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동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내용은 울산 동구 가볼만한 곳 베스트10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순위는 한국관광공사의 인기도 순위를 참고하여 추천드리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즐거운 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대왕암공원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왕암공원 소개
대왕암 공원은 우리나라에서 울주군 간절곶과 함께 해가 가장 빨리 뜨는 대왕암이 있는 곳입니다.
산책로에는 숲 그늘과 벚꽃, 동백, 개나리, 목련이 어우러져 있습니다.
28만평에 달하는 산뜻한 공간을 가진 이 공원 옆에는 일산해수욕장의 모래밭이 펼쳐져 있습니다.
우리나라 동남단에서 동해 쪽으로 가장 뾰족하게 나온 부분의 끝 지점에 해당하는 대왕암공원은 동해의 길잡이를 하는 울기항로표지소로도 유명하다.
이곳 항로 표지소는 1906년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세워졌으며, 이곳 송죽원에서는 무료로 방을 빌려주어 아름다운 추억거리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민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원입구에서 등대까지 가는 길은 600m 송림이 우거진 길로, 1백여 년 아름드리 자란 키 큰 소나무 그늘이 시원함과 아늑함을 선사합니다.
송림을 벗어나면 탁 트인 해안절벽으로 마치 선사시대의 공룡화석들이 푸른 바닷물에 엎드려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거대한 바위덩어리들의 집합소입니다.
불그스레한 바위색이 짙푸른 동해 바다색과 대비되어 아주 선명하다.
마주 보이는 대왕암은 하늘로 용솟음치는 용의 모습 그대로다.
점점이 이어진 바위를 기둥삼아 가로놓인 철교를 건너면 대왕암에 발을 딛게 됩니다.
대왕암으로 향하는 길에 위치한 대왕교는 1995년 현대중공업에서 건립기증한 다리입니다.
댕바위 혹은 용이 승천하다 떨어졌다 하여 용추암이라고도 하는 이 바위는 신라 문무왕의 호국룡 전설에 이어지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왕의 뒤를 이어 세상을 떠난 문무대왕비가 남편처럼 동해의 호국룡이 되고자 이 바위로 바다에 잠겼다는 것입니다.
대왕암 외에도 괴이하게 생겼다 하여 쓰러뜨리려다 변을 당할 뻔 했습니다는 남근바위, 그리고 탕건바위와 자살바위, 해변 가까이 떠 있는 바위섬, 처녀봉 등이 시야를 꽉 채운다.
기암 해변의 오른쪽으로는 고 이종산 선생이 세웠다는 구 방어진 수산중학교가 있고 그 아래에 500m 가량의 몽돌 밭이 펼쳐져 바위해안의 운치를 더해 준다.
북쪽에서 바라보면 현대중공업의 공장 전경이 펼쳐져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왕암공원 기본 정보
일산해수욕장(울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일산해수욕장(울산) 소개
방어진 북쪽 1km 떨어진 곳에 길이 850m, 폭 36~61m, 면적 42,500㎡의 일산해수욕장이 있는데 질 좋은 모래가 깔려있고 매년 7, 8월 수온은 21.2도, 수심 1~2m의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는 곳으로, 매년 7월 말에 해변축제를 개최해 오고 있습니다.
주변에는 유원지개발이 한창으로 모텔과 휴게시설들이 많아 충분히 머물다 갈 수 있는 곳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해수욕장 주변에는 대왕암공원과 현대중공업이 있습니다.
또한, 인근에 있는 화암추항로표지 관리소는 우리나라 등대 전망대 중 가장 높은 곳으로 등대전시관 및 전망대에서 울산항을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는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일산해수욕장(울산)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tour.ulsan.go.kr
울기등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울기등대 소개
태백산맥이 마지막 뻗어내려 그 끝머리가 깊숙이 방어진 반도에 꼬리를 감춘 곳, 기기묘묘한 바위들이 해안의 절경을 이루고 있어 “제2의 해금강”이라 불리는 울산의 끝 “울기(蔚埼)”에 등대가 건립된 것은 1906년 3월 높이 6m의 백색팔각형 등탑이 세워지면서부터입니다.
조선시대 말을 기르던 목장이었던 이곳에 러·일전쟁 이후 해군부대가 주둔하면서 인공적으로 1만 5천 그루의 해송림이 조성되었습니다.
그 후 등대 주변의 해송들이 자라 하늘을 감싸 안아 등대불이 보이지 않게 되자, 1987년 12월 기존 위치에서 50m를 옮겨 촛대모양의 아름다운 등대를 새로 건립하여, 동해안을 따라 항해하는 선박들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왕암공원 내에 등대가 위치하여, 등대로 가는 600m의 길섶에는 타래붓꽃, 수선화, 해당화, 해국 등 각종 야생화가 찾는 이를 반기며, 매년 4월이면 왕벚나무 터널이 만개하여 장관을 이룬다.
등대를 지나 계단을 내려서면 문무대왕의 호국영령이 서려 불그스름한 기운을 띤 대왕암이 청자빛 하늘과 코발트빛 바다를 그은 수평선 위로 살짝 돋아나면서 절경을 자아낸다.
울기(蔚琦)등대는 그 명칭이 일제잔재라는 의견이 대두됨에 따라 2006년 100주년을 맞아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울기(蔚氣)로 변경하였습니다.
* 최초점등일 - 1906년 3월 24일
* 구조 - 백색 8각 철근콘크리트 (24m)
* 등질 - 섬백광 10초 1섬광(FlW10s)
* 특징 - 우리나라 동해안 최초의 등대로서 울창한 송림이 우거진 대왕암공원 내에 등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등대와 바다를 소재로 글을 쓰는 장소를 제공하는 등대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울기등대 기본 정보
주전몽돌해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주전몽돌해변 소개
주전몽돌해변은 울산 12경으로 울산 시민들이 즐겨 찾는 해수욕장입니다.
주전은 땅이 붉다는 뜻으로 땅 색깔이 붉은색을 띠고 있습니다.
동해안을 따라 1.5km 해안에 직경 3~6cm의 동글동글한 까만 자갈이 해안에 길게 늘어져 있어, 절경을 이루고 있습니다.
노랑바위, 샛돌바위 등 많은 기암괴석이 있습니다.
또한, 주전몽돌해변의 파도 소리는 동구의 소리9경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몽돌 사이로 드나드는 파도소리는 오늘의 번영을 이뤄낸 동구 사람들의 강인함이 느껴진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주전몽돌해변 기본 정보
동축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동축사 소개
마골산 동축사(麻骨山 東竺寺)는 울산광역시 동구 동부동 607변지에 소재한 사찰로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입니다.
동축사는 울산지역의 고찰로서 신라의 불국토사상이 반영된 성지입니다.
신라 진흥왕과 인도(西竺) 아육왕의 정신적 만남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곳으로, 아육왕이 배에 실어 보낸 석가삼존불의 모형을 봉안하기 위해 세운 사찰이라는 연기설화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동축’이라는 이름에서도 이곳이 범상치 않은 불국토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즉 불국토의 고향인 인도가 서쪽의 나라이기에 서축(西竺)이라 하였듯이 이와 대비되는 이름으로써 동축(東竺)이라 칭하였던 당시 신라 불국토사상의 일면을 살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는 신라에 석가모니 과거불 시절부터 7처(處)의 절터가 존재하고 있었습니다는 불연국토라는 사상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인도 아육왕을 이상으로 삼아 그의 족적을 쫒으려는 진흥왕시대 신라 불교문화의 부흥과도 연결됩니다.
이 곳 동축사에 올라 섬암 주변의 해묵은 송뢰를 들으면, 멀리 불국토의 이상을 구도하던 진흥왕과 아육왕의 만남이 느껴진다.
또한 해안지역의 지리적인 위치와 마골산(麻骨山)이라는 산이름은 관음이 사는 백화산이 연상되듯, 동축사는 관음 기도도량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도심에서 벗어나 심신의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유서 깊은 곳으로, 이곳에 올라 해뜨는 동해를 바라보면 아름다운 경관을 맛 볼 수 있습니다.
일찍이 동축사가 자리한 이곳은 울산 동면8경 중 축암효종(竺岩曉鐘)ㆍ섬암상풍(蟾岩霜楓)이라 하여 시인묵객의 발길이 잦았던 곳입니다.
특히 동축사 정상의 관일대(觀日臺)는 섬암이라 하여 동축사의 종소리와 함께 해뜨는 동해바다를 조망할 수 곳으로 유명하다.
관일대에는 남목을 다스렸던 감목관 원유영(元有永)이 새긴 ‘부상효채(扶桑曉彩)’라는 글이 있는데, 이는 ‘해뜨는 동쪽바다에 있습니다는 아름다운 빛을 내는 신성한 나무’라는 의미입니다.
진흥왕시대 동축사에서 발한 빛이, 서축에서 오는 아육왕의 불상을 인도합니다는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듯 여겨지기도 합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동축사 기본 정보
화암추 등대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암추 등대 소개
방어진 서쪽 해안마을의 바다에 돌출된 검회색 바위 위에는 이상하리 만큼 하얗게 꽃문양을 연상시키는 무늬가 박혀 있습니다고 하여 “꽃바위(花岩)”라 불렀고, 주변 마을을 “꽃방마을”이라 불렀습니다.
아침 해가 떠오를 무렵 바닷물이 만조를 이루었을 때, 출렁이는 물결에 드리워진 꽃무늬는 더할 나위 없이 절경을 이루었고, 저녁 무렵 바닷물이 썰물로 빠져 나가면서 바다 속에 잠겨 있던 온갖 바위형상들이 만물상을 이루는 모습을 보고는 감탄하지 않는 이가 없었습니다고 합니다.
이 아름다운 풍경을 시인묵객들은 “화암만조”(花岩晩潮)라 부르며 방어진 12경중 제1경으로 꼽기도 하였으나, 1989년 항만축조 및 매립사업으로 모두 사라져 버렸다.
1961년 이후 울산에 공업단지가 조성되면서부터 산업의 대동맥인 석유화학제품들이 쏟아졌고, 울산항에는 이를 실어 나르는 배들의 왕래가 잦아지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해양오염사고 방지 및 선박의 안전항해를 위한 항로표지 설치가 절실히 요구됐고, 울산항 관문에 위치한 꽃방마을 끝단에는 천년동안 안전하게 항해하기를 기원하는 거북이 모양의 등대가 세워졌다.
이후 조선산업의 발달로 항만 축조 및 매립이 이루어져 바다 쪽으로 등대를 옮겨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낮아진 등고를 보완하고 울산항을 출입하는 선박들의 길잡이 역할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등대 설치가 요구되었습니다.
마침내 1994년 12월 동양최대 규모의 등대가 건립되어, 머나먼 여정을 헤쳐온 선박들을 안전하게 울산항으로 인도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해상교통의 요충지인 이곳 화암추등대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전망대에 오르면 생동감 넘치는 울산항과 24시간 불빛을 내뿜는 산업단지의 역동성을 한 몸에 느낄 수 있으며, 등대 앞 방파제의 강태공들이 계절에 따라 색다른 손맛을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최초 점등일 - 1983년 1월 28일
* 구조 - 백원형 콘크리트조(44m)
* 등질 - 백홍호광 20초 1섬광(AlFlWR20s)
* 특징 -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등대이며, 등탑내에는 해양수산 홍보관과 울산항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화암추 등대 기본 정보
일산마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일산마을 소개
일산마을은 마을 앞 바다에 신라문무대왕비와 관련한 전설이 있는 대왕암과 용굴 등 30m 높이의 기암괴석이 펼쳐져 있고, 주변에 백년이 넘은 아름드리 해송 15,000그루가 어우러져 천혜의 절경을 이루고 있어 울산 시민들의 최고 휴식처로 꼽힌다.
또한 약 1km의 모래사장을 가진 일산해수욕장이 이어져 있어 사시사철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명소입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일산마을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tour.ulsan.go.kr/index.ulsan
월봉사(울산)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월봉사(울산) 소개
월봉사는 울산광역시 동구 화정동 60번지 함월산(含月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의 말사입니다.
월봉사는 1천여 년을 거치는 온갖 풍상 속에서도 그 법등을 잘 이어오고 있는 사찰 중 하나입니다.
사찰의 배산(背山)을 이루는 함월산(含月山)은 옛날 어느 한 고승이 방어진 바닷가를 거닐던 중 우연히 눈을 들어 이곳을 보니 분명 바다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어야 할 달이 그곳 산 위에 동그라니 걸려 있음을 보고, 길지(吉地)라 여겨 먼 훗날에 대찰(大刹)이 들어설 자리로 예언하였던 곳입니다.
아마도 그때 고승이 예언한 대찰이 바로 지금의 월봉사였을 것입니다.
지금은 현대화의 물결에 밀려 산중사찰의 분위기가 덜하지만 창건 당시만 해도 인근에 이처럼 수려한 명당은 없었던 듯하다.
전국의 승려들에게 계율을 가르치고 법도를 시행했던 성도(聖道) 율사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최근에 가람을 일신하였고 근래에는 유치원을 건립하는 등 대중포교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월봉사(울산) 기본 정보
주차시설 있음
쉬는 날 연중무휴
대왕암 송림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왕암 송림 소개
동구 지역 주민을 비롯해 울산을 찾는 외지인들이 가장 즐겨 찾는 곳 중의 하나가 바로 대왕암공원(울기공원)입니다.
만발한 벚꽃이 고개를 숙이면, 해송의 진한 향기가 녹음을 드리우고, 가을바람 은은한 600m 산책로에는 어김없이 겨울바다의 운치가 겹쳐져 사계절 모두 인산인해를 이룬다.
대왕암공원은 도심 속에서 좀처럼 보기 어려운 귀한 휴식처다.
우리나라 동남단에서 동해 쪽으로 가장 뽀족하게 나온 부분의 끝 지점에 해당하는 대왕암 공원은 그래서 동해의 길잡이를 하는 울기등대로도 유명하다.
간절곶 등대와 함께 하룻밤 등대 체험이 가능한 곳으로 뭔가 특별함을 찾는 이들에게 안성맞춤입니다.
공원 입구에서 등대까지 가는 600m의 산책길은 송림이 우거져 있습니다.
수령 100년 이상의 아름드리 소나무가 그늘을 만들고 있어 시원함과 아늑함을 선사합니다.
산책로 중간중간에 벚나무, 목련, 동백, 매화, 개나리 등이 다양한 꽃 잔치를 연출합니다.
송림을 벗어나면 탁 트인 해안 절벽입니다.
마치 선사 시대의 공룡화석들이 푸른 바닷물에 엎드려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거대한 바위덩어리들이 뭉쳐 있습니다.
불그스레한 바위색이 짙푸른 동해와 묘한 대조를 이루는데, 곧장 마주 보이는 대왕암은 하늘로 솟구치는 용의 모습 그대로다.
댕바위, 혹은 용이 승천하다 떨어졌다 하여 용추암이라고도 하는 이 바위는 신라 문무대왕비가 죽어서 동해의 호국룡이 되어 이 바다에 잠겼다는 전설이 전해내려 온다.
공원을 한바퀴 돌고 북쪽 등성이를 넘어 계단을 내려가면 바로 일산해수욕장입니다.
1km에 달하는 백사장에서 멀리 수평선을 바라보며 걷는 맛이 남다르다.
여정이 허락합니다면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 그리고 현대미포조선 등을 꼭 둘러보자. 산업수도 울산의 맥박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대왕암 송림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tour.ulsan.go.kr/index.ulsan
슬도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슬도 소개
방어진 항으로 들어오는 거센 파도를 막아주는 바위섬으로 '갯바람과 파도가 바위에 부딪칠 때 거문고 소리가 난다'하여 슬도(瑟島)라 불린다.
슬도는 '바다에서 보면 모양이 시루를 엎어 놓은 것 같다' 하여 시루섬 또는 섬 전체가 왕곰보 돌로 덮여 있어 곰보섬이라고도 합니다.
슬도에 울려 퍼지는 파도소리를 일컫는 슬도명파(瑟島鳴波)는 방어진 12경중의 하나다.
1950년대 말에 세워진 무인등대가 홀로 슬도를 지키고 있으며 이곳에는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고 있어 낚시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슬도 기본 정보
홈페이지 https://daewangam.donggu.ulsan.kr/Pgcfrtrrsrt3.do
운영 시간 00:00~24:00
주차시설 주차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지금까지 울산 동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울주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2.03 |
---|---|
울산 북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2.03 |
울산 남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2.02 |
울산 중구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1) | 2023.02.01 |
부산 해운대 가볼만한곳 베스트10 | 여행 명소 추천 (0) | 2023.02.01 |