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강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부산 강서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가덕도 등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가덕도 등대 소개
* 고대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가덕도 등대 *
옛 등대 시설은 사무실과 숙소, 등탑이 연결된 복합건물 형태로써 중앙에 높이 9.2m의 등탑이 세워져 있으며, 붉은 벽돌과 미송을 사용했고 출입구 천정에는 그 당시 황실의 상징인 오얏꽃 모양의 문장이 새겨져 있으며, 함석으로 된 지붕은 부식방지를 위해 함석 위에 피치타르가 덮혀져 있습니다.
가덕도는 한반도의 동남단에 자리잡아 동으로는 사하구 다대포, 서남북은 거제도 동북바다, 북으로는 유라시아와 환태평양의 관문이면서 동북아 허브항만으로 건설한 부산항신항(2006.1.19)과 접하며 진해시 용원동과 접하며 진해시 용원과의 거리는 4㎞, 인근의 거제도와의 거리는 10㎞ 정도입니다.
* 가덕도는 해상교류의 요츙지 *
가덕도가 해상교류 및 군사적으로 중요시 된 것은 조선 중종 39년(1544년) 가덕진과 천성진을 설치하여 임진왜란 때는 치열한 격전장이기도 했던 곳이었으며, 현재 진해만으로 들어가는 중요 요충지로서 가덕도등대는 대한제국의 말기인 1909년 12월에 건립되었으며 옛 가덕도 등대건물은 서구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건축물의 하나로 2003년 9월 부산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또한 해양수산부에서도 영구보존 시설로 지정해 원형을 보존하고 있습니다.
2002년 새로 지어진 지금의 등대는 팔각으로 된 돌출형이며 등탑높이는 40.5m로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높은 등대입니다.
* 최초점등일 - 1909년 12월
* 구조 - 백팔각 콘크리트(40m)
* 등질 - 섬백광 12초 1섬광(FlW12s)
* 특징 - 낙동강 하구언에 위치하며 조선시대부터 봉화를 올려 뱃길을 안내하였던 연대봉 등 고대역사를 간직한 섬으로 등대체험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가덕도 등대 기본 정보
대항 어촌체험 휴양마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항 어촌체험 휴양마을 소개
* 부산에서 가장 큰 섬 가덕도(加德島) 남쪽 끝자락에 위치해 있는 대항마을 *
가덕도 내에는 관측산· 국수봉·남산(190m) 등의 아름다운 산이 많이 존재합니다.
관측산은 해발고도 76m로, 일제강점기에 해군의 관측소가 있었고, 국수봉은 해발고도 268m로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덕도내 유적으로 대항조개무지·외양포조개무지, 문화재로 애구바구섬에 있는 가덕도 자생동백군(부산기념물 36)이 있습니다.
대항조개무지의 규모는 약 200평으로, 신석기 시대의 민무늬토기 조각이 출토되었습니다.
외양포조개무지는 2곳으로 규모는 각각 150평과 50평 정도입니다.
민속으로는 가덕도 대항마을의 숭어들이가 있으며, 대항마을에서는 통발체험을 할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항마을에 가기 위해서는 선착장까지 갈 경우 남해 제2지선고속도로 상 가락나들목에서 나와 58번 국지도를 따라 남하하다가 송정동에서 2번 국도를 서진, 중소기업지원센터서 가덕 녹산선착장쪽으로 좌회전해 진입하면 됩니다.
* 부산에서 가장 큰 섬 가덕도 *
가덕도는 보개산이 바다 가운데 침몰되었습니다가 다시 솟아서 이루어 졌다는 전설이 있는 부산 최대의 섬입니다.
최고봉인 연대산(459.4m)을 위시하여 수많은 산들이 펼쳐져 있으며, 해안선을 따라 동북쪽으로 눌차·동선사이를 이어주는 주변 백사장에서부터 기도원앞 바닷가의 경관, 동남쪽으로 대항 새바지의 넓은 자갈밭과 용두암을 시작으로 펼쳐지는 동백숲과 아동섬일대와 동두말, 가덕도 등대 주위의 깎아지른 듯한 기암괴석, 서남쪽으로 돌아 외양포 해수욕장, 두문의 길게 뻗은 솔섬, 천수말 코바위 등 가덕도는 해금강 절경을 방불케 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항 어촌체험 휴양마을 기본 정보
청량사(부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청량사(부산) 소개
낙동강 7백리 끄트머리 명지동(鳴旨洞). 바로 이곳에 황금 닭이 알을 품는 듯 평안히 둥지를 이루고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청량사가 있습니다.
풍수리지학적으로 명당중의 명당으로 손꼽히는 이 땅은 실은 1백50여 년 전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할머니’를 모신 사당으로부터 연유됩니다.
수많은 전통사찰들이 천년고찰 또는 옛 폐사지를 근간으로 사력을 이어 가는데 반해 김해 명지동의 청량사는 마을 사당에서부터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겠다.
우리 조상들은 오랜 옛날부터 마을의 조상신이나 수호신에게 마을사람들의 무병과 평온무사를 비는 제사를 올려왔다.
대체로 마을 입구에 있는 제단이나 길지를 골랐으며 우리민족의 신앙정신이 깃든 당산나무가 우뚝 서 있기도 하다.
바로 이 명지동 사취등 마을의 당산나무로 추정되는 250년 수령의 포구나무(팽나무) 여러그루가 소나무 숲과 함께 사찰 경내를 지키고 있고 이 나무
옆에 있는 당산각에서 해마다 12월 초하루부터 3일간 명지마을 사람들이 모여 성대한 당산제를 올리며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청량사가 위치한 명지동 사취등 마을은 이전에는 지도상에도 없던 마을입니다.
지금의 청량사터 약 3백여평만이 바다속에 떠 있는 작은 섬이었던 이곳이 1864, 1865년 즉 갑자 을축(甲子 乙丑) 양년에 일어난 대홍수와 엄청난 산사태로 인해 일대 대변혁을 가져왔는데 다름아닌 대동, 대저, 명지라는 새 땅의 탄생입니다.
바다였던 땅이 육지가 되고 현재의 김해평야를 이루었으나 청량사 부근 사취등(사취등)마을은 명지동에서도 가장 높은 자리였고 그대로 낙동강의 모래가 홍수에 의해 쌓여져 모래톱으로 생긴 마을이라 물도 귀하고, 범람도 잦아 마을주민들의 민심은 자연 신앙적 기원으로 이어지게 된 것입니다.
언제부턴가 이 사취등 마을에는 자연재해나 천재지변이 있을 때마다 어딘가에서 변(變)을 예고하는 북소리와 목탁소리가 울려 퍼졌다고 합니다.
이 소리가 훗날 마을사람들의 불심을 자극, 1917년 부처님을 모시게 됐습니다고 하니 청량사의 창건은 사취등 사람들의 지극한 서원과 자연적 특성이 한데 어우러진 신앙적 결집임이 틀림없다.
300여 평의 작은 섬, 외로운 포구나무 몇 그루가 1백년 후 생성된 작은 마을의 당산나무 사당이 되고, 1917년 장유암 교당이란 이름으로 창건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기까지 청량사는 숱한 세월을 자연의 힘과 맞서온 사취등 마을 사람들의 원찰로 그 역할을 다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국에서 불자의 비율이 가장 높다는 부산 강서구의 유일한 전통사찰, 청량사. 새로운 개창의 기운으로 현재 대작불사가 한창인 청량사는 허물어진 전각과 당산각을 새로이 일으켜 세우면서 지역민들과 함께 전국최고의 불심을 드날리기 위한 만반의 준비로 여념이 없다.
* 청량사의 창건배경 및 역사 *
청량사의 창건연대는 분명치 않으나 석가모니 후불탱화 뒷면에 상세히 기록된 명문의 내용을 미루어 1917년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당산각이 있던 자리에 인근 김해의 불모산 장유암(佛母山 長遊菴) 주지 금도(錦嶋)스님이 0장 교당(0張 敎堂)을 세우고 3년 후인 1920년 석가모니 후불탱을 모셨다고 합니다.
또한 고산자 김정호 선생(1800~1864)이 30여 년간을 전국 각지를 두루 답사하고 백두산을 17번이나 올라가면서 만들었습니다는‘대동여지도’에도 이같은 기록을 뒷받침해주는 내용이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 쪽에 가면 조그마한 암자가 있는데 그곳에서 마을 주민들이 지극정성으로 당산제를 모시고 있습니다’라는 대동여지도의 기록은 장유암 주지 금도스님이 장유암 교당을 세우기 전, 이곳이 당산할매를 모신 사당이었습니다는 구전의 설득력을 뒷받침해 주고 있습니다.
청랸사는 초창 당시 장유암 교당으로 불리다가 이후 연호사(蓮湖寺)로 개칭되었는데 이는 홍수때마다 사취등 일대가 물에 잠기어도 유독 사찰만은 홀로 머리를 내밀고 있는 모습이 마치 연꽃이 떠 있는 것과 같은 형상을 합니다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후 1959년 근세 한국불교의 한 기둥이었던 홍경선사(弘經禪師)가 주석하면서 홍수피해가 많은 장마철에 맑은 날씨를 염원하는 마을사람들의 기원을 담아 61년 범어사 말사로 등록하면서‘청량사’로 고쳐 불렀습니다고 합니다.
* 청량사 관람 포인트 *
사찰 전체가 창건 이후 최대의 중창불사를 벌이고 있는 중(2005년 현재)이라 다소 어수선하긴 하지만 청량사의 창건배경이라 할 수 있는 당산각과 포구나무를 만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다.
개축한 극락보전 옆으로 자리한 당산각 내부에는 당산할머니 초상이 놓여 있는데 최근작품이기는 하나 오랜 세월 사취등 마을을 지켜온 수호자로서의 근엄하고 온화한 모습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 바로 인근 청량사 경내 중심에 역시 우리민족의 신앙으로 숭배되어온 포구나무 세 그루를 만날 수 있습니다.
250여 년이라는 오랜 수령답게 튼튼하고도 우람한 위용을 뽐내듯 하늘을 향해 치솟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청량사(부산) 기본 정보
맥도생태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맥도생태공원 소개
맥도생태공원은 낙동강하구둑부터 공항램프까지 하천내 자연적으로 형성된 둔치지역이며, 낙동강하구 천연기년물 179호(철새도래지)로 지정된 지역입니다.
이곳은 과거부터 벼농사 등의 농경지로 이용되어 아직까지 겨울철새의 먹이터 겸 쉼터로 관리되도록 하였습니다.
겨울철새에 대한 배려 이외에도 생태공원의 특징을 살려 갈대밭, 연꽃단지, 수생식물원 등을 조성하여 시민들의 볼거리를 만들었고, 그밖에 각종 체육시설과 휴게시설이 구비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맥도생태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nakdong/macdopark01
운영 시간 00:00~24:00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연중개방
외양포 포진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외양포 포진지 소개
외양포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 남단에 있는 포구입니다.
1904년 2월 러일전쟁을 일으킨 일본군은 외양포를 대한해엽 일대의 군사거점 확보를 위한 임시 군사기지로 설정하여 민가 64호를 강제 퇴거 시켰다.
그해 9월 일본군은 이곳에 해군근거지를 구축하기 위해 제3 임시 축성단을 파견하여 12월에 공사를 완료하고 진해만 요새 포병대대 제2중대를 먼저 배치하였으며, 곧이어 포병대대본부를 옮겨와 부대를 증강 배치함으로써 외양포는 러시아 함대와의 해전을 대비한 군사기지가 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외양포 포진지 기본 정보
가덕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가덕도 소개
가덕도는 부산 최대의 섬으로 자동차로 여행하기 좋은 곳입니다.
최고봉인 연대산을 비롯해 수많은 산들과 해안가를 따라 이어진 힐링 둘레길, 일제강점기의 역사 유적지 등 볼거리가 많다.
특히 아름다운 일출, 일몰과 사계절 월척이 가능한 낚시 포인트는 최고의 자랑거리입니다.
✔일출&일몰&낚시&차박 캠핑 포인트:
- 대항새바지(일출):화려하지 않고 조용한 일출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시설: 공용주차장)
- 새바지등대(일출):환상적인 일출을 보면서 낚시를 즐길 수 있습니다.
- 연대봉(일출/일몰):데크 계단길을 따라 30분 정도 쉽게 오를 수 있는 곳으로 일출은 물론 말이 필요 없을 정도로 환상적인 일몰이 압권입니다.
- 다대포 몰운대를 비롯해 거제 해금강까지 한눈에 굽어 볼 수 있습니다.
- 가덕도등대(일출):아름다운 해돋이를 감상하면서 코로나로 인한 피곤함과 스트레스가 날아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천성항(일몰/낚시):가거대교와 어우러진 일몰이 매력적인 포토 스폿입니다.
특히 방파제가 넓어 감성돔의 손맛을 느낄 수 있는 인기 낚시터다.
- 대항전망대(일몰):거제도 바다 뷰와 일몰의 어우러짐이 환상적입니다.
- 대항방파제(낚시):루어낚시로 볼락을, 릴 찌낚시와 원투낚시로 수면 위를 팔딱거리는 학꽁치와 참돔 등을 원 없이 잡는 알짜 터입니다.
- 새바지방파제(낚시):순발력 좋은 벵에돔을 비롯해 볼락, 고등어, 학꽁치, 숭어 등 어종이 풍부하다.
- 외양포항(일몰/차박 캠핑):프라이빗 한 일몰을 감상하며 차박 캠핑을 즐길 수 있습니다.
(시설: 주차장, 화장실)
- 동선새바지(일출/일몰/차박 캠핑):일출, 일몰 명소로 손꼽히는 곳이며 차박 캠핑하기도 좋다.
(시설: 화장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가덕도 기본 정보
운영 시간 상시이용
주차시설 있음 (대항공영주차장 기준 소형 6-70대 정도 주차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대항전망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항전망대 소개
대항전망대는 부산 강서구 가덕도 천성에서 대항마을로 가는 중간에 있습니다.
남기남 작곡가의 "내 고향은 가덕도" 노래비와 함께 박상호의 "대항전망대에서 바라본 낙조"라는 시비가 서있습니다.
'연대봉 산허리에 실안개 휘감기면 등대불도 수줍어서 깜빡깜빡 웃고 동백꽃 아름다운 내고향은 가덕도…대항포 앞바다에 숭어떼 춤을 추면 신이 난 어부들이 바쁘다'는 가사와 '넓은 바다를 향한 꿈과 희망이 비등하고 숭어들의 밀어와 갈숲의 연가도 어우러진다.
'나그네여 이토록 황홀한 유혹의 향연을 본 적이 있는가'라는 시구절에선 대항전망대의 매력이 느껴진다.
최근 가덕도 신국제공항에 대한 부산 시민의 관심을 대변하듯 바다 위에 떠있는 비행기 모형과 붉은 동백꽃을 배경으로 한 포토존에는 "가덕도에 오길 잘했습니다"라고 적혀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항전망대 기본 정보
운영 시간 상시 개방
주차시설 주차가능
천성항 방파제등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천성항 방파제등대 소개
부산 가덕도는 2010년 이전에는 배를 타고 들어가야 했지만, 부산 신항과 거가대교가 생기면서 자동차로 오갈 수 있습니다.
가덕도에 위치한 천성항 방파제 등대는 부산광역시의 기념물인 '천성진성'의 망루를 형상화한 조형 등대로, 일명 "망루등대"라고 불린다.
국가 어항인 천성항을 드나드는 선박의 안전 항해를 위해 등대 불빛을 밝히고 있습니다.
방파제 곳곳에 천성항을 상징하는 다양한 조형 작품이 설치되어 있는데, 주로 갈매기를 귀엽게 형상화 했습니다.
천성항의 명물 "핑크갈매기"는 인기가 특히 좋다.
또한 어둠이 찾아오면 물고기 모양의 가로등에 하나, 둘 불이 들어와 디자인 등대의 매력을 더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천성항 방파제등대 기본 정보
가덕해양파크휴게소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가덕해양파크휴게소 소개
부산~거제 간 연결 도로의 휴게소로 천혜의 자연을 가득 담은 풍경 맛집입니다.
부산의 서쪽 끝 가덕도에 있어 드넓은 야외테라스와 힐링 산책로에서 광활한 바다 풍경을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어린왕자 등 여러 가지 조형물과 벚꽃나무 군락이 있어 사진 찍기 좋은 포인트가 곳곳에 마련되어 있고, 뒤편에는 맘껏 뛰어놀 수 있는 넓은 광장과 먼바다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도 있습니다.
부산~거제 간 연결 도로의 핵심인 가덕해저터널에 대한 모든 것이 전시된 세계 최대수심 해저터널 연결도로 홍보전시관도 볼거리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가덕해양파크휴게소 기본 정보
운영 시간 00:00~24:00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없음
대항선착장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항선착장 소개
부산 가장 남쪽에 위치한 대항선착장은 부산에서 가장 큰 섬 가덕도 안에 있습니다.
남해 바다와 접해 있고 여러 산이 연결되어 있어 부산 올레길인 갈맷길 5-2 코스로 트레킹을 하기도 좋다.
대항선착장 근처 대항동 일대는 러일전쟁(1904년)부터 태평양전쟁까지 일본군이 무려 41년간 군사 요새를 구축하고 주둔하였던 곳입니다.
일본군이 조선인들을 강제로 징용해서 만든 인공동굴은 현재 관광자원으로 개발되었지만, 일제강점기 당시 아픈 역사의 흔적들이 남겨져 있습니다.
가덕도 대항항을 중심으로 숭어 축제가 열릴 때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해지는 160년 전통의 재래식 어로법인 '육수장망 숭어들이' 시연이 펼쳐진다.
근처엔 연대봉과 정거마을, 새바지항 등이 있어 함께 방문해 보길 추천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항선착장 기본 정보
운영 시간 상시개방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없음
지금까지 부산 강서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기장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8 |
---|---|
부산 금정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7 |
광주 서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7 |
광주 북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6 |
광주 동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