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경북 영주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부석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석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소개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文武王) 16년(676) 해동(海東) 화엄종(華嚴宗)의 종조(宗祖)인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왕명(王命)으로 창건(創建) 한 화엄종의 수사 찰(首寺刹)입니다.
대사가 당(唐) 나라에 유학하고 있을 때 당 고종(高宗)의 신라 침략 소식을 듣고 이를 왕에게 알리고, 그가 닦은 화엄의 도리(道理)로 국론(國論)을 통일(統一) 하여 내외(內外)의 시련을 극복하게 하고자 귀국하여 이 절을 창건하였으며 우리나라 화엄사상(華嚴思想)의 발원지가 되었습니다.
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불전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래의 바위와 서로 붙지 않고 떠 있어 뜬돌이라 한 데서 연유하였습니다 합니다.
고려 시대에는 선달사(善達寺) 혹은 흥교사(興敎寺)라 불렸다.
1916년 해체보수시 발견된 묵서명(墨書銘)에 의하면 고려(高麗)초기에 무량수전(無量壽殿) 등을 중창하였으나 공민왕 (恭愍王) 7년 (1358)적의 병화(兵火)를 당하여 우왕(禑王) 2년(1376) 무량수전이 재건되고, 우왕 3년 (1377) 조사당(祖師堂)이 재건되었습니다.
경내에는 통일신라시대 유물인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석조여래 좌상(보물), 삼층석탑(보물), 당간지주(보물), 석조 기단 등이 있고, 고려 시대 유물인 무량수전(국보), 조사당(국보), 소조 여래 좌상(국보), 조사당 벽화(국보), 고려 각판(보물), 원융국사비 등이 있습니다.
특히 무량수전은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 건물 중 하나이며, 조사당 벽화는 목조건물에 그려진 벽화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현재 유물관 안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무량수전 안에 봉안된 여래 좌상은 국내에 전래하는 최고의 소상(塑像)입니다.
무량수전 서쪽에 있는 우물은 의상대사의 호법룡(護法龍)이 살았습니다는 우물이라 전합니다.
* 문화재 *
무량수전(국보),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조사당(국보), 소조 여래 좌상(국보), 조사당 벽화(국보), 석조여래 좌상(보물),삼층석탑(보물), 당간지주(보물), 고려 각판(보물)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석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기본 정보
영주 무섬마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주 무섬마을 소개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에 있는 무섬마을은 안동의 하회마을, 예천의 회룡포, 영월의 선암마을과 청령포와 같이 마을의 3면이 물로 둘러 쌓여 있는 대표적인 물돌이 마을입니다.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과 영주천이 합수되어 태백산과 소백산 줄기를 끼고 마을의 삼면을 감싸듯 휘감아 돌아 마치 섬처럼 육지속의 섬마을로 전통을 고스란히 간직한채 살아가고 있는 마을입니다.
강변에 넓은 백사장이 펼쳐져 있고, 그 건너편으로는 울창한 숲이 있어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무섬마을에 사람들이 들어와 살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중반으로 반남박씨인 박수가 처음으로 이곳에 들어와 살기 시작했고, 이후 조선 영조때 그의 증손녀 사위인 예안김씨인 김대가 이곳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반남박씨와 예안김씨 두 집안이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습니다.
현재 약 48가구에 100여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는데, 가옥중 38동이 전통가옥이고, 16동은 조선시대 후기의 전형적인 사대부 가옥입니다.
예안김씨는 선성김씨라고도 하는데 현재 종친회에서 정식으로 부르는 이름은 예안김씨라고 합니다.
해우당과 만죽재가 특히 알려져 있으며, 김규진 가옥, 김위진 가옥 등 9점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와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해우당은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데, 무섬마을로 들어가는 수도교를 건너자 마자 바로 왼편으로 보이는 가옥입니다.
해우당은 19세기 말 의금부 도사를 지낸 김낙풍이 지은 집인데 해우당은 그의 호입니다.
해우당 김낙풍은 흥선대원군의 정치적 조언자였다고 합니다.
해우당 고택에 있는 현판은 바로 흥선대원군의 글씨라고 합니다.
안채에는 역시 흥성대원군이 쓴 '대은정'이라는 현판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무섬마을에서 또하나 눈여겨 보아야 할 가옥은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만죽재입니다.
반남박씨의 입향조인 박수가 1666년(헌종7년)에 지은 집으로 무섬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한옥입니다.
만죽재는 무섬마을의 가장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만죽재의 편액은 석운 박기양의 글씨입니다.
또한 마을의 중앙에는 19세기 초반에 지어진 만운고택이 있습니다.
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는 집이며, 이집을 지은 만운 김휘걸의 호를 따서 지은 집입니다.
바로 시인 조지훈의 처갓집입니다.
조지훈은 시 '별리'를 통해 이곳 무섬마을의 아름다움을 노래했습니다고 합니다.
이외에 무섬마을의 대표적인 부잣집 가옥인 김위진 가옥(문화재 자료), 담장없이 지어진 김정규 가옥(문화재 자료), 실학자 박규수의 글씨가 남아 있는 박재연 고택 등도 둘러 보아야 할 전통 가옥입니다.
무섬 마을에는 또 한가지 빼놓지 말아야 할 볼거리가 있습니다.
바로 350여년간 무섬 마을과 강건너를 연결시켜준 외나무다리입니다.
1979년 수도교가 놓이기 전까지 무섬마을의 유일한 통로 역활을 한 외나무 다리는 길이가 무려 150m에 이르고, 폭은 30cm에 불과한 다리 입니다.
폭이 좁아 긴 장대에 의지한채 건너야 합니다.
외나무 다리는 해마다 새로 다리를 만들었는데, 장마철이면 불어난 강물에 다리가 떠내려 가기 때문이었습니다고 합니다.
수도교의 건설로 사라졌던 외나무 다리는 최근 옛모습 그대로 복원되어 매년 10월에 '외나무다리 축제'를 만들어가는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원래 외나무 다리는 3개가 만들어 졌었습니다고 합니다.
농사지으러 가는 다리, 장보러 가는 다리, 학동들이 학교 가는 다리. 지금은 농사지으로 가는 다리 하나만이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고 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주 무섬마을 기본 정보
선비촌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선비촌 소개
유교문화 발상의 중심지로서 옛 선비정신을 계승하고, 선현들의 학문 탐구와 전통생활 모습의 재현을 통하여 관광자원화하고, 미래지향적인 관광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며, 우리 전통적 고유사상과 생활상의 체험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선비촌은 우리 민족의 생활철학이 담긴 선비정신을 거양하고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재조명하여 윤리도덕의 붕괴와 인간성 상실의 사회적 괴리현상을 해소시켜 보고자 충효의 현장에 재현하게 된 것입니다.
앞으로 소수서원과 연계되는 영주선비정신의 계승과 이를 통한 올바른 가치관 정립 그리고 역사관 확립을 위한 산교육장으로 활용될 것입니다.
선비의 생활상을 이해하는 오감체험형전시와 참여형 이벤트, 전통문화체험의 기회가 수시로 제공되는 선비촌의 각종 기획프로그램에서 옛 선비들의 당시 생활상을 통해 잊혀져가는 수준높은 전통문화를 체험하게 될 것입니다.
* 부지면적 - 57,717㎡(17,460평)
* 전시가옥 면적 - 2,651㎡(802평)
* 주요규모 - 와가 7가구, 초가 5가구, 누각 1동, 정사 2동, 정려각 2동,성황당 1동, 곳집 1동, 원두막 1동, 저자거리
* 수신제가(修身齊家)
김상진家, 해우당고택, 강학당'수신제가(修身齊家)’란 자신을 수양하고 집안을 올바르게 가꾼다는 뜻입니다.
선비들은 우선 자신의 몸과 마음을 갈고 닦아 학문을 힘쓰며 일상의 생활윤리를 실천하는 일,곧 수신(修身)을 중요시했습니다.
이는 유학의 실천적인 학풍에 의한 것으로 선비들은 수신을 위해 인(仁), 의(義), 예(禮), 지(智)를 공부하고 바르게 실천하는일을 게을리하지 않았습니다.
수신제가의 공간에서는 자기수양을 위해 노력했던 영주 선비의 모습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교육방식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입신양명(立身揚名)
두암고택, 인동장씨종가'입신양명(立身揚名)’이란 사회에 진출하여 이름을 드높입니다는 뜻입니다.
옛 선비들에게 과거시험을 통한 관료의 길은 수신제가(修身齊家)후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 즉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얻는 일이었습니다.
입신양명의 공간에서는 중앙관직에 진출하여 다양한 활동을 하였던 영주 선비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거무구안(居無求安)
김문기家, 만죽재, 정사'거무구안(居無求安)’이란 사는데 있어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습니다는 뜻입니다.
선비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며 자연의 이치와 인간의 살아갈 길을 고민하였습니다.
자연과 더불어 풍류를 즐기는 것을 인격수양의 길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거무구안의 공간에서는 명상과 풍류를 즐기면서도 자신의 안위를 우선시하지않고 현실의 잘잘못을 비판한 영주 선비의 굳은 기개를 엿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우도불우빈(憂道不憂貧)
김세기家, 김뢰진家, 장휘덕家. 이후남家, 김규진家, 두암고택가람집 ‘우도불우빈(憂道不憂貧)’이란 가난함 속에서도 바른 삶을 중히 여긴다는 뜻입니다.
비록 살림살이가 어렵더라도 잘사는 것에 욕심이 나서 선비의 도를 벗어나지 않았으며 곤궁함으로 인해 가볍게 스스로의 품격을 잃지 않았습니다.
우도불우빈의 공간에서는 가난을 부끄러워 하지 않고 청빈한 삶을 살았던 선비들의 모습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선비촌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sunbichon.net
운영 시간 동절기(11~2월) 09:00~16:00
춘추절기(3~5월/9~10월) 09:00~17:00
하절기(6~8월) 09:00~18:00
※ 입장 : 관람 종료 1시간 전까지
주차시설 주차 가능(소형 95대, 대형 50대)
쉬는 날 연중무휴
소백산국립공원(경북)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소백산국립공원(경북) 소개
소백산은 봄에는 철쭉꽃, 겨울에는 설화가 만발하는 산이며 1987년 12월 국립공원 제1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여성적인 산의 상징이기도 하다.
소백산은 우리 민족의 영산이며, 영남지방의 진산으로 알려져 왔다.
태백산에서 서남으로 갈린 산맥이 구름 위에 솟아 경상도, 강원도, 충청도 3도의 경계를 지으면서 서남쪽으로 구불구불 백여리를 내려뻗어 일으킨 소백산은 영주, 예천, 단양, 영월 4 고을의 배경이 되어 고장의 평화와 행복을 수호하며 기품있는 선비의 풍모처럼 맑고 수려한 기상의 영기 어린 성산입니다.
또한 지맥의 흐름으로는 한반도의 척추 부분에 해당하는 중요한 곳이기도 하다.
특히 소백산 허리를 감돌아 오르는 아흔아홉 구비의 죽령은 영남의 3대 관문 중 하나로서, 그 옛날 과거길 선비들의 수많은 애환이 서려있는 곳이기도 하다.
주봉인 비로봉(1,439.5m)에는 천연기념물인 주목이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나라가 어려울 때 선비들이 한양의 궁궐을 향해 임금과 나라의 태평을 기원하였습니다는 국망봉(1,421m)과 소백산천문대가 있는 연화봉(1,394m), 그 옛날 산성의 흔적이 남아 있는 도솔봉(1,315m) 등 많은 산봉우리들이 연이어져 있습니다.
소백산 중턱에는 신라시대 고찰 희방사와 비로사가 있으며, 희방사 입구에는 영남 제일의 희방폭포(28m)가 연중 시원한 물줄기로 피서객들을 즐겁게 맞고 있습니다.
특히 해마다 5월이면 철쭉꽃의 장관과 상수리나무 숲터널은 소백산의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으며 연중 6개월 정도 백설로 뒤덮혀 있는 비로봉은 '한국의 알프스'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소백산국립공원(경북)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obaek.knps.or.kr
주차시설 있음(희방제1, 희방제2, 희방제3, 삼가, 배점, 부석 주차장)
쉬는 날 ※ 기상여건에 따라 통제 가능
죽계구곡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죽계구곡 소개
배점리에서 초암사에 이르는 계곡을 죽계구곡이라 합니다.
옛날 퇴계 이황선생이 계곡의 절경에 심취하여 물흐르는 소리가 노래소리 같다하여 각 계곡마다 걸맞는 이름을 지어주며 죽계구곡이라 불렀습니다.
계곡 밑바닥이 훤히 보이는 맑은 물, 울창한 푸르른 숲, 그 사이로 보이는 하얀 바위들이 모여 빚어놓은 죽계구곡은 어느 지점에서든지 주저앉아 발을 담그고 휴식을 취할 수 있어 특히 무더운 여름 휴가철을 맞아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계곡입니다.
인근에 소수서원, 부석사, 읍내리벽화고분 등 관광명소가 있습니다.
* 초암사
죽계구곡을 따라 올라가면 소백산 기슭에 자리잡은 조그마한 사찰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사찰이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호국사찰을 세우고자 산수 좋은 이곳에 초막을 지어 임시 거처를 정하고 명당자리를 골라 부석사를 세운 뒤 초막을 지었던 곳에 절을 지어 초암사라 했습니다.
초암사는 6.25의 병화를 맞아 쇠락해 있던 것을 이보원 스님의 각고의 노력 끝에 현재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죽계구곡 기본 정보
홈페이지 영주 문화관광 https://www.yeongju.go.kr/open_content/tour/index.do
무섬 외나무다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무섬 외나무다리 소개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은 아름다운 자연과 고가(古家)가 그대로 보존된 전통마을로서 내성천(乃城川)이 마을의 3면을 감싸듯 흐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섬(島)처럼 떠 있는 육지 속 섬마을입니다.
30년 전만 해도 마을 사람들은 나무를 이어 다리를 놓고 내성천을 건너 뭍의 밭으로일하러 갔으며, 장마가 지면 다리는 불어난 물에 휩쓸려 떠내려갔고, 마을사람들은 해마다 다리를 다시 놓았습니다.
현재의 외나무 다리는 지난 350여년간 마을과 뭍을 이어준 유일한 통로로 길이는 약 150m입니다.
1979년 현대적 교량이 설치되면서 사라지게 된 이 다리는 마을 주민과 출향민들이 힘을 모아 예전 모습으로 재현시켜 놓았습니다.
무섬 외나무다리 기본 정보
쉬는 날 연중무휴
희방사(영주)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희방사(영주) 소개
희방역에서 동북쪽으로 4km 정도 되는 소백산 기슭 해발 850m에 있으며,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에 두운대사가 세웠다.
월인석보 1,2권의 판목을 보존하고 있었는데 6.25때 절과 함께 불타고 얼마 전에 책판(목판)이 나왔다.
절 입구는 자연림이 우거져 햇빛을 가리며, 희방폭포는 높이 28m로 내륙지방 최고의 폭포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희방사(영주) 기본 정보
홈페이지 영주 문화관광 http://yeongju.go.kr/open_content/tour/index.do
주차시설 소백산국립공원 희방주차장 이용
쉬는 날 연중무휴
장수조이월드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장수조이월드 소개
장수 조이월드는 영주시 외곽 남서쪽 8㎞지점에 위치해 있습니다.
영주시 장수면은 예로부터 "장수마을"이 있던 곳이어서 면이름도 그렇게 정해졌다고 합니다.
장수조이월드가 앉은 터는 꽃이 유난히도 많이 피어나는 곳이라 하여 꽃 화(花)자를 써서"화기리"라 불리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장수조이월드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yeongju.go.kr/open_content/tour/index.do
운영 시간 08:00~17:00
주차시설 주차 가능
수도리 전통마을(무섬마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수도리 전통마을(무섬마을) 소개
문수면 수도리는 아름다운 자연과 옛 고가가 그대로 보존된 전통마을입니다.
수도리는 이름 그대로 내성천이 마을의 3면을 감싸 안고 흐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섬처럼 떠 있습니다.
안동 하회마을을 연상시키는 이 마을에는, 휘감아 도는 강을 따라 은백색 백사장이 펼쳐져 있으며 맞은편에는 소나무, 사철나무 등이 숲을 이룬 나지막한 산들이 강을 감싸 안고 이어진다.
또, 강 위로는 견실한 다리가 놓여져 마을과 마을을 잇고 있습니다.
수도리는 고택과 정자로 이루어진 전통 마을로 옛 모습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해우당(도 민속자료 제92호)과 만죽재(도 민속자료 제93호)는 옛 선비들의 단아한 격식이 느껴지는 고택입니다.
이처럼 유유히 흐르는 강과 정겨운 자연 속에 고풍스러운 옛집이 즐비한 수도리는 고향을 찾는 편안한 마음으로 다녀오기에 좋은 곳입니다.
* 소장문화재 (도지정문화재)
1) 해우당(도 민속자료 제92호)
2) 만죽재(도 민속자료 제93호)
3) 수도리 김덕진가옥(도 민속자료 제117호)
4) 수도리 김뢰진가옥(도 민속자료 제118호)
5) 수도리 김위진가옥(문화재자료 제360호)
6) 수도리 김규진가옥(문화재자료 제361호)
7) 수도리 김정규가옥(문화재자료 제362호)
8) 수도리 박덕우가옥(문화재자료 제363호)
9) 수도리 박천립가옥(문화재자료 제364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수도리 전통마을(무섬마을) 기본 정보
영주 괴헌고택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주 괴헌고택 소개
영주 괴헌고택은 입향조의 8대손이 1779년에 외풍을 막아주고 낙엽 등이 모입니다 하여 잘 산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소쿠리형' 명형국지의 한 가운데 지은 집으로 옛 모습이 비교적 잘 남아 있습니다.
사당,사랑채,안채가 유교 사상에 입각한 위계질서에 따라 각기의 고유영역을 이루며 배치되고 구조양식도 이 위계에 따라 격조를 조금씩 달리하고 있으며, 쪽마루,수납공간,환기창,고창 등이 발달한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제작 년대 미상의 오래된 성주단지가 온전하게 보존·전승되고 있고, 큰 사랑방과 안방의 다락에 지혜롭게 위장해 둔 은밀한 비밀 피신처는 일제강점기 등의 시대상을 읽게 하는 흔치 않은 실례입니다.
(출처: 문화재청)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주 괴헌고택 기본 정보
지금까지 경북 영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예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5.24 |
---|---|
경북 영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5.23 |
경북 영양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5.19 |
경북 영덕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5.18 |
경북 안동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2)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