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서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광주 서구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5·18 자유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5·18 자유공원 소개
5·18 자유공원은 5·18 광주항쟁에 관한 자료를 보관하고 홍보하는 곳입니다.
5.18 당시 군사재판 현장이던 상무대 법정과 영창을 원래의 위치에서 100m정도 떨어진 5.18 자유공원으로 옮겨와 원형을 복원, 재현하였습니다.
자유공원은 다양한 자료를 보관하는 자유관과 영창 및 각종 기념비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5·18 광주항쟁 당시의 자료와 사진들을 보관한 전시실과 연행자들이 고문과 조사를 받았던 헌병대 중대 내부반, 임시취조실로 사용한 헌병대 식당, 고문수사와 재판을 지휘한 계엄사합동수사본부 특별수사반이 임시본부로 사용한 헌병대 본부사무실 등이 있습니다.
5.18 자유공원에서는 당시의 상황을 재현하고, 기리기 위해서 5·18민주화운동에 참여했던 시민들이 군사재판을 받았던 법정과 6개의 감방으로 이루어진 영창이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조성된 영창에서 체험을 할 수 있는데 이 영창체험은 5·18 기간에만 가능하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5·18 자유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광주서구 문화관광 http://seogu.gwangju.kr/culture
운영 시간 봄~가을 09:00~18:00
겨울 09:00~17:00
※ 시설관람외 단순탐방은 이용시간 제한없음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5·18 기념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5·18 기념공원 소개
5·18 기념공원은 5·18의 교훈을 올바르게 계승, 발전하기 위해 조성된 시민 휴식공간으로, 상무대 이전부지 일부를 시민공원부지로 무상양여 받아 공원을 조성하였습니다.
이곳은 넓이는 20만 4,985㎡로 전통연못과 다양한 수목들이 자리하고 있어 아이들의 자연학습장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기도 하다.
* 기념공원의 시설과 볼거리
5.18 기념공원에는 5·18자료실과 공연·행사시설을 갖춘 5·18기념문화관, 시민군조각상·추모공간 등으로 구성된 5·18현황조각 및 추모승화공간, 5·18정신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원형 분수공간을 갖춘 대동광장이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학생기념탑과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도 있으며, 공원 정상에는 전망대 역할을 하는 3층 누각인 오월대가 있습니다.
그밖에 사찰 무각사와 잔디광장, 산책로 등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5·18 기념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5·18 기념재단 http://www.518.org
오매광주 http://tour.gwangju.go.kr
운영 시간 시설관람외 단순탐방은 제한없음
쉬는 날 연중무휴
만귀정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만귀정 소개
서구 세하동 동하마을에 있는 정자입니다.
효우공(孝友公) 장창우(張昌羽)가 후학을 가르치며 만년을 보내기 위해 창건하였습니다고 합니다.
그러나 원래의 건물은 세월이 지나면서 무너져 없어졌고, 후손들에 의한 1934년의 중건과 1945년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장창우는 이곳에 동족마을을 이루며 살아온 흥성 장씨(興城 張氏)의 낙남선조(落南先祖)인데, 그 창건 시기는 밝혀져 있지 않다.
건물은 사방 두 칸의 규모로 되어 있는데, 골기와를 얹은 팔작지붕에, 바닥에는 우물 마루를 깔았고, 동ㆍ서ㆍ남의 세 방향에 난간을 돌렸다.
만귀정은 큰 연못 가운데 세워진 수중(水中) 정자인데, 그 옆에는 습향각(襲香閣)과 묵암정사라는 이름의 또 다른 정자가 다리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늘어서 있습니다.
두 정자 모두 만귀정 중건 이후에 건립되었습니다.
* 만귀정 내 다양한 시문과 현판 * 만귀정에는 많은 시문이 현판으로 걸려 있는데, 그 중의 중건기는 1934년 고광선(高光善)이 썼으며, 중건상량문은 같은 해에 이병수(李炳壽)가 썼고, 중수기는 1945년에 후손인 묵암장안섭이 썼다.
또한 경내에는 1939년에송광세(宋光世)가 쓴 ‘만귀정시사창립기념비(晩歸亭詩社創立記念碑)’가 세워져 있어, 이곳을 무대로 결성된 ‘만귀정시사’의 한시(漢詩) 활동이 한때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문화재 정보] 지정종목 : 문화재자료 지정연도 : 1984년 2월 29일 시대 : 일제강점기 종류 : 누각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만귀정 기본 정보
상무시민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상무시민공원 소개
서구 치평동 상무 신도심 아파트 단지내에 자리한 아름다운 공원입니다.
’94년 11월 12일 지정되어 각종 운동시설과 아름다운 수경관 연출이 가능한 호수 및 열린광장, 조각공원 등 각종 조경, 편의시설 등을 갖춘 광주에서 최대 규모의 공원입니다.
상무시민공원은 인공호수 2개, 광장(39,360㎡), 체육시설(종합운동장, 육상트랙, 테니스장 3, 농구장 1, 배구장 1), 여성발전센터, 환경조형작품(공룡나라외 15종)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히 운동시설로 3천470평의 국제규격 잔디축구장 및 6,0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잔디스탠드, 맨발 조깅이 가능한 4백m 우레탄 트랙 등이 설치돼 있는 종합운동장과 소운동장이 있습니다.
조각공원은 상무시민공원내 호숫가를 중심으로 펼쳐져 있습니다.
각 작품마다 경관 조명시설을 설치해 야간에도 환상적이고 아름다운 작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누구나 만지고 체험하면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는 즐거움’과 ‘체험의 즐거움’을 동시에 안겨준다.
휴먼파크를 주제로 조각가 18명의 작품 22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공룡나라’는 익룡21, 아기공룡, 티라노, 잃어버린 세계 등이 테마로 꾸며진 곳으로 티라노 미끄럼틀을 타며 뛰노는 어린이들의 모습이 눈부시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상무시민공원 기본 정보
운천저수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운천저수지 소개
1951년 마륵동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재해방지를 위해 축조 주변의 대규모 택지개발(금호,상무지구)로 도시중심에 위치하게 되고, 상류수원 고갈과 오폐수가 유입되어 악취와 해충서식지로 전락하게되어 각종 민원이 유발되던 곳을 '95년 민선 1기 이정일 청장 취임후 년차별 사업추진으로 하수와 오폐수 유입을 차단하고 맑은물을 공급한 결과 자정능력이 회복되어 각종 조류가 날아드는 자연생태공원으로 변모 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운천저수지 기본 정보
풍암저수지 (풍암호수)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풍암저수지 (풍암호수) 소개
1956년 농업용 목적으로 축조하였으나 풍암택지 개발과 더불어 이용객이 증가함에 따라 99년부터 국토공원화 시범사업으로 전통정자와 목교등을 설치하여 물과 전통이 조화를 이루는 광주의 상징적 쉼터로 개발하여 1일 수백명의 이용객이 찾고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풍암저수지 (풍암호수) 기본 정보
화담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담사 소개
화담사는 하동 정씨인 묵은공 정희를 주벽으로 그의 아들 문경공 정초, 손자 문절공 정수충과 약포공 정오도, 여흥민씨인 충장공민제장을 모신 사우입니다.
이곳은 옛부터 꽃이 많다고(군분)하여 화담이라 불렸으며 하동정씨가 이곳에 정착하게 된 것은 보성군수를 역임한 정화가 살기 시작하면서부터입니다.
화담사는 1735년(영조 11) 경사에 능하며 예법을 지키고 청렴결백한 문절공의 영정을 모시는 영당에서 출발하였습니다.
문절공의 영정은 정화가 이곳으로 오면서 가지고 온 것입니다.
그 후 1776년(영조 52) 사우 건축을 발의하여 1784년(정조 8) 문절공의 위패를 봉안하였습니다.
1796년(정조 20)에 광주향교유회소의 발의로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운 광주 출신의 충장공을 추가로 배출하였습니다.
1809년(순조 6) 충청도 유회소가 발의하여 정몽주의 제자로 충절을 지킨 묵은공과 세종대에 학문, 예술, 과학 기술 등에 업적을 쌓았으며 청백과 도덕이 높았던 문경공을 1910년 추가 배출하였습니다.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 철폐 조치에도 지붕을 덮고 제사만 폐하였습니다가 1905년 광주향교 유회소의 발의로 복설되었습니다.
1906년에는 광주 유생들의 발의로 광주 관찰사에게 상서하여 충효가 출중한 광주 출신의 약포공을 추가로 배출하여 현재의 틀을 갖추었습니다.
약포공은 송시열의 제자로 처음 광주 지산사에 배출되었으나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서원이 철폐되어 조상들이 모셔져 있는 이곳에 추가 배출된 것입니다.
이곳의 건물 배치는 제향 구역과 강학 구역을 지반아를 주어 조성한 전학후묘 양식으로 가장 뒤에 화담사를 안치하고 그 앞에 내삼문인 양양문을 두었습니다.
이곳에서 계단으로 내려가는 중간에 동재와 서재를 두고 그 밑에 외인문을 배치한 전형적인 서원 건축양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화담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앞 뒤에 마루가 있는 맞배지붕입니다.
앞면의 마루는 개방되어 제향의식을 편리하게 한 사당 건축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부분의 문은 굽널을 둔 빗살문이며 겹처마입니다.
평면구성은 앞에는 원형기둥을 세우고 중앙부는 사각기둥을 세워 앞마루가 퇴마루를 구성하지 않는 개방형입니다.
청지재와 열호재는 동재와 서재가 같은 양식으로 건립된 정면 4칸, 측면 1칸의 맞배 지붕입니다.
평면 구성은 앞에 마루를 두고 모두 온돌방을 놓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담사 기본 정보
운천사마애여래좌상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운천사마애여래좌상 소개
원효대사가 무등산 원효사에 머무르던 어느 날 서쪽 하늘에 서기(瑞氣)가 가득함을 보고 제자 보광화상을 현지에 보냈더니 뜻밖에 큰 바위에서 빛이 솟아나오므로 그 곳에 불상을 새긴 것이 이 마애불이라고 전하며, 이 곳에 절을 지어 정토사라 불렀습니다 하나 고증할 기록이나 유물은 없다.
이 불상은 큰 자연 암벽에 불상을 양각하고, 그 암벽에 붙여 집을 지어 불당으로 하였으니, 앉은 높이 가 2m 정도의 큰 불상으로 중국 운강석굴의 대불을 연상시킨다.
조각양식은 32상 80종호의 특징을 따르고 있으나 두부에 비해 몸체가 지나치게 과장되었고, 어깨, 팔, 손이 너무 커서 둔중하고 경직되어보이는데 이는 고려불상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머리에는 육계가 있고 머리카락은 나발인데 마멸이 심하여 이마에 백호공이 얇게 보이며, 귀는 어깨까지 내리고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다.
법의는 우견편단이나 의습은 발을 덮어 내리는 양식으며, 음각된 의문은 평행단상으로 형식화가 뚜렷하다.
수인은 복부에 양손을 마주하여 어떤 물체를 위로부터 덮고 있는 듯 한데 보주인지 악기인지 알 수가 없다.
뒤로는 한줄의 신광과 삼중선의 두광이 있고 가장 안쪽 두광에 연엽문이 새겨있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전체적으로 근엄, 둔중하고 괴체화 된 것으로 미루어 전기한 원효스님의 전설과는 달리 고려 시대에 조성된 것이 틀림없다.
* 규모 : 높이 2.1m / 재료 : 화강석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운천사마애여래좌상 기본 정보
전평제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전평제 소개
1943년에 매월동, 벽진동 농경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재해방지를 위해 축조 도심근교에 방치된 저수지를 99년부터 국토공원화 시범사업으로 쉼터를 조성했습니다.
저수지 가운데 인공섬을 사이에 두고 목교가 설치되어 있어 수변경관 및 자연탐방과 함께 가족단위 여가선용의 장소로 적합하다.
* 면적 46,992㎡, 저수량 100천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전평제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seogu.gwangju.kr/culture/
병천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병천사 소개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1924년에 건립된 충주지씨(忠州池氏)들의 서원이자 사우(祠宇)입니다.
일제강점기 때 충주지씨들이 호국선현의 애국·애족 정신을 기리기 위해 고려 말 충신 정몽주(鄭夢周), 고려 말 공신 지용기(池湧奇), 조선조 공신 정충신(鄭忠信), 병자호란 때 활약한 지여해(池汝海)·지계최(池繼凗) 등 5인을 향사하여 왔는데, 1924년 지응현(池應鉉)이 이들을 배향하고 영정을 봉안하는 서원을 지었습니다.
병천사는 1927년 건축공사를 시작하여 1932년에 완공되었는데. ‘천리(天理)를 병집(秉執)합니다’는 뜻에서 ‘秉天祠’라 하며 서원의 역할을 겸하였습니다.
건립 초기의 입지형태는 문중 소유의 「병천사산도(秉天祠山圖)」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앞뒤의 죽림(竹林)과 연못을 배경으로 신문(神門) 1동과 병천사 현전(賢殿) 1동, 영당(影堂) 1동, 존심당(存心堂) 1동, 동재(東齋) 1동, 서재(西齋) 1동, 거경재(居敬齋) 1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사우는 건좌손향축(乾坐巽向軸)을 중심으로, 위쪽에 선현을 봉사하는 사묘역(祠廟域)과 아래쪽에 교육하는 강학역(講學域)을 두어 전학후묘(前學後廟)의 기본 영역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사묘역은 병천사 현전을 중심으로 앞에 신문이 자리잡고, 신문 앞에는 사적비(事蹟碑)와 묘력비(廟歷碑)가 있습니다.
현전 오른쪽에는 영당과 문이 현전과 나란히 위치합니다.
강학역은 동재인 숭인재(崇仁齋)와 서재인 집의재(集義齋)가 좌우에 자리잡고, 병천사와 마주보며 강당인 존심당이 위치하며, 존심당 오른편에는 사우의 대문격인 광제문(光霽門)이 있습니다.
병천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전후툇간을 두고 있으며, 간살 없이 통간을 제향하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5량가구를 얹고 방풍판(防風板)을 단 고기와의 팔작집으로 내일출목으로 3익공포를 두고 있으며, 외부 의장물에는 긋기단청, 내부에는 금단청을 위주로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병천사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cha.go.kr
지금까지 광주 서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금정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7 |
---|---|
부산 강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4) | 2023.01.27 |
광주 북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6 |
광주 동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6 |
광주 남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