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동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부산 동구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부산 차이나타운특구(상해문.상해거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 차이나타운특구(상해문.상해거리) 소개
부산 속 작은 중국, 상해거리의 매력은 다양하다.
부산이 간직하고 있는 근대 분위기, 홍등에서 뿜어져 나오는 이국적 분위기, 맛집에서 흘러나오는 중국 음악까지, 부산에 왔더니 그 속에 중국이 있습니다.
부산에서 잠시 중국 여행을 해보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잊지 말고 들러야 할 장소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 차이나타운특구(상해문.상해거리) 기본 정보
남도해양관광열차 S-트레인(S-train)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도해양관광열차 S-트레인(S-train) 소개
영남과 호남을 연결하는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의 ‘S’는 영문 ‘Sea(바다)’의 이니셜과 곡선 모양의 경전선, 리아스식 해안인 남해안 모양을 형상화했습니다.
남도해양권을 즐길 수 있는 해양관광열차로 열차의 외관은 한반도 남해안을 지키던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을 본따 만들었습니다.
5량의 객차로 1호차는 힐링실, 2호차는 가족실, 그리고 카페실과 커플실로 채워진 3호차와 다례를 체험할 수 있는 4호차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레포츠실과 이벤트실을 겸한 5호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도해양관광열차 S-트레인(S-train)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korail.com
부산진성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진성공원 소개
* 부산진성에 위치한 부산진성공원 *
부산 동구 범일동에는 지방기념물인 부산진성이 있습니다.
흔히 자성대로 부르는 부산진성은 임진왜란 때 왜적이 부산성을 헐고 성의 동남부에 일본식의 성을 쌓아 지휘소로 이용한 곳입니다.
왜적이 물러간 뒤에는 명나라의 만세덕군이 진주한 일이 있어 만공대라고도 했었습니다.
임진왜란 뒤에 다시 수축되어 좌도수군첨절제사의 진영으로 활용되었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동서의 산을 따라 성벽으로 성곽을 두르고 바닷물을 끌여들여 참호를 20m쯤의 넓이로 만들어 배가 바로 성벽에 닿도록 되어 있었습니다고 합니다.
이 성의 현재 모습은 1974년 7월 8일부터 1975년 2월 25일까지 부산시에서 정화 복원공사를 하여 동문, 서문, 장대를 신축하여 동문을 진동문, 서문을 금루관, 자성대 위의 장대를 진남대라 각각 명명하여 그 편액을 달았습니다.
이 당시 정화공사로 신축된 건춘문, 금루관, 진남대와 함께 임진왜란 때 왜적이 쌓은 2단의 일본식 성벽이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 1975년 9월 동문주변 성곽을 신축하였으며 지금 서문의 금루관은 높다란 다락이 되어 우뚝 서 있고 문의 왼쪽에는 남요인후라 새긴 돌기둥이 서 있으며, 문의 오른쪽에는 서문쇄약이라 새긴 돌기둥이 서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진성공원 기본 정보
금수사(부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금수사(부산) 소개
* 원효스님의 무애사상을 만날 수 있는 사찰, 금수사 *
금수사는 한국불교원효종의 총본산으로도 유명하다.
2003년 입적한 원효종 종정 법홍스님이 주석한 이곳에는 원효대사의 유지와 종풍을 받들고자 하는 수많은 사부대중의 귀의처로서 자리매김하였으니 산중이 아닌 일반 백성들속에 중생들을 깨우쳐 주고자 했던 원효대사의 화쟁 무애사상이 빛나는 대표적 사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불교가 낳은 불멸의 성사 원효대사의 유지를 받들고, 호국일념으로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사명대사의 족적이 남아 있는 곳, 구계산 금수사는 이러한 역사적 터전위에 지금 불법홍포의 기치를 높이 들고 있습니다.
* 금수사의 걸어온 길 *
두 번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은 뒤 조선의 선조대왕은 1604년, 갑진년(선조 37년) 6월 강화교섭을 위해 사명대사에게 일본에 강화사(講和使)로 가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이를 위해 부산 구계산 자락에서 머무르던 사명대사가 물맛과 경치에 감탄해 마지않은 곳이 있으니 바로 원효종 총본산 금수사 터였다.
이후 대사를 따르던 한 제자가 이곳에 초암을 짓고 ‘금수암’이라 칭하니 오늘날 금수사가 태동한 배경에는 이와같은 역사적 사실들이 바탕되어 있습니다.
금수사는 창건배경부터 국운과 관련된 호국사찰로 그 역할을 다해 왔다.
사명대사가 이곳에 머물다 일본으로 건너간 때에도 전란으로 잡혀간 3천5백여명의 우리 동포들을 데리고 귀국했으며, 한국전쟁 당시에는 경내에 피난민 수용소를 건립, 민족의 아픔을 함께 나눈 곳입니다.
* 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의 위패가 있는 곳 *
금수사 경내에 호국영각을 짓고 기미년 독립선언의 민족대표 33인과 안중근, 김좌진, 안창호, 윤봉길 등 애국독립지사 22인의 위패를 모셔 매년 추모법회를 봉행하고 있으니 호국도량으로서의 그 위상이 분명하다 할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금수사(부산) 기본 정보
보광사(부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보광사(부산) 소개
보광사는 최근에 지어진 사찰로서 깨끗한 경내시설과 도시에서 산을 접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한 곳으로서 방문객들의 편의를 위하여 각종 편의시설을 건립하는 등 방문객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보광사(부산) 기본 정보
주차시설 10대
유치환 우체통 전망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유치환 우체통 전망대 소개
부산 동구 초량동 산복도로에 있는 전망대로 청마 유치환 시인의 예술과 문학정신을 기리고자 이곳에 우체통을 설치하였습니다.
경남여고 교장을 2차례 지내고 동구에서 생을 마감한 청마 유치환을 기리며 부산항을 한눈에 전망할 수 있는 명소입니다.
전망대는 1층과 2층, 옥상으로 나뉜다.
1층은 계단식 야외공연장, 사방이 통유리로 설계된 2층은 89.54㎡ 규모로 미술전시용으로 사용됩니다.
* 개관일 : 2013년 05월 15일
* 규모 : 부지면적 180㎡ / 건축연면적 132.77㎡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유치환 우체통 전망대 기본 정보
김민부전망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김민부전망대 소개
‘기다리는 마음’으로 유명한 김민부 시인을 기리고자 부산항이 잘 보이는 168계단 옆에 만들어진 전망대입니다.
김민부는 고등학교 1학년 때 등단을 한 천재시인으로 우리에게 ‘자갈치 아지매’라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피디로 더욱 잘 알려져 있습니다.
전망대에 올라서서 바다를 바라보면 절로 누군가를 기다리는 이들의 마음을 느낄 수 있는 장소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김민부전망대 기본 정보
홈페이지 부산동구 문화관광 http://tour.bsdonggu.go.kr
비짓부산 http://www.visitbusan.net/kr/index.do
쉬는 날 연중무휴
168계단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168계단 소개
산복도로에서 부산항까지 가장 빨리 내려갈 수 있는 지름길입니다.
산복도로의 대표적인 특징중 하나인 세로로 난 지상6층 높이의 아찔한 계단입니다.
계단의 수가 168개이며 계단 아래에 원래 3개의 우물이 있었습니다고 합니다.
현재는 식수로 쓰던 1개의 우물만 남아있으며 물이 부족하던 시절 물을 받기 위해 길게 줄을 서있는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물지게, 물항아리 등 남녀노소 누구나 만나는 만남의 장이었으며 소문이 퍼지는 근원지였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168계단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tour.bsdonggu.go.kr
옛백제병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옛백제병원 소개
부산에 남아있는 근대건축물 중에서 지금까지 계속해서 용도변경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며 보존되어있는 곳입니다.
1922년 명지 출신의 최용해씨가 지은 최초의 근대식 개인종합병원으로 당시 1,2층 건물이 대부분이었던 시절, 5층 벽돌건물에 서양의료진을 두며 성업했으나 악성 루머와 경영난을 겪게 되자 최용해가 일본으로 야반도주하면서 관리권이 중국인에게 넘어가게 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옛백제병원 기본 정보
남선창고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남선창고터 소개
1900년 함경도에서 배로 물건을 싣고 와서 보관하던 최초의 물류창고로, 초기에는 북선창고라 불리었으며 경부선을 통해 서울까지 물류를 운반하기 전에 보관하는 곳이었습니다.
이후 경원선이 생기며 윗지방에 북선창고가 만들어지자 이후에 이름을 남선창고로 변경하였습니다.
주로 명태를 많이 보관했습니다하여 일명 명태고방으로도 불린다.
냉동고가 없던 시절에 바닥에 수로를 만들어 물기를 제거하고 서늘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바로 옆 옛백제병원과는 달리 2009년에 철거되어 지금은 붉은 벽돌로 쌓은 담장만 남아있습니다.
남선창고터 기본 정보
지금까지 부산 동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부산진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9 |
---|---|
부산 동래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9 |
부산 남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8 |
부산 기장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8 |
부산 금정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