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홍성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충남 홍성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용봉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용봉산 소개
높이 381m로 큰 산은 아니며 험하지도 않으나 산 전체가 기묘한 바위와 봉우리로 이루어져 충남의 금강산이라 불릴만큼 아름답다.
정상까지 산행하는 동안 수백장의 한국화를 보듯이 시각각으로 풍경이 바뀌는 것이 용봉산의 특징입니다.
이 산의 이름은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은듯한 형상인데서 유래했습니다.
남방향 중턱과 서편산록에 완만한 경사가 길게 펼쳐져 있고 요소요소에 소나무 군락이 자연발생적으로 있으며, 장군바위 등 절경과 백제 때 고찰인 용봉사와 마애석불(보물)을 비롯한 문화재가 곳곳마다 산재합니다.
용봉산 정상에서 바라보는 예산의 덕숭산(수덕사), 서산의 가야산, 예당 평야의 시원한 경치도 일품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용봉산 기본 정보
그림같은 수목원(그림이 있는 정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그림같은 수목원(그림이 있는 정원) 소개
그림같은수목원은 2004년 12월 29일 산림청에 등록된 사랍수목원으로 홍성 12경중 12경입니다.
약 11만㎡부지에 1,000여종의 초본류를 비롯하여 560여종의 목본류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서해 천수만과 근접하고있어 바람이많고 습도가 높아 다른지역에 비해 낮은 기온차로 꽃의 개화시기도 보름정도늦어지는 지리적인 특성이 있으며 우리나라 대표 수목중의 하나인 소나무를 중심으로 조경했습니다.
사계중 봄에는 각종 꽃이 만발하고, 여름에는 순수한 우리꽃과 녹색이 어우러져 왕성한 생명력을 엿볼수가있으며, 가을이되면 고운자태를 자랑하는 단풍과 노란잔디에 수놓은 낙엽을 밟으며 인생의 깊이를 느낄수있을것입니다.
겨울에는 고목과 녹색이 어우러진 소나무, 향나무 사이를 소복히 쌓여있는 눈을 밟으며 따뜻한 사랑의 이야기를 나눌수있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그림같은 수목원(그림이 있는 정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gallerygarden.planw.kr/
운영 시간 09:00 ~ 일몰 시까지
※ 입장은 폐장 1시간 전까지 가능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남당항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당항 소개
광활하게 펼쳐진 천수만과 어우러진 수산물의 보고로 대하, 우럭, 새조개, 꽃게, 새우 등 사시사철 싱싱한 수산물이 있고, 주변에는 많은 횟집이 산재해 있어 홍성은 몰라도 남당항이 있는 남당리는 알 정도로 대표적인 관광 명소입니다.
특히 천수만 최고 별미안 새조개가 유명해 미식가들의 발걸음을 재촉합니다.
잔잔한 은빛 수면으로 석양이 아름다우며, 괭이갈매기 등 철새 도래지인 AB지구와 대나무가 많이 자생합니다고 하는 죽도와 멀리 안면도가 보여 해안경관이 한눈에 들어온다.
매년 가을에는 대하 축제와 겨울철 별미인 새조개 축제가 열리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당항 기본 정보
홍성 홍주읍성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홍성 홍주읍성 소개
충남 홍성군에 있는 성으로, 길이 약 1,772m의 성벽 중 약 800m의 돌로 쌓은 성벽의 일부분이 남아있습니다.
처음 지어진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 홍주성의 둘레와 여름과 겨울에도 마르지 않는 샘이 하나 있습니다는 기록만 있을 뿐입니다.
왜구의 침입이 예상되는 고을의 읍성을 새로운 격식에 맞추어 쌓게 되었던 조선 세종 때에 처음 쌓기 시작하여 문종 1년(1451)에 새로 고쳐 쌓았습니다.
당시 성의 규모는 둘레가 4,856척(약 1.5㎞), 높이는 11척(약3.3m)이며 문은 4개가 있었고, 여장·적대 등의 여러 시설이 설치되었으며 안에는 우물 2개가 있었습니다고 합니다.
동문인 조양문은 현재까지 남아있고 1975년 복원한 것입니다.
아문은 조양문의 문루를 설치할 때 함께 세운 것이며 ‘홍주아문’이란 글씨는 흥선대원군이 직접 썼으나 현재 남아있지 않다.
우리나라 아문 중에서 가장 크고 특이한 형태를 지니며 조선시대 관아의 구조와 형태를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됩니다.
안회당은 홍주목의 동헌으로 22칸의 목조기와입니다.
역대의 홍주목사와 홍주군수가 행정을 집행하던 관아건물로 현재 군청후정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여하정은 목조와즙의 육각으로 된 수상정으로 현재 군청후정에 안회당 뒤뜰과 연접한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의병을 일으킨 민종식 등이 이 성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공격하여 덕산으로 격퇴시킨 일이 있습니다.
이 곳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읍성으로 이어졌으며, 조선 초기 새로운 형식에 의해 쌓은 성이남아있습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홍성 홍주읍성 기본 정보
조양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조양문 소개
조양문은 홍주성의 동문이며 홍성군의 관문으로 고종조에 목사 한응필이 홍주성을 석성으로 개축하고 동서남북의 문루도 다시 세웠다.
동문은 조양문 서문은 경의문 북문은 망화문이라 하는데, 대원군이 친필로 하사하였으며 남문은 문루가 없는 홍예문이었습니다.
북문은 역대 목사들이 문루에서 사형수의 처형을 감시하기도 하였는데, 동학운동(1894) 때는 수백 명의 동학군이 여기에서 처형되었습니다.
고종 광무 10년(1906) 항일의병이 일어나 일본군과 홍주성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는데 그 때의 흔적이 조양문 곳곳에 보입니다.
일본인들에 의하여 서문과 북문은 파괴되어 없어지고 조양문 또한 파괴되었으나 부분적인 보수로 퇴락되었던 것을 1975년 문루를 해체 복원하여 옛 모습을 찾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조양문 기본 정보
만해 한용운선생 생가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만해 한용운선생 생가지 소개
토굴새우젓으로 소문난 홍성군 광천읍 외곽도로 사거리에서 우회전, 천수만 방면으로 향해 가다보면 결성면 소재지가 나온다.
결성우체국 앞에 이르러 우측으로 심하게 굽은 도로를 따라가면 만해 한용운선생 생가에 닿게 됩니다.
양옆으로 과수원들이 옹기종기 들어선 한가로운 길에다가 안내판도 잘 되어 있어, 생가를 찾아가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그 길이 끝나는 곳에 이르면 초가집 두어 채가 보이는데 바로 한용운 생가입니다.
주차장을 지나자마자 오른편에는 생가터 안내문, 왼편에는 초가로 지어진 관리사무소가 있습니다.
싸릿대 울타리로 복원된 만해선생의 생가는 초가지붕을 얹었으며 방2칸, 부엌 1칸으로 구성된 일자형 구조로 한용운이란 문패가 걸려있어, 생전의 만해선생이 마치 그곳에 거주하고 있는 듯한 감상에 빠져든다.
댓돌이며 툇마루가 한없이 정겹고 우물과 장독대를 돌아 집 뒤 야산 언덕배기를 올려보면 적송과 조릿대가 자란다.
슬쩍 방 안을 기웃거리자니 만해의 영정과 앉은뱅이 책상 하나가 쓸쓸히 방문자들을 맞이합니다.
부엌 옆은 장작을 쌓아두는 헛간이고 사랑방 옆은 절구통과 맷돌이 보관된 헛간입니다.
생가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위패와 영정을 모신 만해사라는 사당이 있어, 다시금 옷깃을 여미게 만든다.
1879년 이곳 성곡리에서 태어난 한용운 선생은 6세부터 성곡리 서당골에서 한학을 배워 9세에 문리를 통달, 신동소리를 들으며 자랐다.
26세에 강원도 백담사에 들어가 불문에 입도. 삼일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 체포되어 3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했습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을 내면서 저항 문학에 앞장섰는가 하면, 불교개혁운동에 일생을 바쳤으며 1944년 6월 69세의 나이로 서울 성북동 심우장에서 별세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만해 한용운선생 생가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history.hongseong.go.kr
http://tour.hongseong.go.kr
운영 시간 평일 09:00 ~ 17:00
토요일, 공휴일 09:00~17:00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매년 1월1일, 설날, 추석
*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화요일 휴관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추석
김좌진장군생가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김좌진장군생가지 소개
독립운동가 김좌진 장군은 1905년 홍성에서 호명학교를 설립하였고 1915년 광복 사건으로 3년간 옥살이를 했으며 청년학우회 회원, 한성일보 이사로 있습니다가 3. 1운동 때 만주로 건너가 북로 군정서를 조직, 총사령이 되었습니다.
1920년 일본군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던 청산리 싸움에서 이범석 등과 함께 일본군을 대파하고 1925년 김혁과 함께 신민부를 조직, 총사령관이 되었으며 1930년 한족 총연합회를 조직, 주석에 취임하여 독립운동에 힘쓰던 중 공산청년당원에 의해 살해되었습니다.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광이 따로 있고 밖에는 마구간이 있습니다.
안채는 앞면 8칸·옆면 3칸의 기와집으로 서쪽을 향하고 있습니다.
왼쪽부터 2칸 부엌이 있고 아랫방과 윗방 각 한 칸씩 있으며, 통칸의 대청이 있습니다.
그 위에 방이 한 칸 있고 끝으로 툇마루가 있습니다.
방 앞으로 툇마루가 있는데, 맨 끝방 주위에는 툇마루를 한 칸 높여 누각처럼 만들었습니다.
마당 한쪽에 우물이 있으며 밖에 있는 마구간은 화장실과 마구를 3칸 집에 만들었습니다.
1991년부터 성역화 사업을 추진하여 본채와 문간채, 사랑채를 복원하고 관리사 및 전시관을 건립하였습니다.
또한 매년 10월에는 백야 김좌진장군 추모제와 청산리전투 전승기념축제가 열리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김좌진장군생가지 기본 정보
홈페이지 역사문화시설관리사업소 http://history.hongseong.go.kr
홍성 문화관광 http://tour.hongseong.go.kr
운영 시간 09:00~17:00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매주 월요일 (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화요일 휴관), 1월 1일, 설날&추석
거북이마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거북이마을 소개
거북이마을은 지형이 거북이 목처럼 생겨 구항, 구산, 귀목이라 불리고, 거북이 머리가 안쪽으로 향해 내현이라고 불렸다.
거북이 등껍질 부분은 보개산이라 하고, 숲에는 다양한 이야기를 담은 12개의 바위와 함께 삼림욕과 숲 체험 등을 즐길 수 있으며 생산, 가공, 체험, 관광이 결합된 마을로서 현대의 아이들에게 좋은 배움터가 되고 있습니다.
2013년에는 농어촌인성학교로 지정되어 오늘날처럼 아이들에게 움직임과 체험, 모험이 절실한 시대에 아이들에게 자연을 의식적으로 체험시키고 각 개인의 개성과 인성을 발달시키며 사회성을 길러주는 농어촌 체험교육으로 아이들의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거북이마을은 담양전씨 종가집 대대로 내려오는 보리고추장, 석천하유도, 전통상여, 약천초당 등 다양한 역사적 전통자원이 남아있어 아이들과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더없이 좋은 환경을 갖추었습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거북이마을 기본 정보
죽도(홍성)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죽도(홍성) 소개
홍성군 서부면 서쪽에 있는 홍성군 유일의 유인도로 섬주위에 대나무가 많이 자생하고 있어 죽도라 불리운다.
죽도는 천수만 내에 위치하고 있는 작고 아름다운 섬으로 낭만과 자연이 그대로 보존된 천혜의 섬입니다.
우럭, 대하, 바지락 등 풍부하고 싱싱한 해산물을 사계절 맛볼 수 있으며, 해돋이와 해넘이를 동시에 감상할 수 있고, 섬에서의 갯벌 체험은 가족에게 소중한 추억거리와 생활의 활력소가 될 것입니다.
죽도는 남당항 바로 앞 약 3.7km 지점에 위치하여, 배를 타고 약 15분 정도 들어가야 하는 곳이며, 올망 졸망한 8개의 섬이 달라붙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죽도(홍성)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hongseong.go.kr/prog/tursmCn/tour/sub01_0205/view.do?cntNo=16
안회당과 여하정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안회당과 여하정 소개
안회당은 홍주목의 동헌으로, 오량으로 된 22칸의 목조와가이며, 고종7년(1870) 4월에 상량하여 전 주민의 정성과 정교한 기술로 완성한 관서로서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현재 안회당과 취은루는 사료 전시실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안회당 뒷뜰과 연접한 소당위에 있는 여하정은 고종 33년(1896)에 이승우 목사가 신축한 수상정으로 목조와 즙의 육각형 정자입니다.
규모는 3평 5합 5작에 불과하나, 옛 연못을 연련하여 누운 고목과 수면을 장식한 연꽃은 한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안회당과 여하정 기본 정보
지금까지 충남 홍성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경산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5.03 |
---|---|
충남 계룡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5.02 |
충남 태안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4.28 |
충남 청양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4.27 |
충남 천안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