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남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광주 남구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사직공원(광주)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사직공원(광주) 소개
사직공원의 터는 원래 사직단이 있던 곳입니다.
사직단이란 삼국시대부터 나라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여 땅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곳입니다.
이 장소는 조선 태조 3년에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던 사직단을 설치한 것으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1894년 제사가 폐지되고 1960년대 말에 사직동물원이 들어서면서 사직단은 헐리고 말았습니다.
그 뒤 사직단의 본래의 모습을 되찾아야 합니다는 여론이 조성되자 1991년 동물원을 우치공원으로 옮기고 사직단을 복원하여 1994년 4월 100년 만에 사직제가 부활했습니다.
사직공원은 각종 수목 또는 화초들의 조경이 잘되어 있으며 특히 매년 4월 15일을 전후해서 벚꽃이 만발, 광주시는 이 무렵이면 밤에 전등을 가설하여 시민들이 밤에도 벚꽃을 즐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지금은 시민들이 가장 즐겨 찾는 휴식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 사직공원의 볼거리 *
공원 내에는 1993년 복원된 사직단과 광주방송총국(KBS), 경찰충혼탑, 양파정(양림동에 살던 정락교씨가 지어서 광주시에 기증한 것), 사장(射場)인 관덕정, 시가지를 조망할 수 있는 팔각정이 있습니다.
각종 수목과 화초를 이용한 조경이 잘 되어 있으며, 오색찬란한 광주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타워가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사직공원(광주)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namgu.gwangju.kr
운영 시간 [사직공원 전망타워] 3~11월 9:00~22:00
12~2월 9:00~21:00
주차시설 없음
쉬는 날 연중무휴
양림동 선교사 묘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양림동 선교사 묘지 소개
* 광주지역 선교사를 기리는 묘역, 선교사 묘지 *
양림동 선교사 묘지는 광주에 최초로 기독교를 전파하고 개화의 새 물결과 일제 치하에서 구국 운동의 계기를 마련했던 23인의 선교사가 묻혀 있는 곳입니다.
광주광역시 양림동은 전라남도 최초의 선교사로 광주에서 활동하던 배유지 목사와 클레멘트 오웬의 주된 선교지였다.
배유지 목사는 선교활동의 일환으로 수피아여학교를 설립하였고, 글레멘크 오웬은 간호사인 부인과 함께 선교 및 의료봉사 활동에 헌신하였습니다.
현재 광주광역시에는 배유지 목사를 기념하기 위한 선교기념비와 클레멘트 오웬과 그의 할아버지를 기념하기위해 건립한 오웬 기념각 등의 문화재가 있습니다.
* 선교기념비와 오웬기념각 *
양림동 선교기념비는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 배유지 목사가 광주에서는 처음 예배드린 곳을 기념하기 설립한 비입니다.
1982년 12월 6일 대한예수교 장로회 전남노회가 세운 것으로 자연석 화강암제에 음각으로 되어 있습니다.
오웬기념각은 광주기독병원 간호전문대학 안에 있으며 현재 강당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배유지(E.Bell) 목사와 함께 전라남도 최초의 선교사로 광주에서 활동하던 선교사 클레멘트 C. 오웬(Clement C.Owen:1867∼1909. 한국명 오원 또는 오기원)과 그의 할아버지 윌리엄(William)을 기념하기 위하여 1914년에 건립한 건물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양림동 선교사 묘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namgu.gwangju.kr/index.es?sid=a7
광주향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향교 소개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서석산(瑞石山) 장원봉(壯元峰) 아래에 창건되었습니다.
전설에 의하면 호환(虎患)이 있어서 동문 안으로 옮겨 세웠다가, 1488년(성종 19)에 수해(水害)로 현감 권수평(權守平)이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습니다고 합니다.
당시의 건물은 정유재란 때에 소실되었고 지금의 건물은 그 뒤에 중건한 것입니다.
1974년에 대성전을 보수하고 단청하였으며, 1976년에 동·서재와 1978년에 명륜당을 보수하고 1981년에 담장 등을 보수하였습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공자에게 지내는 제사)을 봉행(奉行)하고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으며,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소장 전적은 189종 306책으로 주로 경서와 문집류이며, 필사본인 ≪관안 官案≫·≪광주유림안 光州儒林案≫ 등은 이 지방의 향토사연구에 좋은 자료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향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www.namgu.gwangju.kr
양림동 호랑가시나무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양림동 호랑가시나무길 소개
양림산 남쪽 기독교 장로교 선교부의 정원 옆에 있습니다.
호랑가시나무는 전남 남해안과 제주 서해안에 주로 자생하는 상록활엽소 교목입니다.
변산반도가 북쪽 한계선이며 중국에도 분포하나 특히 광주, 전남의 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잎은 두꺼운 가죽질과 광택이 있으며 잎가에 가시모양의 톱니가 다섯 개 있습니다.
꽃은 여름철에 흰 빛으로 잎겨드랑이에 모여서 가을에 핵과가 붉게 익는데, 겨울철 눈 속에서도 붉은 빛을 띠어 관상수로도 제격입니다.
양림동은 1899년 남장로교의 선교사 배유지, 오웬 두 사람이 목포에서 광주로 이주하여 전도를 시작했던 지역입니다.
그 때 부터 자라고 있는 호랑가시나무는 야생으로 자라 현재는 철책이 둘러싸여 보호되고 있습니다.
양림동 호랑가시나무길에는 옛 선교사 사택과 아트폴리곤, 호랑가시나무창작소 등 다양한 문화공간과 관광지자 위치해있습니다.
양림동의 이 나무는 높이가 6m 정도이며 근원부의 간주가 115㎝로 이 수종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거목입니다.
수관의 너비는 남북 7m, 동서 5m 이며 가슴 높이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 있습니다.
원래 야생식물로 자란 것을 관상용으로 보호해왔으며 주변에 어린 나무들이 자생하고 있습니다.
나무가 있는 이곳은 1899년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 배유지, 오웬 두 사람이 목포에서 광주로 이주하여 전도를 시작했던 본거지입니다.
* 수량 - 1그루 * 수령 - 410년 * 시대 - 조선시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양림동 호랑가시나무길 기본 정보
사직단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사직단 소개
* 신에게 제를 올리던 곳, 사직단(社稷壇) *
갑오년(1984) 이후 광주의 여제와 함께 폐지되었으며, 한말에는 사직단을 군사 훈련장으로 사용하기도 했었습니다.
동물원이 들어서면서 그 자취가 없어졌는데, 1993년 광주시가 사직단을 복원, 1994년 광주 향우회 회장(최기영)에 의해 1백년 만에 사직제가 부활되었습니다.
사직단은 국토의 신과 오곡의 신, 두 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제단입니다.
국토와 오곡은 민생의 근본이므로 삼국 시대부터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사직단을 설치하여 친히 왕이 나가서 제사를 올렸다.
지방에서는 성주가 제주가 되었으므로 광주 목사가 매년 제사를 주관하였습니다.
사직단은 종묘와 함께 신성시되어 종사(宗社)라고도 했습니다.
사직제는 매년 맹춘(정월) 상신일에 기고제(그해 풍년을 비는 제), 중춘(음력6월), 중추(음력 8월) 상무일, 납일(음력 12월 8일)걸쳐, 네 차례 거행되었으며, 가뭄에는 기우제, 비가 많이 오면 '기정제', 눈이 오지 에 않으면 '기설제'를 지냈다.
또한 사직제는 혈제(血祭)라 하여 제수에 돼지머리나 양머리를 날것으로 봉헌했습니다.
* 사직단이 있는 사직공원에 대하여 *
사직공원의 터는 원래 사직단이 있던 곳입니다.
1894년 제사가 폐지되고 1960년대 말에 사직동물원이 들어서면서 사직단은 헐리고 말았습니다.
그 뒤 사직단의 본래의 모습을 되찾아야 합니다는 여론이 조성되자 1991년 동물원을 우치공원으로 옮기고 사직단을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사직공원은 각종 수목 및 화초들의 조경이 잘 되어 있으며 특히 매년 4월 15일을 전후해서 벚꽃이 만발, 광주시는 이 무렵이면 밤에 전등을 가설하여 시민들이 밤에도 벚꽃을 즐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지금은 시민들이 가장 즐겨찾는 휴식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사직단 기본 정보
효자 광주 정공엄지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효자 광주 정공엄지려 소개
정엄(鄭淹)의 정려(旌閭)는 석조로 된 정려입니다.
정려각 내에는 비(碑)와 함께 견석상(尤石像)이 1추(樞) 있습니다.
효자 정엄은 1558년(明宗戊午年)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 동부승지를 지냈다.
모친 섬기기에 효성을 다하였고 병환 중이실 때에는 밤에도 옷을 벗지 않고 모친을 돌보았으며, 상을 당해서는 장례 절차를 성대히 하였으나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병을 얻어 세상을 떠나니, 그 효성을 기리기 위하여 1611년 국가에서 정려(旌閭)를 명하였습니다.
이 후 정려각이 퇴락되어 1975년에 석조로 재건하였습니다.
비신(碑身)에는 『贈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兼(증가선대부사헌부대사헌겸) 弘文館提學豫文館堤學同知(홍문관제학예문관제학동지) 經筵春秋館義禁府事五圍都總管(경연춘투관의금부사오위도총관) 世子左副賓行通政大夫承政院同副承旨兼(세자좌부변행통정대부승정원동부승지겸) 經筵參贊官春秋條選官知製(경연춘추관의춘추소선관지제) 敎楊村鄭先生旌閭碑(고양촌정선생정려비)』 라고 쓰여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효자 광주 정공엄지려 기본 정보
광주 3·1 만세운동 기념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3·1 만세운동 기념비 소개
* 수피아 여고생의 넋을 기리는 비, 광주 3·1 만세운동 기념비 *
광주는 일제강점기 시절 광주학생운동을 시작으로 다양한 독립운동이 펼쳐진 고장입니다.
이러한 고장에서 3·1 만세운동이 벌어진 것은 당연한 결과입니다.
이러한 광주지역의 3·1 만세운동을 기념하고 당시의 넋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광주 3.1 만세운동 기념비”입니다.
1995년 5월 10일에 건립한 이 기념비는 양림동 256번지 수피아여고 후문 안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앞면에는 "광주 3·1 만세운동 기념"이라고 새겨져 있고, 뒷면은 1919년 3월 10일 광주 3·1 만세운동에 앞장섰기 때문에 옥고를 치른 수피아 학생들의 이름을 새겨 길이 기념하고자 했습니다.
* 당시의 넋을 기리는 기념비의 추모시 *
기념비에는 박순애, 이태옥, 김양순, 윤혈녀, 김덕순, 조옥희, 이금봉, 하영자, 강화선, 이라혈, 최수향, 김만순, 홍순해 등 23명의 명단이 새겨져 있으며, 옆면은 "역사의 별이 되어" 라는 추모시가 다음과 같이 새겨져 있습니다.
천추에 이름 석자 누구나 남기는가, 기미년 3·1 운동 선두에 서서 구국의 일념으로 충성을 맹세하고 태극기 앞에 두고서 독립만세를 외쳤네. 일제의 총칼 앞에 나라가 침탈 당하자 자유 없는 속박에서 사느니보다 사슬을 끊기 위해 목숨 걸고 싸웠네. 모진 고문을 당하여도 이겨낸 고결한 애국 얼이 역사의 별이 되어 무궁토록 빛나네.
* 규 모: 넓이 4㎡ 길이 7m
* 형 상: 3·1 운동 때 여학생들이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부르고 있는 형상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3·1 만세운동 기념비 기본 정보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소개
* 안정미와 수려함이 넘치는 고려시대 탑, 광주서오층석탑(光州西五層石塔) *
광주공원 안에 거북머리와 같이 돌출된 지형 위에 세워져 있습니다.
탑의 상륜부는 모두 없어졌으나, 전체적인 상태는 매우 양호한데, 통일신라시대의 이중기단 양식으로 변화된 모습을 보여 준다.
탑의 오층 몸체부 중 초층을 다섯 개의 돌로 짜맞춘 것이 다른 탑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독특한 특징이며, 지붕돌의 추녀와 몸체부의 알맞은 비례, 상층으로 올라가면서 줄어드는 각층의 비율이 크지 않아 전체적으로 높게 보이면서도 튼튼한 안정미와 수려함이 넘치는 고려 시대 탑으로서, 뛰어난 수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 고려시대 석탑의 모습을 보여주는 탑의 구조 *
광주서오층석탑의 기단부는 통일신라 시대의 탑이 대체로 2층기단으로 되어있는 것과는 달리 고려시대 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단층으로 간략화되고 있습니다.
탑신부는 1층의 옥신석만 빼고 각층마다 옥신석과 옥신석이 모두 한 개의 돌로 만들어졌는데, 각층의 체감률이 적어 탑의 인상이 날렵하고도 높게 보입니다.
1층 옥신석은 2단의 별석으로 짰는데 하단은 4매의 돌을 깎아 맞추었고 상단은 한 개의 돌을 다듬어 만든 이형탑입니다.
이런 형식은 고려시대의 탑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옥개석은 추녀가 넓은 편이며 추녀 네 귀의 위아래가 모두 뒤쪽으로 되바라지도록 전각을 주고 있고, 층받침은 고려탑의 정형대로 모두 4매입니다.
옥개석은 받침마다 모서리에서 10㎝씩의 턱을 주어 체감에 균형미를 주고 있습니다.
2층 옥신석도 옥개석과 마찬가지로 1층 옥신보다 높이가 현저하게 줄고 있습니다.
탑신 위에 있었던 상륜부는 모두 상실되었습니다.
이 탑은 1961년에 해체, 보수했는데, 이때 2층 옥신석의 위쪽에 사리공이 발견되었고, 그 속에서 원형이 잘보존된 금동전각형 사리 장엄구를 찾아냈다.
이 사리구는 현재 국립광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 탑과 관련되 전설 *
탑이 있는 곳은 원래 성거산 또는 성구강이라 불리웠며, 산의 모양이 거북처럼 생겼다고 전해진다.
거북이 광주를 이롭게하는 상서로운 동물이라 생각하여 광주를 떠나지 못하도록 거북의 꼬리 부분인 현향교 위치에 성거사를 지을 때 완성 단계에서 무너지곤 했는데, 도승의 말을 듣고 거북의 목 위치에 오층 석탑을 세운후로 절이 허물어지지 않았습니다고 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기본 정보
광주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공원 소개
광주공원은 광주시의 제1호 공원으로 시민들이 즐겨찾는 휴식공간입니다.
옛날에는 성거사가 있었으며 일제강점기 때는 일본인들의 신사가 있던 곳인데 현재는 현충각과 광주시립 박물관, 시민관 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주요 시설로는 복원된 사직단과 광주방송총국(KBS), 경찰충혼탑, 연파정, 전통국궁 수련장인 관덕정, 시가지를 조망할 수 있는 팔각정 등이 있습니다.
현충탑을 중심으로 한 공터는 노인들의 휴식처로 애용됩니다.
광주공원은 장수의 상징인 거북이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각종 수목과 화초를 이용한 조경이 잘 되어 있으며, 매년 4월 중순이면 벚꽃이 만발합니다.
* 광주공원의 역사와 유래 *
광주공원은 원래 나라의 안전과 풍년을 기원하며 땅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올렸던 사직단이 있던 곳인데, 1894년 제사가 폐지되고 1960년대 말에 사직동물원이 들어서면서 사직단은 헐리고 말았습니다.
그 뒤 사직단의 본래의 모습을 되찾아야 합니다는 여론이 조성되자 1991년 동물원을 우치공원으로 옮기고 사직단을 복원하여 1994년 4월 100년 만에 사직제가 부활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공원 기본 정보
운영 시간 24시간
주차시설 있음
오웬기념각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웬기념각 소개
기독간호대학교 내에 있는 오웬기념각은 배유지 목사와 함께 전남 최초의 선교사로 들어와 광주에서 순교한 오웬선교사를 기념하기 위하여 미국 친지들이 보낸 기금 4,200 달러로 1914년에 세워진 연면적 434평방미터(부속건물 포함)인 양옥건물입니다.
이 건물은 평면 형태로 보아 예배당 및 집회실로 사용되었으리라 짐작되나, 지금은 기독간호대학교의 강당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웬은 1900년대에 광주에 들어온 양림동의 서양촌 외국인 중 1명으로서 간호사인 부인과 함께 선교 및 의료봉사 활동에 헌신하다가 과로로 1909년에 죽었습니다.
오웬은 생전에 그의 할아버지 기념병원을 지으려다 선교 활동이 급하다고 판단하여 먼저 할아버지 기념각을 지을 계획을 수립 하였으나, 그 계획이 추진되기 전에 사망하였습니다.
기념관 현판에 할아버지의 이름이 새겨진 것도 이 때문입니다.
* 건물 구조 및 건축양식 * 회색 벽돌의 2층 건물로서 평면 형태는 정방형이나 대각선상의 모서리에 위치한 설교단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형태입니다.
주 출입구는 북쪽과 서쪽에 똑같은 모양으로 있으며 동쪽과 남쪽에는 모서리에 조그마한 문으로 된 부출입구가 있습니다.
1층 바닥은 모서리의 설교단을 향하여 약 0.9/10의 경사가 져 있으며, 2층의 노대(balcony) 역시 설교단을 향해 1.2/10 경사져 있습니다.
벽은 길이 225mm, 나비 110mm, 두께 55mm의 회색벽돌을 사용하여 네델란드식 쌓기를 하였습니다.
벽의 두께는 49cm로 공간쌓기를 하였으며 지면과 면하는 고막이 부분은 장대석의 화강석으로 축조하였습니다.
1층과 2층 사이에는 벽돌의 허리 돌림띠를 두었으며 2B 두께의 붙임기둥을 설치하였습니다.
개구부에는 창, 문 모두 동일한 형태의 결원아치를 사용하였으며 하인방의 창대돌은 화강석으로 되어 있습니다.
또 정면의 작은 광창에는 창대 돌을 마구리 내쌓기한 벽돌이 지지하고 있습니다.
양쪽의 현관부분은 아치벽돌을 사용한 반원 아치로 key stone은 화강석으로 되어 있으며 porch의 천장은 나무널로 마무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석조로 된 아치대를 받치고 있는 기둥에 커다란 원형 주철관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지붕의 구조는 맨사드 지붕틀로서 평보를 내부에 설치된 2개의 기둥으로 지지하고 있으며 굴뚝이 올라와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함석 잇기를 하였습니다.
실내의 바닥은 마루널을 설교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깔았으며, 벽은 회반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오웬기념각 기본 정보
홈페이지 광주광역시 남구 문화관광 https://www.namgu.gwangju.kr/index.es?sid=a7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쉬는 날 연중개방
지금까지 광주 남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북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6 |
---|---|
광주 동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6 |
광주 광산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5 |
대구 중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5 |
대구 동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