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충북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충주 최응성 고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충주 최응성 고가 소개
※ 개인 사유지로 관람이 불가할 수 있음
최함월 고택(최응성의 생가)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조선시대 고가로 충북유형문화재 제8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조선 숙종 때 문장가인 최응성의 생가이며 원래 살미면 무릉리에 있었으나 충주댐 건설로 수몰 위기에 놓이게 되자 지금의 용천리로 이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건물 배치는 기억자형의 안채를 중심으로 전면에 일자형의 행랑채가 있고, 좌측으로는 함월이 서재로 사용하던 염선재가 있으며 우측으로는 기억자형의 창고가 사괴석 담장으로 일곽을 만들어 함께 배치되어 있습니다.
황토와 막돌로 쌓은 담벼락을 따라 안으로 들어서면 본채 건물을 만나게 됩니다.
고택 앞에는 작은 연못이 만들어져 있어 상류층 양반가의 전형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연못가에 위치한 조그만 정자 함월정과 가운데의 화단은 중후한 멋을 풍기는 고택과 잘 어울린다.
또 연꽃과 수련 등의 수생식물들이 있어 감상하는 재미가 있습니다.
건물 뒤쪽 사당은 울창한 숲에 있어 조용함과 엄숙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고 본채 건물은 자연석으로 만든 기단 위에 건물을 지어 안정감이 넘친다.
본채 앞의 마당에는 수십년을 사용해온 우물이 여태까지 물을 쏟아내고 있으며 작은 생활박물관에 온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많은 농기구들이 놓여 있습니다.
또한, 최함월 고택의 돌담을 따라 야산과 밭이 이어져 있어 정겨운 시골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고풍스러움을 뽐내고 있는 이곳은 고택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중요한 자료로 인정 받고 있는 고택으로 중부권의 고택 연구자료로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충주 최응성 고가 기본 정보
좌구산 자연휴양림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좌구산 자연휴양림 소개
증평 좌구산자연휴양림은 한남금북정맥 최고봉 좌구산(657m) 자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예부터 행복과 장수를 상징하는 거북이가 앉아있는 형상인 좌구산은 휴양을 목적으로 하는 휴양림과 매우 잘 어울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근접한 거리에 있는 삼기저수지는 안개 낀 날에 좌구산과 함께 운치를 더합니다.
휴양림을 중심으로 휴양촌, 삼기저수지, 산림욕장, MTB코스 등산로 등의 시설들이 연계되어 있어 문화체험, 심신단련, 휴양을 한 번에 체험할 수 있는 종합 휴양관광지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좌구산 자연휴양림 기본 정보
홈페이지 좌구산 휴양랜드https://jpjwagu.foresttrip.go.kr
운영 시간 [좌구산휴양림] 15:00~다음날 12:00
[좌구산 캠핑공원] 13:00~다음날 12:00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율리휴양촌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율리휴양촌 소개
증평군 증평읍 율리 일대의 청정자원을 활용한 웰빙타운으로 조성 중인 율리휴양촌은 2006년 8월 착공하여 총 23억 6,200만 원이 투입된 가운데 11,638㎡ 규모의 휴게공간과 945.9㎡ 규모의 체험관 3동이 건립되어 2007년 8월 개장한 휴양 시설입니다.
실내 활동 시설로는 370㎡ 규모(2층) 6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농·특산품 판매장 및 식당시설을 비롯해, 취사와 단체 숙박이 가능한 펜션형 숙박시설, 세미나와 레크리에이션 등 문화체험관으로 활용될 강당 시설 마련되어 있으며 야외활동 시설로는 야생화 단지 및 휴식공간, 운동장 등 다양한 부대시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율리휴양촌 기본 정보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생가마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생가마을 소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생가마을인 행치마을은 보덕산이 좌우에서 감싸 안고 있으며, 온화하고 정겨운 느낌을 주는 마을로 생가, 기념관, 평화랜드 및 선영과, 사당, 돌로 만든 세계도(족보), 기념시비, 연못 등이 있습니다.
초가삼간 흙벽 집이었는데, 1970년대 새마을 사업 시 슬레이트 지붕으로 개조되었고, 2002년 3월 경에 철거되었습니다.
생가는 예전의 사진자료를 바탕으로 2010년 복원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생가마을 기본 정보
주차시설 없음
감곡매괴성모순례지성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감곡매괴성모순례지성당 소개
감곡본당은 1896년 설립되어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곳입니다.
초대 본당 임가밀로 신부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으로 1893년 서품후 받은후 바로 입국하여 그다음해인1894년 첫 본당으로 유서 깊은 교우촌,신학당이 있었던 여주 부엉골에 부임하게 됩니다.
하지만 본당 사목지가 북쪽끝에 위치해 있을 뿐 아니라 산지부락 이어서 본당 이전을 생각 하던중 사목 방문차 여주를 지나 장호원에 이르러 산밑에 대궐같은 집을 보고 이곳이 본당 사목지로서 가장 적합 하다는 것을 직감하게 됩니다.
그즉시 임가밀로 신부는 "성모님 만일 저 대궐같은 집과 산을 저의 소유로 주신다면 저는 당신의 비천한 종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그 주보가 매괴 성모님이 되실 것입니다.
" 라고 기도 하였으며, 부엉골로 돌아가서 매괴 성모님께 끊임없이 청하였습니다.
당시 대궐같은 집은 명성황후의 육촌 오빠인 민응식의 집이었고1882년임오군란때 명성황후가 피신왔던 곳이기도 하다.
1896년 5월 성모성월에 그 모든 집터와 산을 매입,매괴성월인 10월7일 본당을 설립하기에 이른다.
결국 임가밀로 신부가 처음에 기도한대로 감곡본당을 성모님께 봉헌하여 이곳이 감곡매괴성모순례지성당이 된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감곡매괴성모순례지성당 기본 정보
음성김주태가옥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음성김주태가옥 소개
약 300년 전에 이익이 세운 집이라고 전하지만, 안채는 19세기 중엽에 건립된 것으로 보이며, 사랑채는 건물에 적힌 상량문에 따르면 1901년에 건축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외부로 개방된 바깥마당에 '一'자형의 사랑채가 있고 그 뒷편 담장을 경계로 'T'자형 구조의 안채가 있습니다.
안채는 특이한 구조로 인해 왼쪽의 안마당, 오른쪽의 뒷마당을 구분짓고 있습니다.
집안으로의 출입은 사랑채 왼쪽의 대문을 통한 후 다시 담장에 설치된 일각문으로 안마당에 출입합니다.
뒷마당은 부엌을 통해서 집안사람들만 드나들 수 있게 하였습니다.
사랑채는 왼쪽부터 대문간·사랑부엌·아랫방·윗방·대청·건넌방이 배열되었습니다.
부엌 앞의 부엌방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모두 앞면에 툇마루를 놓아 연결하였습니다.
높은 2단 축대 위에 서 있는데, 이는 지체 높은 사대부 집이나 축조연대가 떨어지는 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경우입니다.
사랑채와 담장을 경계로 하여 뒤쪽에 위치한 안채는 뒷채가 발달한 보기 드문 형태입니다.
일각문을 들어서면 정면으로 건넌방과 대청이 보이며 대청의 오른쪽으로 뒷방이 있습니다.
뒷방은 이 집의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오른쪽에 대청과 윗방·아랫방이 앞 툇마루로 연결되어 배치되었습니다.
안방과 부엌은 뒷방과 연결이 되는 중심부분에 길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부엌의 오른쪽으로 나 있는 문을 통해 드나드는 뒷마당에는 장독대와 기타 부엌 살림이 배치됩니다.
주부공간인 안공간이 발달되어 있는 건물로 경기지방 사대부 집에서만 가끔 볼 수 있는 형태입니다.
눈에 띠는 정원시설물은 없으나 공간의 짜임새가 인상적이며 아름답다.
특히 중문인 일각문을 통해 안마당에 이르고 부엌을 거쳐 뒷마당에 출입하는 공간구성은 이 집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음성김주태가옥 기본 정보
음성 읍내리 삼층석탑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음성 읍내리 삼층석탑 소개
음성읍 평곡리 탑정이라는 옛 절터에 있던 탑으로, 1934년 경호정(옛 연풍정) 앞으로 옮겨 세웠다.
형태는 1층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입니다.
기단의 네 모서리와 탑신부의 각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습니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두었고,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있습니다.
꼭대기에는 연꽃 봉우리 모양의 머리장식을 얹어 놓았습니다.
전체적으로 통일신라 전성기의 석탑 양식에 비교할 때, 기단이 2층에서 1층으로 줄어들고, 기단의 가운데기둥 조각이 생략되었으며, 지붕돌 받침은 3단의 줄어 들었습니다.
이처럼 각 부분의 양식이 약식화되고 있어 고려 중기에 이 탑을 세웠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음성 읍내리 삼층석탑 기본 정보
설성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설성공원 소개
설성공원은 음성읍시내 중심부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고 경관이 수려하며, 설성공원 내에는 연못과 경호정, 음성군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수영장, 게이트볼장, 여성회관, 야외음악당 등의 편의시설을 갖추고있어, 군민 휴식시설로 각광을 받고 있는 음성의 명소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설성공원 기본 정보
음성향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음성향교 소개
1555년(명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습니다.
1979년에 대성전과 내삼문(內三門) 등을 중수하였습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9칸의 대성전, 8칸의 동재(東齋), 4칸의 서재(西齋), 2칸의 명륜당 등이 있습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습니다.
소장전적은 판본 13종 34책, 사본 6종 7책이 있습니다.
현재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음성향교 기본 정보
증평 남하리 석조보살입상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증평 남하리 석조보살입상 소개
증평읍 남하리 마을 논밭 사이에 북쪽을 향하여 서 있는 불상으로, 작은 2구의 불상과 함께 주변에 흩어져 있던 것을 1949년 마을 뒷산에 성주사를 세운 윤월인 스님이 이 불상들을 모아 다시 세웠다가 한국전쟁 후 마을의 수호 부처로서 주민들이 보호하고 있습니다.
발 아랫부분이 땅에 묻혀 있는 이 불상은 머리에 높은 보관을 쓰고 왼손을 가슴 부분에 들어 연꽃 송이를 받치고 있는 보살상입니다.
보관을 써서 머리 부분이 상당히 큰 편이고, 어깨가 좁으며 몸의 양감은 편평하여 전체적으로 길쭉한 사각형의 형태를 보입니다.
미소 짓는 얼굴의 표정이 잘 조각되어 온화한 인상을 풍기고 있습니다.
입고 있는 옷은 가슴 부분이 넓게 벌어지게 표현되었고 아랫부분에서는 두 다리에 둥근 옷 주름이 늘어져 있습니다.
이 불상은 전체 높이가 350㎝의 거대한 크기로 고려 시대 중기 이후 지방에서 유행하는 보살상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증평 남하리 석조보살입상 기본 정보
지금까지 충북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9.16 |
---|---|
충남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9.16 |
강원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9.15 |
경기도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2) | 2023.09.15 |
세종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