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경남 창원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달천계곡(창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달천계곡(창원) 소개
* 창원시 대표적인 계곡, 달천계곡(창원) *
창원시 동정동 굴현고개를 넘어서면 북면 외감마을이 나오는데 여기에서 좌측으로 1km쯤 거슬러 오르는 곳에 달천계곡이 있습니다.
이 계곡은 2km 가량 울창한 수목과 넓은 반석이 깔려 있습니다.
조선 숙종 때 재상이었던 미수 허목 선생이 낙향하여 이용한 달천정이라는 샘이 있으며 계곡에는 선생이 "달천동"이라 쓴 바위가 있습니다.
매년 봄이면 천주산에서 자생하는 대단위 군락의 진달래꽃이 만개하여 산이 붉게 불타 일대장관을 이룬다.
이 무렵(4월 중순경) 에 맞춰 계곡 내에서는 진달래꽃의 아름다움과, 지역민의 화합 및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천주산 진달래축제"가 다채로운 행사와 함께 열려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습니다.
* 달천계곡의 명칭 유래에 대하여 *
선 숙종 때 우의정을 지낸 미수 허목(許穆)이 낙향하여 이곳에 기거하면서 계곡암반에 달천동(達川洞)이라 각자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합니다.
한편 외감리의 ‘감(甘)’은 북을 뜻하는 ‘?’을 표기하기 위한 차자(借字)라 할 수 있습니다.
‘甘’의 옛 훈은 ‘?다’입니다.
이 ‘?’이 ‘달’로 변하고, 달이 한자화 되면서 달(達)로 되었을 것입니다.
따라서 달천계곡은 천주산 북쪽 기슭에 있는 ‘하천’이 만들어낸 계곡이란 뜻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달천계곡(창원) 기본 정보
진해내수면 환경생태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진해내수면 환경생태공원 소개
진해내수면 환경생태공원은 다양한 수목과 화훼 등이 서식하는 뛰어난 자연환경과 습지를 간직한 남부내수면연구소 내 유수지 주변의 83.897㎥를 친환경 생태공원으로 조성하여 자연학습체험과 시민 문화휴식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생태공원 서식 식물로는 가막살나무, 왕버들, 회양나무를 비롯한 황금 갈대, 비비추, 산머루, 벚꽃, 물칸나, 꽃창포 등 65종의 다양한 나무와 화훼 등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진해내수면 환경생태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culture.changwon.go.kr
운영 시간 하절기(6월~8월) 06:00~19:00
동절기(11월~2월) 07:00~17:00
그 외 연중 06:00~18:00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주남저수지(철새도래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주남저수지(철새도래지) 소개
세계적 철새도래지로 다양한 철새탐조와 산남, 주남, 동판저수지를 아우르는 자연경관 탐방 휴양지로 방문객들에게 힐링공간을 제공하며, 람사르문화관, 생태학습관, 탐조대, 주남환경스쿨 등 시설물의 무료 이용과 주남저수지 일원을생태전문 안내 가이드와 함께 탐방도 가능하다.
또한 새드리 꽃길 및 연꽃단지에서 조성된 그 계절의 꽃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주남저수지(철새도래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junam.changwon.go.kr
운영 시간 [람사르문화관, 생태학습관, 주남환경스쿨, 전망대] 09:30 ~ 17:30
[주남저수지탐방로] 상시개방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주남저수지 생태학습관] 4~9월 매주 월요일
장복산조각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장복산조각공원 소개
장복산공원은 마산과 진해 사이에 있는 장복로의 끝부분에 자리 잡아 진해의 관문 구실을 하는 공원입니다.
눈앞이 탁 트여 시가는 물론 진해만의 잔잔한 바다가 한눈에 들어온다.
1979년 산사태의 복구와 더불어 공원을 만들었습니다.
진해여고 입구에서 공원에 이르는 1.5km의 산책도로와 장복산 휴게소에서 구마진 터널까지 1km의 산책로가 있고 공원 주변에 대광사, 진흥사 등의 사찰이 산재합니다.
봄이면 울창한 송림과 만여 그루의 벚꽃이 조화를 이뤄 별세계를 이룬다.
인근에는 향토문화 예술의 전당인 시민회관과 경남 문학의 산실인 경남 문학관, 놀이시설인 진해 파크랜드가 장복산 중턱에 들어서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장복산조각공원 기본 정보
제황산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제황산공원 소개
진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군항도시로 임진왜란 때 구국의 영웅인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문화유적이 많다.
1952년 4월 13일에 북원 로터리에 이순신 장군 동상을 제막하면서 시작된 추모행사가 진해 군항제로 이어졌고 지금은 전국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해졌다.
이 시기에 맞춰 시내 전역에 벚꽃이 만개, 벚꽃 축제도 함께 열린다.
제황산공원은 진해시 중심의 제황산에 조성된 시민공원으로 공원에 365개의 계단으로 정상에 서면 진해시와 바다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해군군함 상징의 9층 진해탑이 우뚝 솟아 있습니다.
탑 내부에는 1.2층에는 진해에서 발굴된 각종 유물과 민속모형을 전시하고 있는 진해시립박물관이 있으며 동편에는 동물원이 있어 어린이들의 자연학습장 역할을 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제황산공원 기본 정보
불곡사(창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불곡사(창원) 소개
불곡사는 935년 고려 태조 18년 진경이 창건했습니다.
그 뒤의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습니다.
1929년 우담 화상이 옛날 절터에 드러나 있던 비로자나불좌상(보물) 을 파내어 비로전에 모시고 다시 세웠다.
중창전 불곡사 뒤쪽은 가음정과 대방동, 사파정을 왕래하는 길이 있었는데 이곳 길가에 불상과 무수한 기와 조각이 흩어져 있어 이곳을 "부처골"이라 불리기도 했습니다.
불곡사는 비로전을 비롯하여 일주문(지방유형문화재)과 탑재, 광배전, 이건비, 남무하미타불비 등이 있습니다.
일주문은 원래 창원부 객사 3문 중의 하나로서 웅천 향교에 있던 것은 1943년 우담이 이 절로 옮겨 온 것입니다.
* 불곡사의 건립 배경과 걸어온 길 *
불곡사는 경상남도 창원시 비음산(飛音山) 남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전통사찰입니다.
그러나 불곡사의 창건 연기를 알 수 있는 사료는 거의 없다.
창원 지역에서 구전되는 설화에 따르면, 통일신라시대인 917~923년에 국사 진경(眞鏡, 854~923)에 의해 창건되었습니다고 합니다(『한국불교사찰사전』에는 935년 진경이 창건했습니다고 전합니다).그리하여 인근에 있던 구산선문(九山禪門)의 일파인 봉림산문(鳳林山門)의 봉림사(鳳林寺)와 돌북을 치면서 법담(法談)을 나누었습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오고 있습니다.
불곡사의 창건자로 전해지는 진경은 봉림산문의 개산조인 심희(審希)로, 보물인 봉림사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鳳林寺眞鏡大師寶月凌空塔碑)의 주인공입니다.
따라서 불곡사도 봉림사 창건과 비슷한 시기에 진경국사에 의해 창건되어, 두 사찰을 왕래하면서 법담을 나누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현재 봉림사 폐사지에서 불곡사까지의 거리는 대략 4㎞ 정도이므로 거리나 시간상으로 볼 때 그러한 사실이 충분히 뒷받침됩니다.
또한, 이러한 추측을 더욱 뒷받침해주는 증거로 현재의 불곡사지에서 발굴된 창원시의 유일한 지정 보물인 통일신라시대의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佛谷寺石造毘盧舍那佛坐像)을 들 수 있습니다.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초반에 조성되었습니다고 추측되는 이 석불좌상은 진경국사가 활동했던 시기와 거의 정확하게 일치됩니다.
따라서 구전되는 창건 연기에 신빙성을 더해 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불곡사(창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창원관광 https://culture.changwon.go.kr/index.changwon?contentld=9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성주사(창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성주사(창원) 소개
* 불모산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 성주사 *
성주사는 가야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인 김수로왕의 비인 허씨가 일곱 아들을 입산시켜 승려가 되게 하였습니다는 전설이 담겨있는 불모산(해발 801m)의 서북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1천 1백여년 전 신라 흥덕왕 때 무렴국사가 왜구를 도력으로 물리치자 왕이 국사로 삼고 논과 노비를 하사하여 절을 세우고(흥덕왕 10년, 835년)성인이 상주하는 곳이라 하여 "성주사"라 이름하였습니다고 합니다.
왜구를 물리치고 창건한 호국사찰 성주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조선 숙종과 순조연간을 거치면서 재건되었는데 사찰을 재건하기 위하여 쌓아둔 목재를 곰이 나타나 하루 밤 사이에 지금의 성주사 자리로 옮겨 놓았습니다는 전설이 있어 "웅신사" 또는 "곰절"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성주사는 대웅전, 영산전, 삼신각, 설선당, 안심료등의 당우와 삼층석탑 관음보살입상, 부도군 등의 문화재가 있는데 지방유형문화재 제 134호로 지정되어 있는 대웅전은 조선 숙종 7년(1681년)에 중건한 맞배지붕으로 전면 포작을 화려하게 조각하였으며, 대웅전 내부에는 화려하고 규모가 큰 닫집을 시설하여 법당내부를 장엄하게 꾸민 조선 후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건축물입니다.
* 성주사의 창건 설화에 대하여 *
『성주사사적기』에 따르면, 흥덕왕 때 왜구들이 자주 신라에 출몰하여 피해가 극심하므로 왕이 늘 근심하였는데, 어느 날 꿈에 신인(神人)이 나타나 지리산에 있는 무염화상(無染和尙)과 논의하면 물리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왕이 곧 사자를 보내 이런 사실을 전하자 무염이 신통력으로 이를 물리쳤다고 합니다.
왕이 이 소식을 듣고 기뻐하며 무염을 국사로 봉하고 밭 360결(結)과 노비 100호(戶)를 내렸으며 즉시 절을 창건하였는데, 성인이 머무는 절이란 뜻으로 성주사(聖住寺)란
이름을 내렸다고 합니다.
이 설화에 따르면 성주사는 신라시대인 835년(흥덕왕 10) 무염국사(801~888)에 의해 창건되었습니다고 합니다.
그러나 무염은 821년(헌덕왕 13) 입당했습니다가 845년(문성왕 7)에 귀국했으므로 이 창건 설화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조선시대인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전소된 뒤 1604년(선조 37) 진경(眞鏡)이 중건하였으며, 이때 곰이 불사(佛事)를 도와 하룻밤 사이에 목재를 날라주었습니다고 하여 웅신사(熊神寺)라 하고 그로 인해 곰절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고 합니다.
성주사(창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성주사.kr/
☞ 템플스테이 보러가기
http://culture.changwon.go.kr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창원 성산 패총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창원 성산 패총 소개
* 철기시대의 생활상을 만날 수 있는 곳, 성산패총 *
창원역에서 창원터널로 이어지는 창원대로를 따라가다 보면 가음정동 유적군의 남쪽, 높이 49m의 야산인 성산이 보입니다.
유적은 성산 정상부 유물전시관이 세워져 있는 성산공원에 위치합니다.
성산은 산성이 있는 소구릉으로 남쪽 아래에 불모산에서 발원하여 마산만으로 연결되는 남천이 있으며, 북쪽으로 가음정동 유적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동구 조개더미는 성산의 동남쪽 능선의 계곡, 서남구 조개더미는 성산의 서남구 능선 계곡, 북구 조개더미는 성산의 북쪽 경사면에 위치합니다.
성산패총은 공단부지조성이 한창이던 1974년 문화재관리국에서 주관하여 긴급발굴 조사되어 초기 철기시대의 대규모 패총과 삼국시대의 성곽이 확인되었습니다.
막대한 양의 각종 토기류, 골각기류, 철기류, 석기류 등이 출토되어 당시의 생활상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었습니다.
특히 철 생산 관련 유구인 야철지가 발견되어 이천년 전부터 철을 생산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75년 야철지 보호각을 건립하여 야철지를 발굴당시의 상태대로 보존하고, 1976년 건립된 유물전시관에는 성산패총 출토유물을 전시하여 일반인들에게 역사교육 자료로 공개 활용하고 있습니다.
* 성산패총의 구조와 형태에 대하여 *
성산패총은 동구 조개더미와 북구와 서남구 조개더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구 조개더미는 계단식의 경작지로 되어 있으며, 20° 정도의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습니다.
패각 퇴적 범위는 약 10×15m 정도이며, 패총의 층위는 5개의 퇴적층으로 구분되나, 크게 아래의 무문 토기류가 출토되는 회갈색 부식토의 무문 토기 문화층과 위의 삼한시대 문화층으로 나뉜다.
서남구 조개더미는 50×20m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계단식 밭으로 경작되어 있었고, 25~30° 되는 경사지에 해당됩니다.
층위는 크게 무문 토기 유물 포함층과 연질 토기와 경질 토기 등의 유물 포함층으로 나뉜다.
북구 조개더미는 약 20×40m 정도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패각의 퇴적 두께는 최대 5m에 이르며, 이는 성산 패총에서 가장 두터운 패각층입니다.
북구 조개더미는 조개더미 층위와 출토유물로 보아 동구 조개더미와 서남구 조개더미보다 늦은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창원 성산 패총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culture.changwon.go.kr
http://www.cha.go.kr
운영 시간 매일 09:00~18:00
* 동절기에는 17시까지
주차시설 없음
쉬는 날 매주 월요일, 1월1일, 설/추석 당일
창원 신방리 음나무 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창원 신방리 음나무 군 소개
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이며 굵은 가지가 사방을 퍼진다.
크고 편평한 가시가 달린다.
잎은 마주나고 거의 둥글며, 가장자리가 단풍잎처럼 5~9개로 갈라지며 열편에 톱니가 있습니다.
엽병 길이가 10~30cm, 간혹 50cm에 달합니다.
꽃은 7~8월에 피고 황록색입니다.
화서는 가지 끝에서 자라서 가지가 갈라지고 끝에 20~3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열매는 거의 둥글고 지름이 6mm 정도로서 10월에 검게 익으며 1~2개의 종자가 들어있습니다.
신방초등학교 뒤의 길가 언덕에서 4그루가 자라고 있으며, 높이는 18~19m 정도입니다.
가슴높이 둘레는 가장 큰 것이 5.4m이고, 3그루는 크기가 비슷하며 3.2m입니다.
1982년 10월에 외과 수술을 받았습니다.
길가에서 자라며 늙었기 때문에 심재가 썩은 부분이 많다.
썩은 부분을 모조리 도려내고 소독한 다음 인공수피로 채웠다.
서 있는 곳의 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노출되고 있으므로 석축을 쌓아서 뿌리가 묻히도록 하였습니다.
나무 나이는 약700년 쯤 되었으며, 높이는 약 30m, 가슴높이 지름이 약 1.8m에 달합니다.
목재는 악기를 만들고, 가시가 달린 가지는 귀신을 쫓는 용도로 써 왔다.
마을 사람들은 귀신을 쫓는 나무라 하여 음나무 아래에서 풍물을 치며 마을의 액운을 쫓았습니다고 합니다.
또한, 나무를 훼손하면 재앙을 받습니다 하여 극진히 보호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창원 신방리 음나무 군 기본 정보
홈페이지 창원시 문화관광 http://culture.changwon.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쉬는 날 연중무휴
창원 진례산성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창원 진례산성 소개
창원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이면서 남으로는 바다와 연결돼 있습니다.
사람이 살기에 좋은 자연조건입니다 보니 선사시대 유적이 시내 곳곳에 많다.
창원시 동부지역, 토월동, 사파정동과 김해시 진례면의 경계를 이루는 비음산 위에 축성된 석성이 진례산성입니다.
둘레가 4km에 이르는 포곡식 산성(내부에 넓은 계곡을 포용하고 계곡을 둘러싼 주위의 산 능선을 따라 성벽을 축조한 산성)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축성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산성에서 내려다보면 김해평야와 창원시가지가 한눈에 들어와 당시의 군사적 요충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성의 둘레는 약 4km로 성벽은 대부분 붕괴되었으나, 동벽의 일부 구간은 높이 157cm, 너비 77cm 정도로 남아 있습니다.
등산로는 초입에서 능선까지는 가파른 편이나 능선에서 정상까지는 비교적 완만하고 이곳 능선에서 정상까지 진달래가 대단위 군락을 이루어 4월 만개시에는 산 능선을 진홍빛으로 수를 놓은 듯 붉게 물들입니다.
매년 꽃이 만개하는 4월 중순경 진달래축제가 다채로운 행사(등산, 제례 등)와 함께 열려 많은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습니다.
* 진례산성의 역사에 대하여 *
조선시대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진례성은 김해부 읍치(邑治)의 서쪽 35리에 있으며, 통일신라의 김인광이 진례성제군사(進禮城諸軍事)였던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 때에 축성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책이 편찬될 무렵에는 이미 폐성이 되어 옛 터만 남아 있었습니다.
면적은 80만 6,234㎡이고, 김해시 진례면과 경계를 이루는 높이 510m에 축성된 석성으로 둘레가 4㎞에 이르는 포곡식(包谷式) 산성입니다.
진례성은 통일신라 말의 후삼국 쟁패기에 후백제가 경상도 지역으로 진출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요충지였다.
따라서 진례성은 후백제와 신라, 그리고 후백제의 군사적 진출을 견제하기 위해 신라를 도와주었던 고려에게도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었습니다.
창원 진례산성 기본 정보
지금까지 경남 창원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하동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8.01 |
---|---|
경남 통영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7.31 |
경남 창녕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7.29 |
경남 진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7.17 |
경남 의령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