절에 관계없이 사람들이 많이 찾습니다.
또, 호수 주변으로 아늑한 카페들이 자리하고 있어 밤이면 데이트를 즐기는 연인들의 데이트코스로도 인기가 높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율동공원 기본 정보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무휴
신구대학교식물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신구대학교식물원 소개
성남시 수정구 적푸리로에 위치한 신구대학교식물원은 식물자원을 개발하고 연구할 목적으로 2003년 5월 개원하여, 국내/외 식물을 체계적으로 수집, 보존, 전시하고 있습니다.
식물연구 외에도 관련학과 실습교육장 역할은 물론 가드닝 관련교육과 일반 시민과 함께 자연을 관찰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입구에 위치한 가든카페에서는 아름다운 숲전시관의 중앙광장이 바로 보이며, 화사한 꽃들과 어우러져 여유로운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국내외 식물을 체계적으로 수집, 보존, 전시하여 식물자원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곳으로 국가(산림청)가 인정한 수목원 전문가(가드너)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물관련 직업교육, 청소년 및 일반시민을 위한 환경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자연을 관찰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여 식물문화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신구대학교식물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sbg.or.kr/main/index.html
운영 시간 [3월~10월] 09:00 ~ 18:00
[11월] 09:00 ~ 17:00
[12월~2월] 10:00 ~ 17:00
※ 입장은 폐장 1시간전까지 가능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익일 휴원)
은행식물원 (은행자연관찰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은행식물원 (은행자연관찰원) 소개
성남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은행식물원은 성남시 중원구 은행1동에 양묘장과 용도폐기된 배수지를 이용하여 재활용공간으로 조성된 생태공원입니다.
이 곳 자연관찰원은 다양한 식물과 야생화, 곤충류들이 서식하여 인근학생들의 자연교육학습의 장으로 인근주민들에게는 친숙한 자연휴식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곳입니다.
* 시설면적 - 34,760㎡ (10,533평) / 방문자센터 면적 210㎡ (61평)
* 식물보유: 89종 2,317주, 관목 : 78종 13,689주, 초화류 : 209종 94,329본
* 보유곤충 - 무당벌레, 네발나비, 노랑쐐기나방,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끝검은말매미충, 광대노린재 등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은행식물원 (은행자연관찰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epark.seongnam.go.kr/main/index.asp
운영 시간 하절기(6~9월) 09:00~19:00
동절기(10~5월) 09:00~18:00
주차시설 - 방문자센터앞 주차장 이용(주차장 협소)
- 식물원 주변 공영주차장 이용
쉬는 날 명절 당일
능골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능골공원 소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한 능골공원은 근린공원으로는 드물게 물놀이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도심 한가운데에서 아이들이 시원하게 즐길 수 있는 물놀이장은 바쁜 생활 속에 멀리 가지 않고서도 물놀이를 즐길 수 있어 아이들에게 큰 인기가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능골공원 기본 정보
운영 시간 24시간
주차시설 없음
쉬는 날 연중무휴
봉국사(성남)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봉국사(성남) 소개
영장산 서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의 말사입니다.
고려 현종 19년(1028)에 창건하였으며, 그 뒤 폐허화된 것을 태조 4년(1395년) 담화가 태조의 명으로 중수하였습니다.
현종 15년(1674년)에는 현종의 공주 명혜와 명선의 명복을 빌기 위해 공주의 능 근처에 있는 절을 중창하게 하였습니다.
당시의 역사를 맡은 승려는 금강산 일축존자였으며, 중창 뒤에는 봉국사라 하였습니다.
봉국사의 창건에 대한 기록은 조선후기 문장에 뛰어났던 승려 백곡대사 처능(1617~1680)의 백곡대각등계록>에 자세히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에 의하면 이절은 1674(현종15)년 요절한 현종의 두딸 명선, 명혜 공주의 명복을 빌기 위해 왕비의 주선으로 금강산의 승려 축존에게 명하여 공주의 무덤이 있는 바깥 동리인 이 곳 성부산 아래에 절을 짓게하여 봉국사라 하였습니다고 합니다.
이 봉국사 대광명전은 그 후 6·25동란으로 퇴락하여, 1958년 비구니 법운이 중수하였고 1974년 현재의 모습으로 해체 복원하였습니다.
이 전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을 지닌 주심포 양식의 아담한 건물입니다.
전각 내부의 불단위에는 화려한 닷집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불단에 안치된 불상은 대광명전의 주존이어야 할 비로자나불이 아니고, 아미타불인데 이 불상은 창건시인 조선후기의 불상양식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망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된 이 전각은 본래의 명칭의 아미타불을 봉안한 극락보전이 아니였을까 생각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봉국사(성남) 기본 정보
망경암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망경암 소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의 서울이 한 눈에 보이는 곳에 있어 서울을 바라보는 암자라는 뜻의 망경암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망경암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기까지 역대 임금이 친히 거동하여 나라와 백성의 평안을 빌었던 곳이라고 전하며, 조선 왕실에서는 세종의 7째 아들인 평원대군(平原大君)과 손자 제안대군(齊安大君)이 망경암과 칠성대에 단을 설치하고 분향하여 충효를 다짐하던 곳이었습니다고 합니다.
칠성신앙과 관련된 도량으로서 주목되며, 이런 상황들은 현재 암벽을 깎아내고 기록한 명문들이 있어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망경암에는 암벽을 우묵하게 파내고 이 안에 부조로 불상을 새겨 넣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2호 망경암 마애여래좌상이 있습니다.
한편 마애여래좌상 주변에는 광무 1년(1897년) 이규승이 관음상을 새기고 절을 세웠다는 비문도 전하고 있습니다.
마당 한쪽에는 복우물(福井)이라는 우물이 조성되어 있는데, 부처님이 내려주신 복된 감로수이기 때문에 복우물이라 합니다고 하며, 현재 성남시 복정동은 이 우물에서 비롯된 명칭이라고 합니다.
사찰에 현재 있는 전각들로는 대웅전, 삼성각, 미륵전을 들 수 있는데, 모두 근래에 조성된 것들입니다.
또한 거대한 미륵대불과 5층석탑을 볼 수 있습니다.
서울이 내려다 보이는 빼어난 조망의 망경암의 자연암벽에 감실을 만들고 그안에 불상을 새긴 것입니다.
불상 주위에는 군데 군데 암석면을 고르게 다듬고 그 안에 명문을 새긴 곳이 14군데나 됩니다.
이곳은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걸쳐 임금이 친히 거동하여 나라와 백성의 안락과 수복을 빈 곳이라 합니다.
조선왕실에서는 세종의 아들인 평원대군과 제안대군의 명복을 빌기위해 칠성단을 만들어 칠성제를 지내며 이곳을 칠성대라 불렀습니다고 합니다.
또한, 고종 때에는 이규승이 1897(광무1)년에 관음상을 새기고 불사를 일으켰다는 명문(銘文)이 있습니다.
이 불상은 결가부좌한 좌상인데 왼손을 가슴에 대고 오른손은 항마촉지인 같이 무릎 위에 놓은 모습이며, 양 어깨를 덮은 통견의 불의를 입고 있습니다.
그 외 양식이나 조각술 등에 뚜렷한 특징이 없는 불상 자체도 그다지 우수한 것이 아닌 조선말기의 불상입니다.
그런데 이 불상의 머리는 소발(素髮)이며 형식도 불상의 형식을 갖추고 있지만 명문에 있듯이 1897년에 조성된 관음상이라면 절대연대를 가진 작품으로 주목됩니다고 하겠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망경암 기본 정보
주차시설 없음
대원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원공원 소개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 하대원, 중동 일대에 위치한 '대원공원'은 최근에 조성된 계획 공원으로서 시설과 조경 면에서 전문가들에게 뛰어난 평을 받고 있는 모범적인 공원입니다.
대규모 녹지공간이 조성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고 벽천분수와 대형 소나무를 집중적으로 식재하여 도심 속에서도 자연적인 환경을 만끽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그늘 시렁이나 야외 탁자에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일상에 지친 사람들에게 자연 치유 기능을 선물하는 특별한 휴식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원공원 기본 정보
운영 시간 24시간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무휴
책테마파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책테마파크 소개
책테마파크는 국내 최초의 책을 테마로 만든 공간입니다.
기존의 책 읽는 도서관의 개념에서 벗어나 상상력과 독서의욕을 고취시키는 창조적인 공간이며 공연, 전시, 체험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입니다.
책을 테마로 한 바람의책(조형물), 시간의책 미로(산책로), 상징조형벽화(조형벽), 공간의책 광장(책카페), 신8언시 천자문책(벤치 조형물), 하늘의책 공원(야외공연장), 물의책 만파식적(명상공원)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책테마파크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snart.or.kr
주차시설 율동공원 대형주차장(B주차장, 589대) 이용
쉬는 날 매주 월요일 및 공휴일
둔촌이집묘역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둔촌이집묘역 소개
성남시 향토유적 제7호인 하대원동 일대의 '광주이씨 묘역'은 둔촌(遁村) '이집(李集)선생'의 자손들 묘역으로 인물들의 史蹟과 함께 조선 전기 묘역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 성남시의 향토유적입니다.
묘역 중 하대원동 산3-1번지에는 둔촌 선생의 아들로 포은(圃隱, 정몽주) 문하에서 修學하고 탄천 선생으로 불린 탄천(炭川) 이지직(李之直,1354~1419)과 부인 경주 이씨, 遁村선생의 증손으로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 1435~1503)과 그의 아들 감사공(監司公) 이세정(李世貞, 1461~1529)의 묘소가 있습니다.
또한 하대원동 산7-1번지 외 묘역에는 둔촌 선생의 손자 사인공(舍人公) 이장손(李長孫, 1390~1429), 증손 참의공(參議公) 이극규(李克圭, ?~?), 둔촌 선생의 6대손이며 임진왜란 때 관서부원수(關西副元帥)로서 왜군과 싸운 장렬공(壯烈公) 이윤덕(李潤德, 1529~1611), 둔촌 선생의 8대손으로 강계부사(江界府使)를 지낸 후 정묘호란 때 안주성(安州城)에서 전사하여 안주(安州) 충민사(忠愍祠)에 배향(配享)된 충민공(忠愍公) 이상안(李尙安, 1575~1627)의 묘소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산18번지에는 탄천 선생의 셋째 아들인 관찰사공 이예손(李禮孫, ?~1459)의 묘소가 있고 산33-2번지 일원에는 탄천 선생의 손자이자 관찰사공 이예손(李禮孫)의 아들인 참판공(參判公) 이극기(李克基, 1426~1491)의 묘소가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둔촌이집묘역 기본 정보
지금까지 경기도 성남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시흥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3.09 |
---|---|
경기도 수원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3.09 |
경기도 부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3.08 |
경기도 동두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2) | 2023.03.08 |
경기도 남양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