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예산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충남 예산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수덕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수덕사 소개
서해를 향한 차령산맥의 낙맥(落脈)이 만들어 낸 덕숭산(德崇山)은 북으로는 가야산(伽倻山), 서로는 오서산, 동남간에는 용봉산(龍鳳山)이 병풍처럼 둘러쌓인 중심부에 서 있습니다.
이 덕숭산 자락에 많은 고승들을 배출한 한국불교의 선지종찰(禪之宗刹) 수덕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백제는 승려와 절과 탑이 많다"라고 중국사서(史書)인 '북사(北史)' , '수서(隨書)', '주서(周書)'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 문헌에 나타난 백제 사찰로는 흥륜사(興輪寺), 왕흥사(王興寺), 칠악사(漆岳寺), 수덕사(修德寺), 사자사(師子寺), 미륵사(彌勒寺), 제석 정사(帝釋精寺) 등 12개가 전하지만 현재까지 큰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사찰은 수덕사 뿐입니다.
백제사찰인 수덕사의 창건에 관한 정확한 문헌 기록은 현재 남아있지 않으나, 학계에서는 대체적으로 백제 위덕왕(威德王, 554~597) 재위 시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한 수덕사 경내 옛 절터에서 발견된 백제와당은 백제시대 창건설을 방증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수덕사의 고려시대 유물로는 충렬왕 34년(1308)에 건축된 대웅전과 통일신라 말기 양식을 모방한 삼층석탑, 수덕사 출토 고려자기, 수덕사 출토 와당 등 있습니다.
임진왜란으로 대부분의 가람이 소실되었으나 수덕사 대웅전은 다행히 옛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1937~40년 보수 당시 발견된 대웅전 동측 내부 전면에 기록된 단청개칠기 (丹靑改漆記)에 의하면 중종 23년(1528)에 대웅전 색채보수, 영조 27년(1751), 영조 46년(1770)에 대웅전 보수, 순조 3년(1803)에 대웅전 후면의 부연보수와 풍판의 개수 등 4차례 대웅전 보수가 있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1673년 조성된 수덕사 괘불과 18세기 제작된 수덕사 소종은 조선후기 수덕사의 꾸준한 불사활동을 보여주는 유물들입니다.
* 주요문화재
수덕사대웅전(국보)
수덕사3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수덕사7층석탑 육괴정, 황하루, 근역성보관, 사리탑 외
* 전설
백제시대에 창건된 수덕사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가람은 극히 퇴락이 심해 대중창불사를 하여야 했으나 당시의 스님들은 불사금을 조달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묘령의 여인이 찾아와서 불사를 돕기 위해 공양주를 하겠다고 자청하였습니다.
이 여인의 미모가 빼어난 지라 수덕각시라는 이름으로 소문이 원근에 퍼지게 되니, 이 여인을 구경하러 연일 인산인해를 이루었습니다.
그중 신라의 대부호요 재상의 아들인 '정혜(定慧)'라는 사람이 청혼을 하기까지에 이르렀습니다.
이 불사가 원만성취되면 청혼을 받아들이겠다고 하는 여인의 말을 듣고 이 청년은 가산을 보태어 10년 걸릴 불사를 3년만에 원만히 끝내고 낙성식을 보게 되었습니다.
낙성식에 대공덕주로서 참석한 이 청년이 수덕각시에게 같이 떠날 것을 독촉하자 '구정물 묻은 옷을 갈아 입을 말미를 주소서'하고 옆방으로 들어간 뒤 기척이 없었습니다.
이에 청년이 방문을 열고 들어가려하자 여인은 급히 다른 방으로 사라지려 하였습니다.
그 모습에 당황한 청년이 여인을 잡으려하는 순간 옆에 있던 바위가 갈라지며 여인은 버선 한짝만 남기고 사라지니, 갑자기 사람도 방문도 없어지고 크게 틈이 벌어진 바위 하나만 나타나 있었습니다.
이후 그 바위가 갈라진 사이에서는 봄이면 기이하게 버선모양의 버선꽃이 지금까지 피고 있으며 그로부터 관음보살의 현신이었던 그 여인의 이름이 수덕이었으므로 절이름을 수덕사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고 합니다.
여인을 사랑한 정혜라는 청년은 인생 무상함을 느끼고 산마루에 올라가 절을 짓고 그 이름을 정혜사라 하였습니다고 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수덕사 기본 정보
덕산도립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덕산도립공원 소개
덕산도립공원은 덕산면의 시량리, 사천리, 둔리, 상가리, 광천리 등을 포함하여 1973년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공원내에는 원효봉, 석문봉, 호서의 소금강이라 일컬어지는 덕숭산과 해태바위 등 폭포와 아름다운 계곡들이 있습니다.
수덕사가 자리하고 있는 곳입니다.
수덕사 대웅전은 부석사 무량수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등과 함께 현존하는 고려시대 목조건물입니다.
대웅전은 1936년부터 4년동안 절을 고치다가 대들보에서 나온 묵서(墨書)에서 고려 충렬왕 34년(1308년) 건립되었습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국보인 대웅전은 남아있는 고려시대 건축물 가운데 특이하게 백제적인 곡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 세칸 곁 네칸의 단층 맞배집으로 그 형태가 장중하다.
덕산도립공원은 1990년 11월 1일 부터는 취사행위가 전면 금지되었습니다.
* 덕숭산지구 - 수덕사, 환희대, 견성암, 금강암, 정혜사, 소림초당, 만공탑, 일주문, 여승당 등
* 가야산지구 - 가야사지, 옥계저수지, 남연군묘, 상황사지, 보덕사, 쉬흔길바위, 옥양폭포, 거북바위, 고려자기묘지
※ 주요문화재
수덕사대웅전(국보), 수덕사 대불, 3층석탑, 7층석탑, 육괴정, 만공선사 사리탑, 황하루, 성보박물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덕산도립공원 기본 정보
봉수산 자연휴양림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봉수산 자연휴양림 소개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 산11-1번지외3필지 예산군청 예산 대흥 봉수산 자연휴양림은 2007년에 개장해 다양한 산림휴양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천연림과 인공림이 조화를 이룬 절경에 각종 야생조수가 서식하고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고, 예당저수지(330만평)와 어울어진 사시사철 경관이 가히 내방객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는데 부족함이 없다.
또한 휴양림내 등산코스는 1시간부터 3시간 코스까지 다양하고, 등산로는 비교적 완만하여 가족 및 동호회 단위의 등산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휴양림내 산림욕은 상쾌한 솔내음을 온몸으로 만끽할 수 있고, 아름다운 숲사이에 숲속의 집과 광장, 산책로, 숲체험장등 각종 편의ㆍ휴식시설이 잘 갖춰져 자연이 숨쉬는 숲의 공간으로 가족과 단체등의 휴식처가 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휴양림 인근에는 전국제일의 낚시터인 예당저수지와 의좋은 형제공원, 대흥동헌, 대련사, 임존성 및 덕산온천, 천년고찰 수덕사, 충의사, 추사고택, 고건축박물관등 교육ㆍ문화탐방과 휴양을 동시에 체험하실 수 있는 유일한 자연휴양림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봉수산 자연휴양림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foresttrip.go.kr/indvz/main.do?hmpgId=ID02030028
운영 시간 휴양관(숙소) - 15:00~익일12:00
주차시설 있음
충의사 (매헌 윤봉길 의사 유적)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충의사 (매헌 윤봉길 의사 유적) 소개
예산에서 북서쪽 23km 지점에 위치한 충의사는 일제강점기 독립 투사인 윤봉길의사가 태어나 망명길에 오르기까지 농촌계몽과 애국정신을 고취한 곳으로, 윤의사의 의거와 애국 충정을 기리기 위하여 1968년에 건립되었습니다.
매년 4월 29일에는 윤의사의 애국충정을 기념하는 매헌 문화제가 열리며 윤의사의 귀중한 유품은 기념관에 전시되어 보물로 보호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충의사 (매헌 윤봉길 의사 유적) 기본 정보
홈페이지 예산군 문화관광 http://www.yesan.go.kr/tou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운영 시간 하절기 09:00~18:00
동절기 09:00~17:00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예산 임존성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예산 임존성 소개
예산군 광시면과 대흥면, 홍성군 금마면이 만나는 지점에 해발 483.9m의 봉수산이 솟구쳐 있습니다.
이 산 산정에 조성된 임존산성은 높은 곳에 우물을 파서 물을 그 안에 모았습니다가 적의 공격 때 물꼬를 터뜨려 1차적으로 곤경에 빠뜨리고 결정적인 공격을 가할 목적으로 쌓은 성입니다.
임존산성은 약 4km의 테뫼식 석축산성으로 성벽의 높이는 2.5m, 폭은 3.5m인데 남쪽의 성벽은 굴곡이 심하여 성내에는 7~8m의 내호가 둘러져 있습니다.
외벽은 돌로 쌓여 있고 안은 흙으로 메워진 테뫼식 석축산성으로 성주 약 5,194척, 높이 약 2.5m, 폭 약 3.5m로 말을 타고 달려도 넉넉할 정도다.
의자왕 20년에 백제가 나당 연합군에 망했을 때 의자왕의 사촌 동생 복신, 도침(스님)과 흑치상지가 3년여 동안 후백제 부흥운동의 거점으로 활용하였으며 백제의 산성 중에서도 그 규모가 가장 커서 산성 연구에 많은 기초가 되고 있습니다.
이 성곽을 따라 내려가면 대련사를 만날 수 있으며 정상에서는 남에서 서로 뻗어 줄기를 같이하는 오서산, 백월산, 가야산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습니다.
이 성의 특징은 네 모서리를 견고하게 하기 위해 다른 곳보다 2m 정도 더 두껍게 내탁하였으며, 성의 높이도 더 높게 축조하였습니다.
광시면 마사리 방향에서는 성 아래까지 임도를 이용하여 승용차로 주차장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예산 임존성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yesan.go.kr/tour/
http://www.cha.go.kr
운영 시간 00:00~24:00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연중개방
추사고택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추사고택 소개
조선후기의 실학자이며 대표적인 서예가였던 추사 김정희 선생의 생가인 추사고택은 추사의 증조부인 월성위 김한신이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추사고택은 266.11m²(80.5평)으로 솟을 대문의 문간채, ㄱ자형의 사랑채, ㅁ자형의 안채와 추사 선생의 영정이 모셔져 있는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옥입니다.
ㄱ자형의 사랑채는 남쪽에 한칸, 동쪽에 두칸의 온돌방과 나머지는 대청과 마루로 되어 있습니다.
안채에는 6칸 대청과 2간통의 안방, 건넌방이 있습니다.
이밖에도 추사 선생의 묘소와 증조부이신 김한신과 부인인 화순옹주의 합장묘 그리고 화순옹주 열녀문 즉, 홍문이 있습니다.
또한 추사고택에서 북쪽으로 600m쯤 올라가면 천연기념물인 백송을 볼 수 있는데 백송은 중국북부 지방이 원산지로 우리 나라에 몇 그루 없는 희귀한 수종입니다.
예산의 백송은 추사선생이 25세 때 청나라 연경에서 돌아올 때 백송의 종자를 붓대 속에 넣어가지고 와서 고조부 김흥경의 묘 입구에 심었던 것으로, 원래는 밑에서 50cm부터 세줄기로 자라다가 서쪽과 중앙의 두 줄기는 부러져 없어지고 동쪽의 줄기만이 남아서 자라고 있습니다.
1980년도에 줄기의 피해 부분을 외과 수술하여 치유하였고, 그 후부터는 철저하게 보호,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추사고택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yesan.go.kr/chusa.do
운영 시간 하절기(3~10월) 09:00~18:00
동절기(11~2월) 09:00~17:00
※ 입장은 30분 전까지 가능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덕산온천지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덕산온천지구 소개
동국여지승람과 세종실록지리지 등 옛 사료에서 온천역사 500년을 확인할 수 있는 덕산온천은 그 유래가 매우 신비롭다.
이율곡 선생의 저서 '충보'에 의하면 "날개와 다리를 다친 학이 날아와 이곳에서 나오는 물을 상처에 바르며 치료한 후에 날아갔는데, 학이 앉았던 자리를 살펴보니 따뜻하고 매끄러운 물이 솟아나고 있었습니다"고 적혀 있습니다.
덕산온천은 1917년 처음으로 탕을 이용한 온천으로 개장되었으며,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45℃이상의 천연 중탄산나트륨 온천수는 근육통, 관절염, 신경통, 혈액순환 촉진, 피하지방제거와 세포재생을 촉진시켜 주는 전국 최고의 온천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온천지구내에는 온천장 9개소와 관광호텔, 일반호텔 등 50여 개의 숙박업소 및 각종 음식점 등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덕산온천지구 기본 정보
덕숭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덕숭산 소개
덕숭산은 호서(湖西)의 금강산(金剛山)이라고도 불리는 산으로 산 중턱에 수덕사가 있습니다.
수덕사의 대웅전은 현존하는 최고의 목조건물입니다.
수덕산은 기암괴석이 풍부하여 바위들이 사람의 두개골이나 노적가리, 사나운 짐승이 입을 벌리고 있는 듯한 형상을 지닌 절묘한 형상을 지니고 있습니다.
절경으로는 원효봉과 석문봉, 덕숭산, 해태바위 등이 있습니다.
또한 수덕사를 비롯하여 정혜사, 만공탑, 여승당, 보덕사 등 많은 문화재가 있으며 충의사와 덕산온천 등 명소가 있습니다.
수덕산은 수덕사 등 사찰산행과 온천산행을 겸할 수 있습니다.
등산코스는 코스가 짧아 가족들의 나들이 코스로도 좋다.
수덕사(修德寺)의 대웅전(大雄殿:국보) 앞마당에 있는 삼층석탑, 대웅전 내부의 고려벽화를 비롯하여 정혜사로 가는 중에 만공이 건립한 25척의 석불로서 머리에 이중의 갓을 쓰고 있는 미륵불입상(彌勒佛立像)과 만공을 추도하기 위해 세운 만공탑(萬空塔) 등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덕숭산 기본 정보
향천사(예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향천사(예산) 소개
향천사는 백제 때 옛 절입니다.
읍내에서 가까우면서도 산이 제법 깊은 금오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어 예산 사람들에겐 가벼운 산책이나 산행 장소로 낯익은 곳입니다.
대도시로 치면 경관 좋은 외곽지역에 속하는 터라, 향천사로 가는 도로 주변엔 호화로운 전원주택형 고급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향천사에는 몇 기의 부도와 9층 석탑이 있으며, 이름처럼 무척이나 깔끔한 분위기를 가진 절입니다.
하루에도 수십 차례 비질을 하는지 제법 넓은 뜨락 어디서고 휴지조각 하나 보이질 않습니다.
대웅전 앞뜰은 물론 주차장에서 절까지 이어지는 오솔길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향천사는 백제의 국운이 다할 무렵인 의자왕 16년 의각스님이 세웠다.
스님이 어떤 경로를 통해 중국으로 건너가게 되었는지 모르나, 중국에서 만든 부처를 돌배에 싣고 그 당시 오산현 불포해안(지금 예산읍 신암면 창소리)에 도착해서 절터를 마련하고자 배에서 한 달 동안 지극 정성으로 예불을 올리던 어느 날, 금까마귀 한 쌍이 날아와 배주위를 돌고 사라지기에 뒤를 밟아보니 지금 향천사 자리에서 물을 마시고 있었습니다.
그를 기이하게 여겨서 주위를 살펴보니 향내음이 그윽하더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산 이름이 금오산이며 절은 향천사가 되었습니다고 전해온다.
봄에는 백일홍이 붉게 핀 천불전이 아름다우며, 가을에는 단풍이 향천사 일대를 붉게 물들입니다.
향천사 방문은 될 수 있는 한 평일에, 그것도 땅거미가 내리는 저녁 무렵에 찾아가야 향천사의 참모습을 제대로 느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향천사(예산) 기본 정보
운영 시간 일출시~일몰시
주차시설 주차 가능
대흥동헌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흥동헌 소개
동헌(東軒)이란 고을의 수령(守令)이 정무를 집행하던 건물을 말하는데, 생활처소인 내아(內衙, 서헌이라고도 함)와 구분되어 보통 그 동편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동헌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수령이 주재하는 관청(官廳)의 본 건물입니다.
대흥동헌은 정면 6칸(14.4m), 측면 2칸(4.8m), 처마높이 3.3m의 홑처마 팔작지붕의 목조 기와집입니다.
대흥면 동헌은 조선후기의 건축양식인데 상량문에 영락(永樂) 5년(1407년)에 지었습니다는 기록이 있어 대흥향교(1405년)와 함께 ‘조선 태종’때에 지어진 것으로 생각되나, 강희(康熙) 42년(1703년)에 중수하였습니다는 기록이 있어 ‘조선 숙종’때에 대흥이 군으로 승격될 당시 중수 하였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현재의 동헌 건물은 일제의 강점 후 대흥면이 예산군에 통합되면서 동헌 건물을 대흥면사무소로 개조하여 해방 후까지 사용하다가 대흥면사무소를 현 위치로 신축하면서 1979년에 해체 복원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흥동헌 기본 정보
지금까지 충남 예산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 청양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4.27 |
---|---|
충남 천안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4.25 |
충남 천안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2) | 2023.04.14 |
충남 서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4.13 |
충남 서산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