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진안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전북 진안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용담향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용담향교 소개
1391년(공양왕 3)에 현령 최자비(崔自俾)의 발의로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습니다.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습니다가 1664년(현종 5) 현령 홍석(洪錫)이 현재의 위치로 옮겨 중건하였습니다.
1950년에 1차중수를 하고 1974년에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내삼문(內三門)·교직사(校直舍)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경장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습니다.
이 향교의 대성전은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소장전적으로는 필사본과 목판본을 중심으로 53종 286책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용담향교 기본 정보
마이산도립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마이산도립공원 소개
진안읍내 어느 방면에서나 눈에 띄는 마이산은 이름이 철에 따라서 네 가지입니다.
봄에는 안개를 뚫고 나온 두 봉우리가 쌍돛배 같다하여 돛대봉, 여름에 수목이 울창해지면 용의 뿔처럼 보입니다고 용각봉, 가을에는 단풍 든 모습이 말의 귀 같다 해서 마이봉, 겨울에는 눈이 쌓이지 않아 먹물을 찍은 붓끝처럼 보여 문필봉입니다.
마이산 오르는 길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유명한 마이산 탑사가 있는 남쪽에서 오르는 코스이고 다른 하나는 북쪽에서 내려가는 코스입니다.
마이산에는 조선시대 태조가 임실군의 성수산에서 돌아가다가 백일기도를 드렸다는 은수사, 강한 비바람에도 쓰러지지 않습니다는 80여개의 돌탑을 거느린 탑사 등이 있습니다.
마이산은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의 경계에 넓게 펼쳐져 있는 말의 귀모양으로 생긴 두 봉우리를 말하는 것으로 섬진강과 금강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습니다.
동쪽에 솟아있는 숫마이봉은 667m이며, 서쪽에 솟아있는 암마이봉은 673m입니다.
마이산은 전체가 바위로 되어 있으나 관목과 침엽수, 활엽수 등이 군데군데 자라고 있으며, 화암굴, 탑군, 금당사 등이 있습니다.
특히, 두 봉우리 사이의 남쪽 계곡에는 돌로 쌓은 수십 기의 마이산 탑사가 있기도 하다.
마이산에는 놀이와 휴식에 적합한 관광 등산코스로도 유명하다.
또한 입구 3km 진입로에는 벚꽃나무가 터널을 이루고 있어 매년 벚꽃이 만개하는 4월 중순경에 남부주차장 입구에서 진안군 주관으로 벚꽃축제가 열리고 있습니다.
주요행사 내용은 군민노래자랑, 좌도농악공연, 벚꽃 축제한마당, 향토특산물 전시판매장 등이 개설되며, 군민 화합의 축제 한마당이 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마이산도립공원 기본 정보
운장산(진안)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운장산(진안) 소개
운장산은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정천면, 부귀면, 완주군 동상면에 걸쳐 있으며 남쪽과 북쪽으로 흐르는 물은 금강으로 유입되고, 서쪽 계곡으로 흐르는 물은 완주군 동상면을 지나 만경강으로 흘러 금강과 만경강의 발원지 구실도 하고 있습니다.
운장산은 해발 1,125.9m의 높이로 호남지방 노령산맥 중 제일 높은 산이며 북두칠성의 전설이 담겨 있는 칠성대를 지나 한참 더 올라가면 오성대가 있는데 조선조 중종 때의 서출 성리학자 송익필(1534~1599년)이 은거하였던 곳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주요 등산 코스로는 부귀면 궁항리나 황금리로 오르는 코스와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로 오르는 코스가 있고 주천면 중사, 외처사동 마을에서 시작하여 동봉으로 오르는 코스도 있습니다.
정상에서의 조망이 무척 뛰어나다.
북쪽으로 대둔산과 계룡산이, 동으로는 덕유산국립공원, 남쪽으로는 마이산과 그 뒤로 지리산 전경이 웅장하게 시야에 들어온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운장산(진안) 기본 정보
백운동계곡(진안)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백운동계곡(진안) 소개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장수로 넘어가는 팔공산(1,151m) 오계치 고개 바로 아래 '데미샘'이 바로 장장 500리의 긴 여정을 시작하는 섬진강 물줄기의 시작점입니다.
재미있게도 이 오계치와 팔공산은 동쪽 장수 땅에서 시작하여 서해로 흘러나가는 금강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한편, 오계치 북단의 선각산과 덕태산(1,113m)는 맑고 깨끗한 옥류를 흘러보내는 또 하나의 섬진강 발원지다.
백운면 백암리, 일명 `백운동" 계곡은 이름처럼 흰 구름이 자주 덮이는 아름다운 계곡입니다.
무더운 여름날에는 때로 인근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탁족을 즐긴다.
수량이 풍부하고, 여기저기 널려있는 널찍한 암반과 시원하게 쏟아져 내리는 폭포수 등 여러 '백운동'의 이름을 지닌 계곡 중에서도 백미라 손꼽힐 만큼 뛰어난 계곡미를 보여준다.
백운동계곡을 찾아가는 길은 백운면 소재지에서 동쪽 소로길로 접어 들어 줄곧 계곡을 옆에 끼고 오르면 됩니다.
군데군데 농가를 지나면서 길은 곧 비좁은 비포장 흙길로 바뀌고 어느덧 산길을 오르는 가 싶더니 작은 고개를 넘자마자 곧이어 시원한 물소리가 울려 퍼지는 심산유곡으로 들어서게 됩니다.
길이 크게 돌아 오르는 곳에 이르러 우측으로 눈을 돌리면 웅장한 너럭바위 아래로 시원스레 쏟아지는 폭포가 시야에 들어 온다.
이른바 '점진폭포'로서, 폭포 위로 오르면 너른 암반지대를 쓸고 내려가는 옥류동천 무릉도원의 풍광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백운동의 압권이라 할 수 있는 잠진폭포,그리고 점진바위를 뒤로 하고 계속 길을 따라 올라가면, 곳곳에 숨겨진 여러 비경들을 계속해서 만날 수 있습니다.
숲 사이로 들려오는 세찬 물소리와 숲 그늘 아래 미끄러지듯 흘러 내려가는 암반계류, 역시나 발을 씻기조차 미안할만큼 맑고 투명하다.
길도 잘 닦여있지 않고 편의시설이라고는 고작해야 두서너 군데 간이 화장실 정도가 마련되어 있을 뿐입니다.
한편, 백운동계곡을 끼고 오르는 비포장 산판길을 따라 덕태산이나 선각산으로의 트레킹도 계획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여러 갈래의 산판길로 인해 길찾기가 쉽지 않다.
백운동계곡(진안) 기본 정보
금당사(진안)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금당사(진안) 소개
마이산 남부 진입로에서 마이산을 오르다보면 매표소를 조금 지나서 왼쪽에 금당사가 있습니다.
금당사에서 1.4km를 올라가면 마이산 탑사가 나온다.
신라 현덕왕 6년 (814년) 혜감대사가 창건하였습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극락전에는 수천년이 넘은 은행나무를 깎아서 만든 금당사목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과 가로 5m, 세로 9m 크기의 괘불탱화(보물)가 있습니다.
이 괘불탱화는 단독의 관음보살입상이 그려져 있으며 표현양식으로 보아 17세기 후반의 뛰어난 솜씨를 자랑하는 걸작으로 통도사의 관음보살 괘불탱화나 무량사의 미륵보살 괘불탱화 등과 함께 걸작으로 손꼽힌다.
이 괘불을 걸고 기우제를 지내면 반드시 비가 온다는 얘기가 전해온다.
또한 이곳에는 백제시대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당사 3층석탑(지방문화재자료)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금당사(진안) 기본 정보
와룡암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와룡암 소개
와룡암은 본래 조선 효종 5년(1654)에 긍구당 김중정(肯構堂金重鼎/ 1602-1700)의 개인 서당으로 건립되어 그 후 250 여년 동안에 많은 문인 학사들을 배출한 학당이었습니다.
김중정은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조부 김충립과 함께 생장지인 서울을 떠나 1637년 36살 때에 주천에 들어와 은거하였고, 53세에 와룡암을 세워 후진의 교육에 힘썼는데 와룡암이 천변에 있는 까닭에 여러 차례의 수해로 많은 저서는 대부분 유실되었습니다고 합니다.
한편 그가 세운 원래의 와룡암은 내 건너편에 있었는데 물 때문에 내왕하기가 불편하였으므로 순조27년(1827)에 김상원이 현재의 위치로 옮겨 지었습니다고 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와룡암 기본 정보
영모정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모정 소개
백운면 평장리에서 평장야영장을 지나 약 1km 정도 오르면 원노촌마을과 하마치마을로 갈라지는 갈림길 옆에는 신의연의 효자각(孝子閣)이 있으며, 영모정은 효자각 앞 냇가변에 세워져 있습니다.
영모정은 효자 신의연의 효행을 기리고 본받기 위해서 고종 6년(1869년)에 세워졌으며, 중개수(重改修)의 내력은 자세히 알 수 없다.
정면 4칸의 팔작지붕을 이루고 있으며, 너와를 사용한 것이 특이하다.
누각 아래 사면의 각 기둥은 거북이 머리 모양의 원형 초석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에는 단순가공한 원형 초석을 이용하였습니다.
정면에 있는 4개의 기둥은 자연 지형을 이용한 까닭에 다른 것보다 1m 정도 더 내려와 있습니다.
누정 남쪽 내부의 중앙에는 그 이름인 영모정과는 달리 영벽루(影碧樓)라 쓰여진 현판과 가선대부 이조참판을 지낸 윤성진이 지은 상량문이 걸려 있으며, 진안군지(鎭安郡誌)에 영모정기(永慕亭記)가 게재되어 있습니다.
영모정에는 참새가 많은데, 참새도 효심을 아는지 영모정에는 똥을 싸는 일이 있어도 효자각에는 똥을 싸지 않는 것을 보고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더욱 경탄하고 있습니다 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모정 기본 정보
수선루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수선루 소개
수선루는 월운마을 앞으로 흐르는 섬진강을 따라 약 1km 남짓 거슬러 올라간 천변의 암굴에 위치하고 있으며, 숙종 12년(1686년)에 연안 송 씨 4형제 진유, 명유, 철유, 서유가 선대의 덕을 추모하고 도의를 연마하기 위하여 건립하였습니다.
이들 4형제는 우애가 두텁고 학문이 높았습니다고 하는데, 이들은 80세가 넘어서도 조석으로 이 정자를 오르내리며 바둑도 두고 시도 읊는 풍도가 옛날 4호(四晧)의 네 신선이 놀았습니다는 고사와 흡사하다, 하여 목사 최철옹이 수선루라는 이름을 붙였다 합니다.
고종 21년 (1884)에 후손 송석노가 중수하였고, 고종 25년(1888)에는 연재 송병선 등이 재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수선루 기본 정보
국립 운장산자연휴양림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국립 운장산자연휴양림 소개
진안군 정천면, 주천면, 부귀면과 완주군의 동상면에 걸쳐있는 해발 1.126m의 운장산은 호남 노령산맥의 여러 봉우리 중 으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동쪽령 해발 1,002m에 위치한 구봉산은 아홉 개의 기암명봉으로 형성되어 1일 등산 코스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어, 운장산 구봉산은 주말이면 등산객이 끊이질 않습니다.
북두칠성 별들의 전설이 담겨 있는 칠성대를 지나 조선조 성리학자 송익필(1534~1599)이 은거하였던 오성대가 있고 송익필 선생의 자가운장이였기에 이산의 명칭 또한 운장산으로 불러져 내려온다.
운장산자연휴양림은 갈거계곡에 위치하고 있고 약 7km에 달하는 운장산 계곡은 원시수림과 양산유곡의 옥류가 연중 흐르며 순환도로와 연접하여 "마당바위", "해기소" 등이 자연 수목과 조화를 이루어 멋진 풍광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국립 운장산자연휴양림 기본 정보
홈페이지 국립자연휴양림 http://www.huyang.go.kr
전화번호 063-432-1193
운영 시간 [숙박시설] 당일 15:00~익일 11:00
[일일개장] 09:00~18:00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화요일
백운관광농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백운관광농원 소개
비경의 마이산과 이어지는 백운동 계곡 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어 산장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자연경관과 농원을 가로질러 흐르는 계곡의 맑은 물이 푸른 숲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백운관광농원 기본 정보
주차시설 주차 가능
지금까지 전북 진안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고흥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8.16 |
---|---|
전남 강진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8.16 |
전북 정읍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8.15 |
전북 전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8.15 |
전북 장수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