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북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광주 북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광주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호 소개
* 수려한 경관과 다양한 즐길 거리가 있는 호수, 광주호 *
광주에서 동쪽으로 16km 지점에 있는 광주호는 담양호(潭陽湖) ·나주호(羅州湖) ·장성호(長城湖) 등과 함께 영산강(榮山江) 유역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영산강의 지류 고서천을 댐으로 막아 1976년 9월 준공된 호수입니다.
4개 호수 중 가장 규모가 작지만, 댐의 길이는 505m, 높이 25m로 결코 작지 않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의 용대산과 그 건너편을 막아 만든 것인데 1974년에 공사를 시작해 1976년에 완공했습니다.
* 광주호의 볼거리와 즐길거리 *
광주호는 무등산 아래에 위치하여 주변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룬 호반 휴양지로서, 어족이 풍부해 낚시터로도 각광을 받아 많은 휴양인파가 찾습니다.
광주호 상류 충효동 일대에는 송강 정철의 가사문학 유적지인 식영정을 비롯해 환벽당, 소쇄원, 취가정, 독수정 등의 정자가 자리잡고 있어 조선시대 정원문화의 진수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호 기본 정보
운영 시간 상시 가능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무휴
광주호 호수생태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호 호수생태원 소개
* 도심 속 자연 학습의 장, 광주호수생태원 *
광주호(光州湖)의 호숫가 인근에 184,948m²의 부지에 자연관찰원, 자연학습장, 잔디휴식광장, 수변 습지 등 테마별 단지로 조성된 생태공원입니다.
광주시내에서 약 30분 정도 거리에 있어, 시민들이 찾기가 좋아 2006년 3월에 개장한 후 아이들의 자연생태학습장이자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됩니다.
* 광주호수생태원에서 만날 수 있는 자연 *
전체적으로 조용하고 시원한 느낌을 받는 공원으로, 추운 날씨가 아니라면 꽃이나 동·식물들의 생태자료를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진달래, 개나리, 자산홍, 장미, 철쭉, 수국 등 형형색색의 야생화 17만 본이 심어진 테마별 꽃단지와 부엽식물원, 수변부 관찰 테크, 암석원, 그리고 때죽나무, 모과나무, 벽도동, 단풍나무 등 3,000여 그루의 나무 등이 볼만하다.
늪지에서 각종 새가 실제로 부화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메타세콰어이 양편 가로수 사이로 목재계단을 조성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호 호수생태원 기본 정보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소개
광주호 동쪽 호안(湖岸)과 충효동 마을 사이의 도로변에 위치한 왕버들나무는 버들과의 딸린 갈잎 큰키나무입니다.
암수 나무가 딴 그루를 이루며, 4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5월에 익습니다.
우리 나라 경기도 이남지역과 일부 중부 이남 지역, 중국 중부 지역에 분포하며 풍치림(風致林)과 정자목(亭子木)으로 널리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물가나 들에서 자라며, 목재는 가구와 땔감 등으로 쓰입니다.
충효동의 왕버들 3그루는 모두 광주시 나무로 지정되어있는데 원래는 일송·일매·오류(一松·一梅·五柳)라 하여 마을의 상징 조경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매화와 왕버들 1그루는 말라 죽었으며, 또 1그루의 왕버들과 소나무는 마을 앞 도로를 확포장하면서 잘라 버려 지금은 왕버들 3그루만 남아 있습니다.
마을에서는 다시 왕버들 2그루를 식목하였으며, 소나무와 매화도 계속 식목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충효동의 역사는 분명치 않으나 옛부터 성이 있어 성안 또는 석저촌(石低村)이라 불려왔다.
이 일대는 임진왜란 이전에 이미 양산보(梁山甫)의 소쇄원(瀟灑苑)을 비롯하여 김윤제(金允悌)의 환벽당(環璧堂), 김성원(金成遠)의 식영정(息影亭)과 누하당(樓霞堂) 등의 원림(苑林) 정각(亭閣)이 많이 있어, 주변 조경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곳입니다.
* 나무의 크기
1) 높이 9m, 둘레 6.25m, 수관(樹冠)너비 11.5 ×18.9m
2) 높이 10m, 둘레 5,95m, 수관너비 14.0 ×14.0m
3) 높이 12m, 둘레 6.30m, 수관너비 16.6 ×27.0m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기본 정보
광주패밀리랜드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패밀리랜드 소개
* 호남 지방의 새로운 명소, 광주패밀리랜드 *
광주패밀리랜드는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으로서 36만평의 부지 위에 최첨단 놀이시설 30종, 사계절 썰매장과 아이스링크, 수영장을 갖춘 호남 최대의 종합위락공원으로 1991년 7월 6일 개원하였습니다.
호남 최대길이를 자랑하는 사계절 썰매장은 봄, 여름, 가을엔 물썰매장으로 겨울엔 눈썰매장으로 더욱 더 편하게 이용하시도록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계절 테마파크로 자리잡고자 전천후 썰매장 단지를 조성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언제나 고객과 즐거움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 패밀리랜드 100배 즐기기 *
패밀리랜드에는 다양한 놀이시설이 조성되어 있으며 코스에 따라 연인코스, 가족코스, 어린이 코스 등으로 나누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연인코스는 청룡열차, 카오스, 바이킹, 박치기왕, 타가 디스코, 날으는 그네 등으로 연인들이 함께 즐기면 좋을 놀이기구들입니다.
가족코스는 패밀리열차, 사막의 폭풍 등 가족 단위로 아이와 부모가 함께 즐기면 좋은 놀이기구입니다.
이외에 어린이범퍼카, 꼬마비행기, 회전목마 등 어린이 전용 놀이기구도 구비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패밀리랜드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gjfamilyland.com/
운영 시간 *평일 :09:30 ~ 18:00
*주말 : 09:30 ~ 19:00
※ 방문전 이용시간 문의 요망
주차시설 있음(1,500대)
쉬는 날 홈페이지 참고
국립 5.18 민주묘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국립 5.18 민주묘지 소개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공원으로 5·18묘역이라고도 합니다.
문민정부 출범과 더불어 5.18 민주항쟁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이루어지고 5.18 희생자 묘역을 민주 성지로 가꾸려는 움직임이 뜻있는 국민들로부터 일어났다.
광주광역시는 중앙 정부의 지원을 받아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산34번지 165k㎡의 부지 위에 5.18묘지를 조성하였습니다.
묘역 안에는 5·18영령의 묘 764기(2017년 기준)가 있으며, 건축물 7동(민주의 문, 유영봉안소, 역사의 문, 숭모루, 추념문, 관리동, 휴게실)과 역사공간, 민주광장, 참배광장, 전시공간, 상징조형물, 광주민주화운동추모탑, 7개 역사마당(의병, 동학, 3·1운동, 광주학생운동, 4·19혁명, 광주민주화운동, 통일마당), 헌수기념비, 준공기념탑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18 민주 항쟁은 1980년 5월, 12.12사태와 당시의 군부에 의해 벌어진 정권 장악 음모에 대항해 일어난 전국적인 저항운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자행된 대표적인 반민주 학살 사건이며, 이에 저항한 시민 민주항쟁입니다.
이 묘지는 여기서 희생당한 광주 시민들의 넋을 기리며, 이땅에 다시는 불의와 독재가 발붙일 수 없다는 사실을 알리는, 살아 있는 역사 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한편 민주 성지를 내손으로 가꾸기 위해 시작한 민주나무 헌수운동은 5.18의 숭고한 정신을 국내, 외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5ㆍ18 묘지 중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사각기둥인 탑신은 높이 40m로 우리나라 전통석조물인 당간지주를 현대감각에 맞게 형상화 했습니다.
탑신 가운데 감싸쥔 손 모양으로 중앙에 설치된 타원형 형상은 새로운 생명의 부활을 상징하며, 시시각각 변하는 태양광에 반사된 빛은 희망의 씨앗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국립 5.18 민주묘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518.mpva.go.kr
운영 시간 09:00~18:00
주차시설 주차 가능(승용차10부제 시행)
쉬는 날 연중무휴
환벽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환벽당 소개
堂號)는 영천자 신잠(靈川子 申潛)이 지었으며, 벽간당(碧澗堂)이라고도 불렀음이 고경명(高敬命)의 유서석록(遺書石綠)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2칸, 팔작지붕입니다.
가운데 2칸을 방으로 하여 앞쪽과 오른쪽을 마루로 깐 변형된 형식입니다.
원래는 전통적 누정 형식이었으나 후대에 증축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바뀐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곳에는 우암 송시열(尤庵宋時烈)이 쓴 제액(題額)이 걸려있고, 석천 임억령(石川林億齡)과 조자이(趙子以)의 시가 현판으로 걸려 있습니다.
환벽당에 관한 시는 정철이 지은 2수가 있는데, 송강속집과 광주목지에 실려 있습니다.
정철의 4대손 정수환(鄭守環)이 김윤제의 후손으로부터 사들여 현재 연일정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 사촌 김윤제에 대하여 *
김윤제(1501~1572)는 본관이 광산으로, 충효리에서 태어났다.
1528년 진사가 되고, 1532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교리겸춘추관(承文校理兼春秋官)으로 벼슬길에 나아간 뒤 홍문관교리(弘文官校理), 나주 목사 등 13개 고을의 지방관을 역임하였습니다.
관직을 떠난 뒤 고향으로 돌아와 환벽당을 짓고 후학 양성에 힘을 썼는데, 송강 정철(松江鄭徹 1536~1593)과 서하당 김성원(金成遠) 등이 대표적인 제자입니다.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김덕령(金德齡)과 김덕보(金德普)형제는 그의 종손(從孫)으로 역시 학문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환벽당 아래는 김윤제와 정철이 처음 만난 곳이라는 전설이 깃든 '조대(釣臺)'와 용소(龍沼)가 있습니다.
창계천 동북쪽으로 250m쯤 떨어진곳에는 식영정(息影亭)이 있으며, 환벽당 바로 곁에는 취가정(醉歌亭)이 있습니다.
인근에는 독수정(獨守亭)과 소쇄원(瀟灑園)이 자리잡고 있어 바로 이 일대가 조선시대 원림 문화(苑林文化)의 중심 지역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환벽당 기본 정보
금곡동 제철유적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금곡동 제철유적 소개
금곡동 제철유적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김덕령(金德齡)과 관련된 무기 제조창이 있던 자리입니다.
이 유적은 무등산 정상에서 서북쪽으로 뻗은 능선이 비교적 완만한 경사지의 평탄면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주검동이라 불리던 이곳은 국립광주박물관에서 1992년 3월~4월까지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상하 2단의 석축을 쌓고 제철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급경사면을 조성한 후 제철에서 정련, 단조에 이르기까지 철기 생산에 필요한 기본공정과 시설을 배치하였습니다.
제철로는 절두원추형으로 작은 판석과 할석을 이용하여 대략 장방형의 구역을 만든 후 그 내부를 점토 등을 다졌을 뿐 방습시설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정련로는 제철로에서 생산된 철괴를 재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곳으로, 제철로의 북쪽 3.5m에 있습니다.
또한 판석과 할석을 혼용한 형태인데 중심부 바닥의 판석은 심한 열에 의하여 균열되어 있습니다.
제철로의 동쪽 8m에는 단조 철기가 제조되었던 단조로와 단조대석이 있습니다.
단조로는 많이 파손되어 변형되었으며 타원형내지 장방형으로 주변은 괴석과 판석이 부정형으로 돌려져 있습니다.
단조대석은 단조로의 서측 경사면에 있으며, 불순물이 제거된 철괴로 단조 철기를 만들던 시설입니다.
대석의 서측에 소형 괴석들을 호형으로 돌려 단조 박편들이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막아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철로와 정련로에서 생산된 철괴의 불순물 제거에 이용되었던 대형 대석이 확인되었습니다.
각로의 송풍 시설은 손으로 하는 상자형을 사용하는 것 같다.
제철의 원료는 철재의 성격으로 보아, 하천 사질층에 퇴적된 사철을 정선하지 않고 사용한 것 같다.
* 유적지에서 발굴된 유물 *
금곡동 제철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철재, 단조 박편, 철촉, 철촉반제품, 추형 철기 등 제철 유물과 분청자, 질그릇 등이 있습니다.
특히 철촉 반제품으로 보아 김덕령 장군의 활동과 관련하여 주검 동 지명이 철제무기를 제작하였음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이 유적은 김덕령장군의 활동 시기와 분청자 등의 출토 유물로 보아 15~16세기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금곡동 제철유적 기본 정보
중외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중외공원 소개
*공연과 전시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곳, 중외공원 문화벨트 *
중외공원은 수려한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도시 근린공원으로서 인기가 높은 곳입니다.
중외공원에는 어린이대공원, 올림픽동산, 올림픽기념탑 등이 있습니다.
중외공원 문화벨트에는 비엔날레·박물관 지구에는 민속박물관과 교육홍보관, 비엔날레전시관이 들어서 있으며 어린이 대공원 등으로 휴일이면 나들이객들로 붐빈다.
특히 이곳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시기는 바로 가을. 그 이유는 이곳이 가을철 단풍명소로도 유명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광주의 관문에 설치된 무지개다리는 비엔날레 상징물로서 1회 광주비엔날레 때 설치된 또 다른 볼거리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중외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tour.gwangju.go.kr
운영 시간 24시간
주차시설 있음(자가용 200대 수용) / 비엔날레 주차장(600대 수용)
쉬는 날 연중무휴(24시간 개방)
원효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원효사 소개
* 원효대사가 지은 사찰, 원효사 *
무등산 원효계곡의 웅장한 산세 속에 있으며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누각을 가지고 있는 전통사찰입니다.
신라 때 원효대사가 산의 수려함을 사랑하여 이곳에 암자를 세우고 지냈다하여 원효암이라 이름을 지었습니다고 전해진다.
원효봉 한 기슭에 있는 원효사 동부도는(지방유형문화재) 현존하는 부도 중 조각기법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사면에 동물모양의 해학적 모습이 특이하다.
절 바로 앞에 높고 긴 계단이 있고 양옆으로 하늘을 뒤덮은 우거진 대숲 때문에 절을 향해 나 있는 통로가 마치 하늘을 오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합니다.
1980년 5월 대웅전 신축 작업 중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팀에 의해 발굴된 청동, 청동불 입상, 동경(구리거울),각종 소조불 등 백여 점의 유물은 통일신라 말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시대의 것들로서 원효사의 오랜 역사를 말해준다.
현재 국립광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 무등산에 있는 다양한 사찰 *
무등산에는 증심사(證心寺)와 원효사, 천문사(天門寺)·미력사(彌力寺)·동국사(東國寺)·보덕사(普德寺)·백운암(白雲庵)·약사암(藥師庵) 등의 사찰이 있어 등반의 또 다른 재미를 선사합니다.
증심사는 통일신라시대 철감국사(哲鑑國師) 도윤(道允)이 창건한 절로서, 이곳에는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造毘盧舍那佛坐像:보물), 5층 석탑·오백나한전(五百羅漢殿) 등이 있으며, 증심사의 말사인 약사암에는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보물)이 있습니다.
원효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한 절인데, 증심사와 함께 한국전쟁 당시 때 공비 토벌작전으로 소실되었습니다가, 근년에 복구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원효사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tour.gwangju.go.kr
https://www.wonhyosa.org
전화번호 062-266-0326
운영 시간 일출~일몰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무휴
광주 충효동 요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충효동 요지 소개
무등산 북쪽 충효동에 자리잡은 가마터로,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까지 삼강청자·분청사기·백자를 굽던 곳입니다.
가마의 구조는 사람이 드나드는 출입시설, 도자기를 집어넣는 번조실, 굴뚝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둥근 무덤 형태가 연결된 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과 출토유물의 연도를 통해 1430년을 전후해 만들어지기 시작된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그 후 약 70~80년간 자기제작이 지속되다가 16세기 초에 중단되었던 것으로 짐작됩니다.
초기에는 분청사기만 만들다가 백자가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같이 제작했으나, 분청사기 무늬가 조잡해지면서 생산량이 줄어들었습니다.
반면 백자를 본격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하면서 질이 좋아지고 생산량도 늘어 분청사기가마에서 백자가마로 성격이 바뀌었습니다.
백자는 크기가 작은 것이 주를 이루는데 비해 분청사기는 크고 작은 것이 모두 있고, 종류도 접시·종지·잔·병·항아리·제기·벼류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분청사기에 주로 사용된 무늬는 국화·나비·물고기·게·구름무늬 등이며 여러 무늬를 조합하여 그리기도 했습니다.
광주 충효동 요지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 운영되었던 곳으로, 청자부터 분청사기를 거쳐 백자로 넘어가는 과정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충효동 요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culture.bukgu.gwangju.kr
http://www.cha.go.kr
운영 시간 09:00~18:00(전화문의)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매주 월요일(전화문의)
지금까지 광주 북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강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4) | 2023.01.27 |
---|---|
광주 서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7 |
광주 동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6 |
광주 남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5 |
광주 광산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5 |
광주 북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광주 북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광주호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호 소개
* 수려한 경관과 다양한 즐길 거리가 있는 호수, 광주호 *
광주에서 동쪽으로 16km 지점에 있는 광주호는 담양호(潭陽湖) ·나주호(羅州湖) ·장성호(長城湖) 등과 함께 영산강(榮山江) 유역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영산강의 지류 고서천을 댐으로 막아 1976년 9월 준공된 호수입니다.
4개 호수 중 가장 규모가 작지만, 댐의 길이는 505m, 높이 25m로 결코 작지 않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의 용대산과 그 건너편을 막아 만든 것인데 1974년에 공사를 시작해 1976년에 완공했습니다.
* 광주호의 볼거리와 즐길거리 *
광주호는 무등산 아래에 위치하여 주변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룬 호반 휴양지로서, 어족이 풍부해 낚시터로도 각광을 받아 많은 휴양인파가 찾습니다.
광주호 상류 충효동 일대에는 송강 정철의 가사문학 유적지인 식영정을 비롯해 환벽당, 소쇄원, 취가정, 독수정 등의 정자가 자리잡고 있어 조선시대 정원문화의 진수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호 기본 정보
운영 시간 상시 가능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무휴
광주호 호수생태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호 호수생태원 소개
* 도심 속 자연 학습의 장, 광주호수생태원 *
광주호(光州湖)의 호숫가 인근에 184,948m²의 부지에 자연관찰원, 자연학습장, 잔디휴식광장, 수변 습지 등 테마별 단지로 조성된 생태공원입니다.
광주시내에서 약 30분 정도 거리에 있어, 시민들이 찾기가 좋아 2006년 3월에 개장한 후 아이들의 자연생태학습장이자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됩니다.
* 광주호수생태원에서 만날 수 있는 자연 *
전체적으로 조용하고 시원한 느낌을 받는 공원으로, 추운 날씨가 아니라면 꽃이나 동·식물들의 생태자료를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진달래, 개나리, 자산홍, 장미, 철쭉, 수국 등 형형색색의 야생화 17만 본이 심어진 테마별 꽃단지와 부엽식물원, 수변부 관찰 테크, 암석원, 그리고 때죽나무, 모과나무, 벽도동, 단풍나무 등 3,000여 그루의 나무 등이 볼만하다.
늪지에서 각종 새가 실제로 부화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메타세콰어이 양편 가로수 사이로 목재계단을 조성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호 호수생태원 기본 정보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소개
광주호 동쪽 호안(湖岸)과 충효동 마을 사이의 도로변에 위치한 왕버들나무는 버들과의 딸린 갈잎 큰키나무입니다.
암수 나무가 딴 그루를 이루며, 4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5월에 익습니다.
우리 나라 경기도 이남지역과 일부 중부 이남 지역, 중국 중부 지역에 분포하며 풍치림(風致林)과 정자목(亭子木)으로 널리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물가나 들에서 자라며, 목재는 가구와 땔감 등으로 쓰입니다.
충효동의 왕버들 3그루는 모두 광주시 나무로 지정되어있는데 원래는 일송·일매·오류(一松·一梅·五柳)라 하여 마을의 상징 조경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매화와 왕버들 1그루는 말라 죽었으며, 또 1그루의 왕버들과 소나무는 마을 앞 도로를 확포장하면서 잘라 버려 지금은 왕버들 3그루만 남아 있습니다.
마을에서는 다시 왕버들 2그루를 식목하였으며, 소나무와 매화도 계속 식목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충효동의 역사는 분명치 않으나 옛부터 성이 있어 성안 또는 석저촌(石低村)이라 불려왔다.
이 일대는 임진왜란 이전에 이미 양산보(梁山甫)의 소쇄원(瀟灑苑)을 비롯하여 김윤제(金允悌)의 환벽당(環璧堂), 김성원(金成遠)의 식영정(息影亭)과 누하당(樓霞堂) 등의 원림(苑林) 정각(亭閣)이 많이 있어, 주변 조경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곳입니다.
* 나무의 크기
1) 높이 9m, 둘레 6.25m, 수관(樹冠)너비 11.5 ×18.9m
2) 높이 10m, 둘레 5,95m, 수관너비 14.0 ×14.0m
3) 높이 12m, 둘레 6.30m, 수관너비 16.6 ×27.0m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기본 정보
광주패밀리랜드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패밀리랜드 소개
* 호남 지방의 새로운 명소, 광주패밀리랜드 *
광주패밀리랜드는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에 있는 도시근린공원으로서 36만평의 부지 위에 최첨단 놀이시설 30종, 사계절 썰매장과 아이스링크, 수영장을 갖춘 호남 최대의 종합위락공원으로 1991년 7월 6일 개원하였습니다.
호남 최대길이를 자랑하는 사계절 썰매장은 봄, 여름, 가을엔 물썰매장으로 겨울엔 눈썰매장으로 더욱 더 편하게 이용하시도록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계절 테마파크로 자리잡고자 전천후 썰매장 단지를 조성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언제나 고객과 즐거움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 패밀리랜드 100배 즐기기 *
패밀리랜드에는 다양한 놀이시설이 조성되어 있으며 코스에 따라 연인코스, 가족코스, 어린이 코스 등으로 나누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연인코스는 청룡열차, 카오스, 바이킹, 박치기왕, 타가 디스코, 날으는 그네 등으로 연인들이 함께 즐기면 좋을 놀이기구들입니다.
가족코스는 패밀리열차, 사막의 폭풍 등 가족 단위로 아이와 부모가 함께 즐기면 좋은 놀이기구입니다.
이외에 어린이범퍼카, 꼬마비행기, 회전목마 등 어린이 전용 놀이기구도 구비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패밀리랜드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www.gjfamilyland.com/
운영 시간 *평일 :09:30 ~ 18:00
*주말 : 09:30 ~ 19:00
※ 방문전 이용시간 문의 요망
주차시설 있음(1,500대)
쉬는 날 홈페이지 참고
국립 5.18 민주묘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국립 5.18 민주묘지 소개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공원으로 5·18묘역이라고도 합니다.
문민정부 출범과 더불어 5.18 민주항쟁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이루어지고 5.18 희생자 묘역을 민주 성지로 가꾸려는 움직임이 뜻있는 국민들로부터 일어났다.
광주광역시는 중앙 정부의 지원을 받아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산34번지 165k㎡의 부지 위에 5.18묘지를 조성하였습니다.
묘역 안에는 5·18영령의 묘 764기(2017년 기준)가 있으며, 건축물 7동(민주의 문, 유영봉안소, 역사의 문, 숭모루, 추념문, 관리동, 휴게실)과 역사공간, 민주광장, 참배광장, 전시공간, 상징조형물, 광주민주화운동추모탑, 7개 역사마당(의병, 동학, 3·1운동, 광주학생운동, 4·19혁명, 광주민주화운동, 통일마당), 헌수기념비, 준공기념탑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18 민주 항쟁은 1980년 5월, 12.12사태와 당시의 군부에 의해 벌어진 정권 장악 음모에 대항해 일어난 전국적인 저항운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자행된 대표적인 반민주 학살 사건이며, 이에 저항한 시민 민주항쟁입니다.
이 묘지는 여기서 희생당한 광주 시민들의 넋을 기리며, 이땅에 다시는 불의와 독재가 발붙일 수 없다는 사실을 알리는, 살아 있는 역사 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한편 민주 성지를 내손으로 가꾸기 위해 시작한 민주나무 헌수운동은 5.18의 숭고한 정신을 국내, 외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5ㆍ18 묘지 중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사각기둥인 탑신은 높이 40m로 우리나라 전통석조물인 당간지주를 현대감각에 맞게 형상화 했습니다.
탑신 가운데 감싸쥔 손 모양으로 중앙에 설치된 타원형 형상은 새로운 생명의 부활을 상징하며, 시시각각 변하는 태양광에 반사된 빛은 희망의 씨앗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국립 5.18 민주묘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518.mpva.go.kr
운영 시간 09:00~18:00
주차시설 주차 가능(승용차10부제 시행)
쉬는 날 연중무휴
환벽당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환벽당 소개
堂號)는 영천자 신잠(靈川子 申潛)이 지었으며, 벽간당(碧澗堂)이라고도 불렀음이 고경명(高敬命)의 유서석록(遺書石綠)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2칸, 팔작지붕입니다.
가운데 2칸을 방으로 하여 앞쪽과 오른쪽을 마루로 깐 변형된 형식입니다.
원래는 전통적 누정 형식이었으나 후대에 증축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바뀐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곳에는 우암 송시열(尤庵宋時烈)이 쓴 제액(題額)이 걸려있고, 석천 임억령(石川林億齡)과 조자이(趙子以)의 시가 현판으로 걸려 있습니다.
환벽당에 관한 시는 정철이 지은 2수가 있는데, 송강속집과 광주목지에 실려 있습니다.
정철의 4대손 정수환(鄭守環)이 김윤제의 후손으로부터 사들여 현재 연일정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 사촌 김윤제에 대하여 *
김윤제(1501~1572)는 본관이 광산으로, 충효리에서 태어났다.
1528년 진사가 되고, 1532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교리겸춘추관(承文校理兼春秋官)으로 벼슬길에 나아간 뒤 홍문관교리(弘文官校理), 나주 목사 등 13개 고을의 지방관을 역임하였습니다.
관직을 떠난 뒤 고향으로 돌아와 환벽당을 짓고 후학 양성에 힘을 썼는데, 송강 정철(松江鄭徹 1536~1593)과 서하당 김성원(金成遠) 등이 대표적인 제자입니다.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김덕령(金德齡)과 김덕보(金德普)형제는 그의 종손(從孫)으로 역시 학문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환벽당 아래는 김윤제와 정철이 처음 만난 곳이라는 전설이 깃든 '조대(釣臺)'와 용소(龍沼)가 있습니다.
창계천 동북쪽으로 250m쯤 떨어진곳에는 식영정(息影亭)이 있으며, 환벽당 바로 곁에는 취가정(醉歌亭)이 있습니다.
인근에는 독수정(獨守亭)과 소쇄원(瀟灑園)이 자리잡고 있어 바로 이 일대가 조선시대 원림 문화(苑林文化)의 중심 지역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환벽당 기본 정보
금곡동 제철유적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금곡동 제철유적 소개
금곡동 제철유적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김덕령(金德齡)과 관련된 무기 제조창이 있던 자리입니다.
이 유적은 무등산 정상에서 서북쪽으로 뻗은 능선이 비교적 완만한 경사지의 평탄면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주검동이라 불리던 이곳은 국립광주박물관에서 1992년 3월~4월까지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상하 2단의 석축을 쌓고 제철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급경사면을 조성한 후 제철에서 정련, 단조에 이르기까지 철기 생산에 필요한 기본공정과 시설을 배치하였습니다.
제철로는 절두원추형으로 작은 판석과 할석을 이용하여 대략 장방형의 구역을 만든 후 그 내부를 점토 등을 다졌을 뿐 방습시설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정련로는 제철로에서 생산된 철괴를 재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곳으로, 제철로의 북쪽 3.5m에 있습니다.
또한 판석과 할석을 혼용한 형태인데 중심부 바닥의 판석은 심한 열에 의하여 균열되어 있습니다.
제철로의 동쪽 8m에는 단조 철기가 제조되었던 단조로와 단조대석이 있습니다.
단조로는 많이 파손되어 변형되었으며 타원형내지 장방형으로 주변은 괴석과 판석이 부정형으로 돌려져 있습니다.
단조대석은 단조로의 서측 경사면에 있으며, 불순물이 제거된 철괴로 단조 철기를 만들던 시설입니다.
대석의 서측에 소형 괴석들을 호형으로 돌려 단조 박편들이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막아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철로와 정련로에서 생산된 철괴의 불순물 제거에 이용되었던 대형 대석이 확인되었습니다.
각로의 송풍 시설은 손으로 하는 상자형을 사용하는 것 같다.
제철의 원료는 철재의 성격으로 보아, 하천 사질층에 퇴적된 사철을 정선하지 않고 사용한 것 같다.
* 유적지에서 발굴된 유물 *
금곡동 제철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철재, 단조 박편, 철촉, 철촉반제품, 추형 철기 등 제철 유물과 분청자, 질그릇 등이 있습니다.
특히 철촉 반제품으로 보아 김덕령 장군의 활동과 관련하여 주검 동 지명이 철제무기를 제작하였음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이 유적은 김덕령장군의 활동 시기와 분청자 등의 출토 유물로 보아 15~16세기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금곡동 제철유적 기본 정보
중외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중외공원 소개
*공연과 전시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곳, 중외공원 문화벨트 *
중외공원은 수려한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도시 근린공원으로서 인기가 높은 곳입니다.
중외공원에는 어린이대공원, 올림픽동산, 올림픽기념탑 등이 있습니다.
중외공원 문화벨트에는 비엔날레·박물관 지구에는 민속박물관과 교육홍보관, 비엔날레전시관이 들어서 있으며 어린이 대공원 등으로 휴일이면 나들이객들로 붐빈다.
특히 이곳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시기는 바로 가을. 그 이유는 이곳이 가을철 단풍명소로도 유명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광주의 관문에 설치된 무지개다리는 비엔날레 상징물로서 1회 광주비엔날레 때 설치된 또 다른 볼거리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중외공원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tour.gwangju.go.kr
운영 시간 24시간
주차시설 있음(자가용 200대 수용) / 비엔날레 주차장(600대 수용)
쉬는 날 연중무휴(24시간 개방)
원효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원효사 소개
* 원효대사가 지은 사찰, 원효사 *
무등산 원효계곡의 웅장한 산세 속에 있으며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누각을 가지고 있는 전통사찰입니다.
신라 때 원효대사가 산의 수려함을 사랑하여 이곳에 암자를 세우고 지냈다하여 원효암이라 이름을 지었습니다고 전해진다.
원효봉 한 기슭에 있는 원효사 동부도는(지방유형문화재) 현존하는 부도 중 조각기법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사면에 동물모양의 해학적 모습이 특이하다.
절 바로 앞에 높고 긴 계단이 있고 양옆으로 하늘을 뒤덮은 우거진 대숲 때문에 절을 향해 나 있는 통로가 마치 하늘을 오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합니다.
1980년 5월 대웅전 신축 작업 중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팀에 의해 발굴된 청동, 청동불 입상, 동경(구리거울),각종 소조불 등 백여 점의 유물은 통일신라 말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시대의 것들로서 원효사의 오랜 역사를 말해준다.
현재 국립광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 무등산에 있는 다양한 사찰 *
무등산에는 증심사(證心寺)와 원효사, 천문사(天門寺)·미력사(彌力寺)·동국사(東國寺)·보덕사(普德寺)·백운암(白雲庵)·약사암(藥師庵) 등의 사찰이 있어 등반의 또 다른 재미를 선사합니다.
증심사는 통일신라시대 철감국사(哲鑑國師) 도윤(道允)이 창건한 절로서, 이곳에는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造毘盧舍那佛坐像:보물), 5층 석탑·오백나한전(五百羅漢殿) 등이 있으며, 증심사의 말사인 약사암에는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보물)이 있습니다.
원효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한 절인데, 증심사와 함께 한국전쟁 당시 때 공비 토벌작전으로 소실되었습니다가, 근년에 복구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원효사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tour.gwangju.go.kr
https://www.wonhyosa.org
전화번호 062-266-0326
운영 시간 일출~일몰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무휴
광주 충효동 요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충효동 요지 소개
무등산 북쪽 충효동에 자리잡은 가마터로,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까지 삼강청자·분청사기·백자를 굽던 곳입니다.
가마의 구조는 사람이 드나드는 출입시설, 도자기를 집어넣는 번조실, 굴뚝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둥근 무덤 형태가 연결된 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과 출토유물의 연도를 통해 1430년을 전후해 만들어지기 시작된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그 후 약 70~80년간 자기제작이 지속되다가 16세기 초에 중단되었던 것으로 짐작됩니다.
초기에는 분청사기만 만들다가 백자가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같이 제작했으나, 분청사기 무늬가 조잡해지면서 생산량이 줄어들었습니다.
반면 백자를 본격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하면서 질이 좋아지고 생산량도 늘어 분청사기가마에서 백자가마로 성격이 바뀌었습니다.
백자는 크기가 작은 것이 주를 이루는데 비해 분청사기는 크고 작은 것이 모두 있고, 종류도 접시·종지·잔·병·항아리·제기·벼류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분청사기에 주로 사용된 무늬는 국화·나비·물고기·게·구름무늬 등이며 여러 무늬를 조합하여 그리기도 했습니다.
광주 충효동 요지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 운영되었던 곳으로, 청자부터 분청사기를 거쳐 백자로 넘어가는 과정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광주 충효동 요지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culture.bukgu.gwangju.kr
http://www.cha.go.kr
운영 시간 09:00~18:00(전화문의)
주차시설 주차 가능
쉬는 날 매주 월요일(전화문의)
지금까지 광주 북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강서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4) | 2023.01.27 |
---|---|
광주 서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7 |
광주 동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1.26 |
광주 남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5 |
광주 광산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