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남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부산 남구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오륙도 등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 등대 소개
* 선박들의 길잡이, 오륙도 등대
오륙도의 명명을 살펴보면 육지에서 가장 가까운 방패섬은 세찬 비바람을 방패처럼 막아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솔섬은 소나무가 자생하고 있는데서 비롯된 이름이며, 송곳섬은 송곳처럼 뾰족하게 생겨서 그같은 이름이 붙여졌고 수리섬은 예전에 독수리가 갈매기를 포획하기 위해 모여들었습니다고해 붙여진 이름입니다.
또한 굴섬은 가장 큰 섬으로 큰 굴이 있어 천장에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물이 한 사람 몫의 음료수가 될만하다고 합니다.
육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등대섬은 위가 평평해 밭섬이라 불리다가 등대가 세워진 뒤부터 등대섬으로 불려졌다고 합니다.
부산항 앞 바다에 가지런히 배열된 다섯 개의 바위섬! 부산항을 지키는 수호신인 오륙도입니다.
오륙도는 부산만 북안 승두말로부터 남동방향으로 뻗어있는 기암절벽의 바위섬들을 말합니다.
1972년 6월 26일 부산시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 명승으로 승격된 이곳은 부산의 대표적인 명물이기도 하다.
오륙도는 밀물과 썰물에 따라 5개 또는 6개 섬으로 보여 오륙도라는 이름이 유래됐습니다.
오륙도 밭섬에 등대가 개설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70년 전인 1937년 11월입니다.
1876년 부산항이 개항되고 나서 부산의 관문인 오륙도 앞으로 배들이 드나들기 시작하자 항구를 오가는 선박들의 길잡이가 필요해 등대가 세워졌다.
이 등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국제 항구인 부산항을 드나드는 각종 선박이 반드시 지나야 하기 때문에 오륙도와 더불어 부산항의 상징으로 통합니다.
* 오륙도 등대의 건립에 관하여
오륙도 등대는 당초 6.2m 높이로 건립됐습니다.
그러나 등대가 너무 낡아 보수가 필요해 현상설계 공모를 통해 1998년 12월 웅장한 모습으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등탑 높이를 27.5m로 높이고 등대 내부에는 우리나라 주요 등대를 살펴볼 수 있는 사진 전시실을 갖췄으며 부산항을 한눈에 굽어볼 수 있는 전망대가 설치돼있습니다.
여기에 올라서면 활기찬 부산항의 모습과 아름다운 야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 최초점등일 - 1937년 11월
* 구조 - 백원형 콘크리트(27m)
* 등질 - 섬백광 10초 1섬광(FlW10s)
* 특징 - 우리나라 최대 항만인 부산항의 상징적인 섬으로 등대역사 전시실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 등대 기본 정보
쉬는 날 연중무휴
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소개
* 한국전쟁에 참여한 유엔군의 안식처, 재한유엔기념공원 *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지로서, 세계평화와 자유의 대의를 위해 생명을 바친 유엔군 전몰 장병들이 잠들어 있습니다.
이곳 묘지는 한국전쟁이 일어난 이듬해인 1951 년 1월, 전사자 매장을 위하여 유엔군 사령부가 조성하였으며, 같은 해 4 월 묘지가 완공됨에 따라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지에 가매장되어 있던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유해가 안장되기 시작하였습니다.
1955 년 11 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 하기 위해 이곳 토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아울러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하였으며, 1955 년 12 월 15 일, 한국정부로부터 국회의 결의사항을 전달받은 유엔은 이 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유엔총회에서 결의문 제 977(X) 호를 채택하였습니다.
한국전 당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 군대를 파견한 16개국과 의료 지원단을 보낸 5개국의 용사들 중, 전사한 유엔군 전사장병의 영혼이 잠들어있는 성역으로, 이 곳 기념묘지에는 최초 11,000 여명의 전사자가 안장되어 있었으나, 그 후 유가족이나 본국 정부의 요청으로 이장되어, 현재 2,300 기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습니다.
기념묘지의 면적은 14.39㏊(약 45,000평)이며, 한국정부가 1978년에 건립한 12m 높이의 유엔군 위령탑에는 한국전에 파견된 전투장비, 인원 규모, 전사자 현황이 동판에 한글 및 영문으로 새겨져 있으며, 영국 정부가 주체가 되어 건립한 영연방 위령탑에는 영연방 국가의 전사자 중 시신을 찾지 못한 그들의 고귀한 희생을 기리고 있습니다.
그외 터어키(2), 그리스(1), 호주(1)의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 유엔기념공원으로 살펴보는 한국전쟁 참전국 *
유엔기념공원에는 한국전쟁 당시 참전했던 나라를 알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참전국으로는 전투지원국 16개국과 위요지원국 5개국 등 총 21개국입니다.
1) 전투 지원국(16개국) - 미국, 영국, 터키, 캐나다, 호주, 프랑스, 네덜란드, 뉴질랜드, 남아공, 콜롬비아, 그리스, 태국, 에티오피아, 필리핀, 벨기에, 룩셈부르크
2) 의료 지원국( 5개국) - 노르웨이, 덴마크, 인도, 이탈리아, 스웨덴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재한유엔기념공원 (UN기념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unmck.or.kr
운영 시간 하절기(5~9월) 09:00~18:00
동절기(10~4월) 09:00~17:00
※ 30분전까지 입장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부산동명불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동명불원 소개
용당동 용비산(龍飛山)에 자리 잡고 있는 동명불원(東明佛院)은 동명목재 회장 고 강석진씨가 국가번영과 부모의 왕생극락을 빌고 동명의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1만여명의 동명 가족들의 행운을 위해 건립했습니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찰이 한국 전통 양식인데, 이 절은 동남아시아의 영향을 받아 용마루가 곧게 뻗어 있고 미얀마의 고탑에서 발굴된 부처의 사리를 모셔 놓았습니다.
이곳에 안치된 목조개금불상은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것입니다.
범종 또한 한국 최대 규모로 27t이나 되는데 에밀레종보다 6t 정도 더 무겁다고 합니다.
동명불종은 종두(鐘頭)에 사룡이 새겨져 있는데 종래 볼 수 없었던 독특한 기법입니다.
대웅전 내부에는 석가세존을 중심으로 좌편에 미륵보살, 우편에 제화 갈라보살 등 3본을 모셨고, 좌불은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16m이며 법당의 크기도 498.84m²(150.9평)이나 됩니다.
법당의 가운데에는 기둥없는 특수 공법을 사용했고 내부 천장의 중앙에 4마리의 용머리를 조화시켰으며 양쪽 벽에는 비천상을 새겼다.
극락전 나한전 관음전이 갖추어져 있었고, 칠성각 산신각 독성각은 2층으로 설계하고 2층에는 불교서적을 진열했습니다.
사천왕문의 설계는 입상으로 하였고 효자 효부를 기리기 위해 만든 덕성탑 남자의 덕망과 여자의 덕성을 상징하며 모든 선남선녀는 불법에 귀의하여 덕망과 부덕을 잘 닦아야 합니다는 뜻을 담은 부덕탑이 있습니다.
산신각의 산신은 불원이 자리잡은 산령님을 정중히 모셨다.
동명불원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대관문이 있고 주변에는 인공으로 된 바위만한 정원석을 쌓아 사찰의 위용을 돋보이게 했습니다.
트럭 1대에 정원석 1개를 싣고 올 정도로 큰 돌들 뿐입니다.
동명불원에는 법구사물 중 하나이며 세계최대의 법종인 동명불종이 있는데 무게가 27톤으로 경주 에밀레종보다 6톤이나 무겁다.
종의 사방면의 모양은 연화좌 위에 무릎을 세우고 공양하는 공양상과 비천상 주위에 보상화를 구름과 같이 피어오르게 한 것으로 되어 있고 천상으로 천의와 영락등이 휘날리고 있는 에밀레종(국보)의 비천상과 구름 위에 서서 서로 마주보며 무릎을 세우고 하늘을 날며 공후와 생을 주악하는 강원도 상원사종(국보) 비천상의 두 모습을 참고하였습니다.
문양에 있어서도 장식문형과 비천상, 여래상, 보살상, 동자상 등 상징적인 조상이 있으나 이 불종은 비천상의 문양을 택하였습니다.
무거운 거종을 메어 단 들보에는 관세음보살 육자 대명왕 진언 옴마니반 메홈의 범자가 씌어 있습니다.
박달나무의 종채는 네 가닥의 쇠사슬로 매어져 있고, 좌우 양편에서 두 사람이 치도록 되어있습니다.
종의 북쪽면은 동명불종이라는 이름을 새겼고, 남쪽면은 서기 1976년 4월 8일 단기 4309년 4월 8일로 조성시기를 밝혀 놓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부산동명불원 기본 정보
오륙도 (부산 국가지질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 (부산 국가지질공원) 소개
오륙도는 끝없이 펼쳐진 바다에 눈과 가슴까지 모두 시원해진다.
올망졸망 모인 6개의 섬이 조수 간만의 차이에 따라 5개로 보입니다고해서 오륙도로 이름이 붙여졌다.
각 섬마다 가파른 해안절벽과 파도의 침식에 의한 파식대, 각양각색의 해식동굴 등의 지형과 오랜 세월동안 사람의 간섭없이 자라난 동식물들, 그리고 짙푸른 바다가 한데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고 있습니다.
오륙도는 이기대 지질명소와 같은 화산암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12만년 전까지는 육지와 연결된 작은 반도였던 것이 오랜 세월 동안 거센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육지에서 분리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출처 : 부산국가지질공원>
오륙도에서 이기대공원까지 이어지는 해안지질탐방로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오륙도스카이워크"에서부터 "동생말전망대"까지 총 4.7km구간의 해안산책로이면서 오륙도, 오륙도해맞이공원, 오륙도스카이워크, 동생말 전망대가 있는 우수한 국가지질공원인 이기대공원의 트래킹 코스입니다.
동생말 전망대에서는 부산의 랜드마크인 광안대교와 해운대 고층빌딩의 화려한 야경을 볼 수 있어 부산의 숨은 야경명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 (부산 국가지질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부산국가지질공원 http://www.busan.go.kr/geopark/index
남구 문화관광-오륙도 사이트 https://www.bsnamgu.go.kr/index.namgu?menuCd=DOM_000000601006001000&cpath=
황령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황령산 소개
황령산(荒嶺山)은 부산의 도심을 감싸며 시원하게 뻗어 내린 산맥이 초록의 울창한 숲을 선물처럼 내어준다.
숲길 걷기 좋아하는 등산객들에겐 숲과 바람과 하늘을 내어주고, 야경을 즐기는 관광객들에겐 황홀한 빛의 세계를 선사해 주는 곳입니다.
또한 부산의 전형적인 도심의 산으로 부산진구, 남구, 수영구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해발 427m로 금련산맥 중에서 두번째로 높은 산입니다.
산역이 그리 넓지않아 2~3시간 정도면 오를 수 있습니다.
인근주민들 조기등산지로, 아베크족의 데이트코스로 각광을 받아왔던 동편은 남구에 접하고 서편은 부산진구에 접하고 있습니다.
북서쪽 산기슭에는 양정동, 중앙에 전포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산기슭에 부산시민의 휴식처, 청소년의 수련장이 개장되어 있습니다.
황령산과 금련산은 망미 연산 양정 전포 대연동 등에서 오를 수 있습니다.
코스 선택은 교통편을 고려해 편리한 곳으로 결정하면 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황령산 기본 정보
홈페이지 비짓부산 https://www.visitbusan.net/kr/index.do?menuCd=DOM_000000201001001000&uc_seq=371&lang_cd=ko
운영 시간 10:00~23:00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명절 당일
황령산 전망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황령산 전망대 소개
황령산 전망대가 위치한 황령산은 부산의 4개 구(부산진구, 연제구, 수영구, 남구)에 걸쳐져 있는 만큼 부산의 중심부에 있는 산으로 봄이면 양쪽으로 벚꽃이 흐드러진 길이 드라이브 코스로 인기가 많다.
또한 황령산 전망대까지 이어져 야간관광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추었습니다.
형형색색으로 빛나는 송신탑과 전망대를 밝히고 있는 아늑한 불빛이 산 아래로 펼쳐진 도시를 더욱더 아름답게 만든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황령산 전망대 기본 정보
오륙도해맞이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해맞이공원 소개
오륙도 해맞이공원은 부산시 남구 용호동 일대에 있습니다.
오륙도 맞은편 언덕 위에 있으며, 오륙도를 가장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곳에서 오른쪽 북쪽 해안을 동해라 부르고 왼쪽은 남해라 부르며, 동해로 가는 770㎞ 해파랑길과 1천 463㎞ 남파랑길이 만나는 곳이기도 하다.
탁 트인 바다, 수선화, 유채꽃이 관광객을 반기고 바다와 오륙도를 조망하기 좋은 스카이워크가 설치된 공원입니다.
스카이워크는 오륙도를 바라보는 전망대로 해맞이공원의 상징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35m의 해안 절벽에 철제빔을 세워 그 위에 24개의 유리판을 U자 형태로 돌려 넣은 15m의 돌출 유리 다리입니다.
스카이워크 절벽 아래 해안선에는 동해와 남해 분기점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예로부터 동해와 남해가 서로 만나는 상징적인 곳으로 잘록하게 튀어나왔다고 하여 ‘잘룩개’, 또는 말안장처럼 생겼다고 해서 ‘승두말’로 불린다.
이곳에서 오륙도를 가까이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륙도해맞이공원 기본 정보
운영 시간 제한없음
주차시설 있음(무료)
쉬는 날 연중무휴
우암동 도시 숲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우암동 도시 숲 소개
우암동 도시숲에서 내려다보는 전경은 동항성당을 배경으로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예수상 처럼 보이는 게 아주 이국적입니다.
또한 도시숲에서 보는 야경은 영도 바다와 북항대교가 한 눈에 보이며, 보름달 설치물을 배경으로 야경사진을 찍으면 아름다운 실루엣 사진을 찍을 수 있고 달과 함께 찍힌 부산이 아주 매력적인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우암동 도시 숲 기본 정보
홈페이지 부산 남구 문화관광 https://www.bsnamgu.go.kr/index.namgu?menuCd=DOM_000000116000000000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cooolbusan/221977969785
운영 시간 00:00~24:00
쉬는 날 연중개방
대연수목전시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연수목전시원 소개
대연수목전시원은 부산 남구 대연동에 자리한 유엔기념공원을 50m 폭으로 감싸 안으며 자리한 녹지공간입니다.
뒤편으로 평화공원과도 연결됩니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등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지들과 접근성이 뛰어나다.
원래 양묘장으로 설립하여 운영하던 것을 지난 2002년 가족 단위의 자연체험이 가능하도록 새롭게 단장하여 대연수목전시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시민들에게 개방했습니다.
아열대식물체험관과 유리온실을 비롯해 허브원, 침엽수림원, 오륙도원, 수벽원, 낙엽교목원, 상록활엽수원, 죽림원, 무궁화품종원, 유실수원 등 식물의 생태별로 약 600종의 수목이 구획을 지어 전시돼 있습니다.
이들 사이로 산책로가 다듬어져 있어 여유롭게 걸으며 식물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연수목전시원 기본 정보
운영 시간 24시간
주차시설 주차가능
캐니언파크 부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캐니언파크 부산 소개
캐니언파크는 국내 최대 애니멀 테마크로서 실내 동물원은 물론 실내낚시터, 실내카약장, AR뮤지엄, 미디어아트존, 트램플린, 정글짐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는 실내 테마파크입니다.
사계절 날씨와 상관없이 연인, 가족, 어른, 아이 누구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신비한 동물 친구들이 모여있는 캐니언파크는 50여 종 200여 마리의 다양한 동물과 교감하고 만져보면서 먹이 주기 체험까지 할 수 있어 인기 만점입니다.
입장권을 구매하면 평일은 시간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고 토, 일, 공휴일의 경우 3시간 제한이 있으며 초과 시 추가금이 발생합니다.
또한 외부 음식과 반려동물 및 유모차는 반입금지이며 유모차는 입구 옆 지정보관소에서 보관할 수 있고 지하주차장 이용 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면 빠른 이동이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캐니언파크 부산 기본 정보
운영 시간 평일 11:30 - 19:00 /주말 및 공휴일 11:30 - 20:00
주차시설 있음(지하주차장)
쉬는 날 화요일
지금까지 부산 남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동래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9 |
---|---|
부산 동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8 |
부산 기장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8 |
부산 금정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7 |
부산 강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4)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