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대전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숭현서원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숭현서원지 소개
숭현서원지 정광필·김정·송인수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입니다.
16세기 후반에 세운 것으로 추정하는 이 서원은 1592년 나라에서 인정한 사액서원으로 ‘숭현’이라는 이름을 받았습니다.
인조 19년(1641)에 이시직과 송시영을 추가로 모시게 되었는데 서원 안에 별도의 건물을 마련하였습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습니다가 광해군 1년(1609)에 복원되었고 후에 김장생·송준길·송시열 등을 추가로 모시게 되었습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8년(1871)에 폐쇄된 후 복원하지 못하고 현종 8년(1667)에 세운 비석만 남아 있습니다.
이 서원에서는 송남수(宋枏壽),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俊吉) 등 거유들이 학문을 강의하는 등 이 지역의 학문중심지역 역할을 했습니다.
대전시는 이처럼 유서 깊고 교육적 가치가 놓은 유적을 보다 많은 시민들이 보고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994년부터 복원을 하여 사당, 강당, 동재, 서재 등이 완전히 갖추어진 숭현서원지의 옛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유림회관과 더불어 선조들의 충절 정신을 기리는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 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숭현서원지 기본 정보
식장산 문화공원(해돋이전망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식장산 문화공원(해돋이전망대) 소개
식장산(623.6m)은 대전광역시 동구와 옥천군 군북면, 군서면 등 세 지역에 걸쳐있는 산입니다.
대전광역시의 최고봉으로 충남의 최고봉 서대산(904m), 옥천의 최고봉 대성산(705m) 등 인접지역의 명산들과 어깨를 견주며 동구의 남동부를 수놓고 있는 산입니다.
대전광역시가 지정한 482만㎡ 규모의 자연생태보전림을 품고 있는 이 산은 78과 187 속 224종 45변종의 식물과 노루, 다람쥐, 살쾡이, 너구리, 박쥐 등 포유류 45종, 조류 100여종, 파충류, 양서류 등이 서식하고 있는 생태의 보고다.
식장산 문화공원은 세천공원부터 식장산 해돋이 전망대로 이어지는 생태공원으로 대천 최고의 야경 감상 명소로 꼽히던 식장산 정상부에 문화공원을 조성하였습니다.
특히 문화공원 내에 지은 전통누각이 운치를 더하고 있으며, 대전 전경을 한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도 위치해 있습니다.
누각과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대전의 풍경을 감상하기 위해 남녀노소 많은 시민들이 발걸음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식장산 문화공원(해돋이전망대) 기본 정보
홈페이지 대전동구청 관광문화축제 https://www.donggu.go.kr/dg/tour/97/15/sights
운영 시간 00:00~24:00
쉬는 날 연중개방
대전교통문화연수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전교통문화연수원 소개
대전교통문화연수원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엑스포과학공원내 한빛탑 뒤편에 위치해 있습니다.
2010년부터 교통문화센터라는 명칭으로 주로 어린이 교통안전체험교육을 중심으로 운영하여 오다가 2016년 2월 기존의 기능은 물론 대전광역시의 여객, 화물 운수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하는 운전자 전문교육기관으로 새롭게 탈바꿈 하였습니다.
지하1층, 지상3층, 야외, 연면적 11,511㎡ 규모로 중부권 최대 규모로 건립된 대전교통문화연수원은 1층 교통박물관 & 3D 영상교육관, 2층 교통안전 시뮬레이션 체험관, 3층 교통안전 문화학습관으로 조성되어있습니다.
또한,야외 체험장에는 꼬마열차체험, 안전벨트 체험버스 등을 다양한 체험거리를 갖추고 있어 어린이와 청소년, 일반인들이 실제 체험을 통해 선진교통문화를 확산시키고, 교통안전문화를 익힐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습니다.
* 규 모 : 지하1층 지상3층, 연면적 11,511㎡
* 부지면적 : 33,058㎡
대전교통문화연수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대전교통문화연수원 http://dtcc.or.kr
운영 시간 10:00 ~ 17:00(1회 약 1시간 20분 소요)
1회 : 10:00 ~ 11:20
2회 : 13:00 ~ 14:20
3회 : 15:00 ~ 16::20
주차시설 엑스포과학공원주차장 이용
쉬는 날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추석 당일 휴관
회덕향교 대성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회덕향교 대성전 소개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국립교육기관입니다.
회덕향교는 조선 세종(재위 1418∼1450) 때에 처음 지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것을 선조 33년(1600)에 다시 짓고 순조 12년(1812)에 수리하였습니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과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 동무·서무 등입니다.
대성전은 공자와 그의 제자들을 비롯한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회덕향교 대성전 기본 정보
상소동 산림욕장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상소동 산림욕장 소개
상소동 산림욕장은 만인산과 식장산 자락 중간지점(대전역에서 금산방향-17번 국도-으로 약10km 지점, 남대전IC에서 약 5km)에 위치해 있으며 가는 길에는 버즘나무 가로수 터널이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습니다.
자연체험과 휴양을 할 수 있는 각종 시설이 조성되어 있고, 특히 수많은 돌탑이 조성되어 있어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족이나 연인 등 각계각층에서 가족의 건강이나 여러 가지 염원을 담은 돌탑을 쌓을 수 있는 공간이 있어 뜻깊은 기회를 제공하여 주기도 하고, 봄부터 가을까지 수많은 야생화를 감상할 수 있으며 가벼운 마음으로 찾아와 산책과 등산과 휴양을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상소동 산림욕장 기본 정보
추동인공생태습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추동인공생태습지 소개
추동 인공생태습지는 대전시가 2008년 12월 26일 습지 보호구역으로 지정한 곳으로 멸종 위기종인 천연기념물 수달, 천연기념물 원앙 그리고 말똥가리, 흰목물떼새, 맹꽁이 등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슬로문화 속 떠오르는 여행지 ‘추동 생태습지공원’ 습지에 서식하는 동식물, 미생물과 습지를 구성하는 토양 등은 주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각종 오염된 물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고 깨끗한 물을 흘려보내는 자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종류의 생물들이 모여 살기 때문에 생물의 다양성이 높아 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기도 합니다.
동구의 대청호 둘레길 중 6코스 길은 습지가 발달한 생태관광의 명소로 이어진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추동인공생태습지 기본 정보
김정선생묘소일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김정선생묘소일원 소개
조선 중종 때 형조판서(刑曹判書)겸 예문관제학을 지낸 충암 김정(沖菴 金淨:1486∼1521) 선생과 관계된 유적이 자리한 곳입니다.
선생은 조광조와 더불어 지치주의를 실현시키기 위해 미신타파와 향론의 상호부조에 힘썼고, 향약(鄕約)을 전국에 걸쳐 시행하는데 큰 업적을 남겼다.
기묘사화(1519) 때 조광조 등과 함께 감옥에 갇혔다가 금산에 유배된 후 제주도에서 사약을 받았습니다.
1978년 대청댐 수몰로 물에 잠긴 대덕군 동면 내탑리에서 이곳으로 묘를 옮기면서 신도비(神道碑), 충암선생의 위패(位牌)를 봉안한 별묘(別廟), 산해당(山海堂) 그리고 그의 부인의 정려각(旌閭閣) 등도 함께 옮겼다.
대청댐 수몰지구에 들어가게 되어 국비로 선생의 묘소 등 유적이 동구 신하동 묘골로 옮겨지게 되었고, 이 지역은 대덕군 지역이던 곳이 근래 대전 광역시 동구로 편입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김정선생묘소일원 기본 정보
만인산푸른학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만인산푸른학습원 소개
* 숲에서의 자연 체험, 만인산푸른학습원 *
만인산 자연휴양림은 1997년 개장하였고, 구역면적은 183만㎡입니다.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민간위탁 운영하였으나, 시민들에게 질적 서비스 확대와 노후된 시설물 보완을 위하여 2015년 부터 대전광역시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습니다.
만인산푸른학습원에는 새, 물고기, 곤충등 동물 표본을 전시한 표본관과 세계적으로 희귀한 운석 등을 전시한 화석관, 실제크기의 공룡을 전시한 공룡관, 선사시대 조상들의 생활상을 연출하고 유물들을 전시한 선사시대관이 있는 자연학습전시관과 무궁한 우주를 탐함할 수 있는 천문대, 목재체험장, 학습농장, 모험놀이시설, 산림욕장 등이 있는 휴양림시설 이외에도 운동장, 대강당, 강의실 등 단체방문객들이 이용하기 좋은 시설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만인산푸른학습원 기본 정보
유성온천지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유성온천지구 소개
유성온천은 대전 중심가에서 서쪽으로 약 11km 가량 떨어진 유성구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대단위 온천관광타운입니다.
유성의 온천수는50∼400m로 구성된 화강암 단층 파쇄대에서 생성된 물로서, 화강암의 단층균열층을 따라 지하 200m 이하에서 분출되는 27~56℃ 정도의 고온 열천입니다.
약 60 여종의 각종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중금속이 전혀 검출되지 않은 산성도(pH)7.5∼8.5의 약알카리성 단순천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습니다.
특히 온천이 시내에 위치해 있어 대표적인 도시형 온천으로 주변으로 대규모 숙박시설과 유흥주점들이 들어서 관광타운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또 유성컨트리클럽, 꿈돌이동산, 엑스포과학공원 등이 조화를 이뤄 관광과 온천욕을 겸한 단체관광객과 일반 행락객들이 끊이지 않고 이어져 도시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성IC와 대전 월드컵경기장이 불과 1km 남짓한 거리다.
전국 어디서나 접근이 쉽고 이용이 편한 온천타운으로 발전의 소지가 더욱 높다.
* 유성온천지구의 또다른 볼거리, 5월의 눈꽃축제 *
대전은 5월이 되면 바빠진다.
이곳 유성온천거리에 5월의 눈꽃축제가 열리기 때문입니다.
유성온천거리에는 눈을 닮은 하얀 꽃잎이 아름다운 이팝나무가 가로수로 많이 심어져 있고, 눈꽃거리가 조성되어 매우 아름답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유성온천지구 기본 정보
홈페이지 유성구 문화관광 https://www.yuseong.go.kr/tour/index.do
운영 시간 한방족욕탕 08:00 ~ 22:00
족욕체험장 007:00 ~ 22:00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연중개방
대전엑스포과학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전엑스포과학공원 소개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박람회기구(BIE)공인 전문 엑스포로 개최되었던 "93년 대전세계박람회"를 기념하기 위해 그 시설과 부지를 국민 과학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성된 과학공원입니다.
엑스포과학공원에는 대전세계박람회(1993)의 상징탑인 한빛탑과 대전세계박람회를 기념하기 위해 새롭게 재단장한 대전엑스포기념관이 있고, 각국에서 개최하였던 엑스포의 기념품 및 상징물이 전시되어있는 세계엑스포기념박물관에서는 200년간의 엑스포의 역사를 감상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이 교통관련 교육 및 교통의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대전교통문화센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외의 시뮬레이션관, 돔영상관, 전기에너지관, 첨단과학관, 에너지관, 자기부상열차, 음악분수, 꿈돌이광장 등은 대전시의 엑스포재창조사업 추진으로 현재 시설 철거 작업중이므로 관람이 불가능하다.
대전엑스포과학공원 기본 정보
운영 시간 [대전엑스포 기념관] 09:30~17:40(입장마감 17:20)
[한빛탑&대전 통일관] 09:30~17:40(입장마감 17:20)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매주 월요일
지금까지 대전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9.13 |
---|---|
대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9.13 |
인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9.04 |
서울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9.04 |
제주 제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