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계룡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충남 계룡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이심원충신정려현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심원충신정려현판 소개
조선 성종 때의 문신이자 태종의 둘째아들인 효령대군의 증손자인 이심원의 충절을 기리고 있는 정려문에 내린 현판입니다.
이심원은 김종직의 문인으로, 성질이 엄정하고 학문과 의술에 정통하였습니다.
성종 9년(1478) 주계부정에 제수된 후 성종 18년(1487)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정의대부에 임명되었습니다.
고모부인 임사홍 부자의 간사한 사실을 알고 성종임금에게 임사홍을 중요한 자리에 쓰지 말 것을 다섯차례나 상소로 올리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연산군 10년(1504) 갑자사화 때 임사홍의 모함으로 두 아들과 함께 죽임을 당하였습니다.
중종 14년(1519) 조광조 ·정광필 등의 상소로 죄를 면하고, 주계군으로 증직되었습니다.
이후 홍록대부로 추증되어 그의 충절을 기리는 정려문이 세워졌다.
그의 이러한 행적을『명신록』, 『삼강행실』, 『국고보감』등의 책에 기록하여 학문과 충절을 돋보이도록 하였습니다.
저서로는 『성광유고』가 있습니다.
금암동에 있는 주계군 정려는 정면 2간, 측면 1간의 규모이며 철책으로 보호되고 있습니다.
기단은 막돌을 사용하여 1단을 구축하였으며 그 위에 원형의 주초석을 놓고 원주를 세웠다.
4면은 홍살로 처리하였으며 하방과 중방을 시설하였습니다.
가구양식은 도리식을 이용했으며, 처마는 겹처마이고, 측면의 박공널 밑에는 방풍판을 설치하여 정려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정려의 내부에는 명정 현판과 함께 중수기가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심원충신정려현판 기본 정보
모원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모원재 소개
조선 성종때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한 김국광(金國光)(1415∼1480) 선생의 재실(齋室)입니다.
김국광은 세종 23년(1441)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고 세조의 즉위를 도와 두터운 신임을 얻게 되었습니다.
『경국대전』편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벼슬이 병조판서를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에 이르렀습니다.
인조 원년(1623)에 지은 모원재는 앞면 4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모원재 기본 정보
염선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염선재 소개
염선재는 김종서 장군의 7대 손이자 사계선생 계배 순천 김씨 정부인의 제각입니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고 사계선생이 1631년 8월 3일 타계후 부군의 삼년상을 마치고 1634년 계유년 12월 9일(향년 62세)에 부군의 뒤를 따르기 위해 식음을 전폐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어 효와 열의 근본이 되었습니다.
광무 십년(1906년) 4월 18일 정부인 순천김씨라는 칙명의 교지를 받았습니다.
고종 19년(1882)에 지은 이 건물은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입니다.
1987년에는 부패되어 손상된 기둥 밑부분을 절단하고 화강석으로 보강하였습니다.
염선재는 원래 작은 제각이었으나 1913년에 현재의 건물로 증축되어 조선말 전통 가옥 형태를 잘 보존하여 1990년 9월 27일 지방문화재 자료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염선재 기본 정보
두마신원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두마신원재 소개
조선 중기에 건립된 사계 김장생의 9번째 아들인 김비(1913~1699)의 재실입니다.
재실은 굴도리계통 정면 4간 측면 1.5칸의 홀처마 팔작지붕입니다.
우측 2칸은 온돌방 좌측 2칸은 대청마루 구조입니다.
전면에 신원재라는 현판이 걸려있습니다.
신원재(愼遠齋)는 부친이 돌아가시자 그의 형제인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과 그 형제들이 1632년 함께 건물을 짓고 이 곳에서 그의 조부 및 부친인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선생의 저서 등을 정리 집필하였던 곳이고, 신독재 사후 그의 막내 동생 김비가 황강행장(黃岡行狀) 및 실기(實記), 사계, 신독재 전서 등을 정리 집필하였던 유서 깊은 곳으로써 그 후 여러 차례 보수되었으나 한옥재실로서 원래의 모습이 잘 보존되어있습니다.
조선 중기의 전통 한식 목조 와가로 되어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두마신원재 기본 정보
무상사(계룡)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무상사(계룡) 소개
외국인 스님들이 한국불교의 간화선을 닦는 수행도량이 바로 무상 사다.
무상사는 매년 여름과 겨울, 두 차례에 걸쳐 결재로 알려져 있는 3 개월간의 집중 선수행 안거를 실시합니다.
무상사에서의 결재는 전 세계에서 온 비구와 비구니, 재가자들이 전통적인 한국 사찰의 방식대로 함께 수행하는 것입니다.
묵언을 원칙으로 하는 수행 일정은 좌선, 포행, 절, 염불, 울력과 발우 공양으로 구성되며 일주일에 두 번 공안 인터뷰가 있고 매주 법문이 있습니다.
한 해 사찰의 일정은 하안거와 동안거 그리고 해제 기간으로 구성됩니다.
해제 기간 중에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진행됩니다.
주말 안거와 특별행사, 워크숍 등이 진행됩니다.
무상사는 또한 스님(외국인)이 되기 위한 행자와 사미, 사미니 교육을 제공하며, 재가 수행자들을 위한 행원 프로그램, 템플스테이와 같은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모든 프로그램은 영어와 한국어로 운영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무상사(계룡) 기본 정보
계룡 입암저수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계룡 입암저수지 소개
충남 계룡시가 2017년부터 3년에 걸쳐 입암리 마을 종합개발 사업을 추진하면서, 지역 경관이 개선되어 생긴 명소입니다.
메타세쿼이아 나무가 있어 이국적인 느낌을 내며, 가을에 화려한 단풍을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계룡 입암저수지 기본 정보
천마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천마산 소개
동쪽으로는 계룡시 금암동 신시가지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이고 서남쪽으로는 백제계백장군의 충혼이 어린 황산벌이 멀리 바라다 보입니다.
또한 서편 기슭으로는 왕건이 하늘의 도움으로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세웠다는 개태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천마산 정상에는 천마정이라는 정자가 있어 조망이 좋다.
천마산 기본 정보
계룡산신도내주초석석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계룡산신도내주초석석재 소개
신도(新都)내의 부남리를 비롯하여 정장리, 석계리 일대 약 1만여평에 달하는 넓은 지역에 흩어져 있는 주춧돌들입니다.
이 곳은 계룡산 남쪽으로 대궐평(大闕坪)이라고 부르는데 계룡산을 북으로 업고 좌우에 산줄기가 내려와 좌청룡 우백호의 지형을 이루고 있어 풍수지리적으로 좋은 위치에 해당합니다.
고려가 망한 후 조선의 태조 이성계는 왕도를 새 자리로 옮겨 넓히고자 신도시 지역을 찾다가 이 곳 대궐평에 자리를 정하여 궁궐을 짓기 시작하면서 석재를 이 곳으로 옮겨 왔다.
그러나 수운(水運)이 없다하여 공사를 중지하였는데 그 때의 석재들이 이렇게 곳곳에 남아있는 것입니다.
석재는 사람의 힘으로는 운반하기 힘든 큰 돌들로서, 당시 가져다 놓았습니다는 94개중 파손된 2개를 뺀 나머지는 거의 그대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원래 석재들이 있던 곳은 원불교 훈련원인 삼동원(三同院)의 정원과 그 건물 주변이었는데 1950년대 말에 이 곳에 삼동원 건물이 들어 오면서 다소 자리가 이동되었습니다.
그 후 계룡시가 설계되고 삼군본부가 들어오면서 여군숙소인 근화원(槿花園) 주변에 석재를 모아 세 곳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석재들은 아직 형태를 갖추지 않은 부정형(不定形)의 석괴로 주춧돌용의 6면체 석재가 있는가 하면 장대석을 만들기 위해 준비한 길다란 돌들도 있습니다.
초석용의 석재 중 큰 것은 가로 170cm에 세로 130cm, 높이 100cm, 또는 150cm×120cm×95cm 등이 있고 장대석은 길이 310cm, 폭 80cm, 두께 50cm의 것도 있으나 대개 길이 1.5m~2m 내외가 많다.
계룡산신도내주초석석재 기본 정보
계룡 사계고택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계룡 사계고택 소개
* 사계 선생이 후진을 가르치던 사계고택 *
충남 계룡시 두마면 사계로 122-4에 자리한 사계고택은 조선 중기의 문인 사계 김장생 선생이 살던 집입니다.
사계 선생이 말년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내려와 살면서 아들 신독재 김집, 우암 송시열, 동춘당 송준길 등 후학을 양성한 곳입니다.
대문으로 들어서면 정면에 있는 사랑채가 먼저 눈에 들어온다.
대문 옆으로 길게 붙은 문간방은 현재 사계전시관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사계 선생의 일대기와 유물을 비롯해 그의 스승과 제자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계룡 사계고택 기본 정보
무궁화학습원(괴목정)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무궁화학습원(괴목정) 소개
계룡시 신도안면 용동리에 있는 유서깊은 공원으로 옛날에는 사람 많은 곳을 피해온 사람들이 이 근처에 자리잡고 살았습니다 합니다.
그들은 이곳에 않아 신선객이야기를 하다가 나무를 골라서 심곤 하였는데 되는대로 땅에 꽂은 나무는 모두가 괴목이었습니다고 하며, 나무가 많아서 괴목정이라 부른다고 전합니다.
또한 태조가 신도안을 도읍지로 정하고 주변 형세를 살필 때 무학대사가 이곳을 지나다가 지팡이를 무심코 꽂아 놓은 것이 나무가 되어 지금까지 살아 큰 괴목이 되었습니다고도 하는데 그 괴목이 정자 같은 구실을 합니다 하여 괴목정이라고 부른다고 전합니다.
무궁화학습원(괴목정) 기본 정보
홈페이지 계룡시 문화관광 https://www.gyeryong.go.kr/tour/
운영 시간 00:00~24:00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연중개방
지금까지 충남 계룡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경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5.04 |
---|---|
경북 경산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5.03 |
충남 홍성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5.01 |
충남 태안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4.28 |
충남 청양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